대모엔지니어링
회사생활 하면서 느낀점 사람관계를 크게 3가지로 나누면 기버/매처/테이커 타입이 있는데 내가 10년 다니면서 느낀점을 쓰려고해 1. 기버형 리더 : 팀장 성향에 따라 다른데, 같은 기버타입 천사 팀장의 경우 3년내내 고과 제일 잘받음. 오히려 테이커 타입의 팀장의 경우 일만 ㅈ나게 시키고 고가는 중 또는 중하 받음. 매처타입의 팀장은 아직 모름 1-1 기버형 동료 : 매번 테이커 동료들한테 퍼주고 상처받고 마음 앓이 많이함. 서로 사이 안좋은데 기버 동료만 더 마음아파함. 테이커 동료는 또 돈많은 사람 기웃거리며 담배 따라피고 커피마시러 다님. 기버 동
내가 꼽는 최고의 브랜드 1,2,3 다음글 링크 내가 꼽는 최고의 브랜드로 볼보 포르쉐 렉서스 기억나는 형들 있으려나? 사실 나는 자동차 관련 업종에 종사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런 글을 쓰기가 조금은 부담스러워 우리회사 한국시장의 주 고객사인 형들이 보면 기분 나쁠까봐 내심 걱정도 되지만 나는 그냥 나의 뇌피셜일뿐이고 인터넷에 아마추어 블로거의 시승기 보듯이 가볍게 봐주면 좋겠어 렉서스편에서도 언급 되었던 혼다를 짧게나마 얘기해볼까해 판매량과 상품성, 전세계 자동차 회사의 시가총액에서는 도요타가 남바완 성님이신데(폭스바겐과 각축전) 오리지널 재팬 퀄리티, 재팬 엔지니어링
사주명리학 ㅡ 살(殺)에 관한것(도화살,백호살 등) 사주 보시는분들은 한번쯤 살(殺)에 대해서 들어봤을 겁니다. 하지만 사주를 보는 당사자들은 신살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으며, 일부 사이비 역술인들은 무슨살이 있으니 부적을 쓰라는등의 겁을 주기도 합니다. 사주에서 살(殺)또는 살(煞)이라고 한자로 씁니다. 사주에서 살의 종류만 해도 무려 300여 개에 달합니다. 명리학책들을 보시면 신살에 대해서 소개한 책들이 있습니다. 신살을 몇가지만 예시를 들면.. 먼저 어느 해에 어떤 방위를 잘 못 범하면 안 된다는 금기에 관한 것이 있습니다. 파패오귀(破敗五鬼), 그리고 죽음과 울음을
남북교류 빨리 돼라 지금 국토부에서 님아 좀 자제염 크리먹고 폴더안에 잠들어있는 것들 많다 ㅋㅋㅋㅋㅋㅋ 4.27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첫 정상회담 지나고나니 다들 어디서 튀어나오는지 아이템들 무지막지하더만. 블라쪽 시사 게시판은 보수성향이 강해서 무슨 반응이 나올지 모르겠지만 비핵화와 대북제제가 없어지면 한국 건설사들이 숨통이 트이다 못해 거의 제3차 중동붐에 가까울 정도로 빅웨이브가 올 것 같음. ㅡ 그게 중국 업체들한테 먼저 선점당해 털리지만 않는다면말이지. 나도 엔엘뽕 먹은 애들이 북한 지하자원이 어쩌고 하는 건 상당히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임. 북한 자원 냉정히
장중특징주 링크 ▶️ 4월 27일 장중 특징주 ●유비케어/인피니트헬스케어/케어랩스/인성정보/비트컴퓨터 한국형 뉴딜 정책 기대감에 원격 진료 관련주 강세 ●에이프로젠 H&G/에이프로젠 KIC/에이프로젠제약 에이프로젠 3사 합병 소식에 강세 흐름 지속 ●한류AI센터 한류타임즈 M&A 결정에 상한가 ●현대약품 당뇨병 치료제 신약후보 물질 美 임상 2상 승인 소식에 급등 ●유티아이 폴딩유리 UFG, 폴더블폰 적용 기대감 등에 급등 ●에코바이오 자회사 에코에너지 및 에코바이오수소 흡수합병 결정에 급등 ●디티앤씨 '양전자단층촬영 분자영상기술' 개
단기스윙 실적 *익절종목 - 이수화학 20.4.24(금) - 20.4.27(월) - 바이넥스 20.4.24(금) - 20.4.27(월) - 와이아이케이 20.4.27(월) -20.4.28(화) - 윌비스 20.4.27(월) -20.4.29(수) - 세중 20.4.27(월) - 20.4.28(화) - 비덴트 20.4.28(화) -20.5.4(월) - 티웨이홀딩스 20.4.28(화) - 20.4.29(수) - 원유선물 20.4.28(화) - 20.5.4(월) - 나인테크 20.5.4(월) - 20.5.4(월) - 한국프렌지 20.5
전기계장업체 종사자분들께 질문드립니다..(이직) 안녕하세요 최근 헤헌에게 태그한 업체들 중 dcs엔지니어로 이직 제의를 받았습니다. 저는 현재 생산기술에 종사하고 있고 전공은 기계공학입니다. PLC를 많이 알지는 못하고.. 사용하는 정도입니다.(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ㅠ) 사실 DCS라는 분야를 들어보긴했지만 실질적으로 접해보지는 않아서 정확히 어떤 업무를 하고 어떤 스킬이 필요한지 잘 몰라서 이렇게 블라에 글을 남깁니다. 우선 제가 이직을 생각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서울 태생이라 그런지 서울에서 살고싶습니다..(현재 세종 근무중입니다) 물론 계장 비즈니스를
상승률 Top30 [21년 6월 30일(수) 상승률 TOP30] 1. 한창산업 (30.00%) :최재형 전감사원장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승 2. 제노포커스 (29.99%) :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한국 법인과 '코로나19 진단 원료' 독점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한가 기록 3. 이니텍 (29.96%) : 경기도 공공배달 앱 “배달특급” 사업자 스마트로 ⇨ 이니텍 종속회사 ⇨ 이재명관련주 부각 추정 4. 범양건영 (29.82%) : : 이재명 경기도지사 '기본주택' 정책 관련 수혜주로 부각되며 상한가정 5. 한국종합기술
5월 10일 글로벌증시 마감시황 ▶ 5월 10일 글로벌증시 마감시황 다우(-0.26%) 나스닥(+0.98%) S&P(+0.25%) 상해(+1.06%) 심천(+1.53%) 항셍(-1.84%) - 미국증시는 기술주 강세에도 혼조세를 기록 - 10년물 美 국채금리가 3%를 하회하며 구글(+1.67%), 엔비디아(+3.81%) 등 대형 기술주가 나스닥지수 상승을 견인 - 윌리엄스 뉴욕연준 총재는 인플레이션과 고용 문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파월 의장의 50bp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발언 - 또한 바이든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 시절 부과한 대중
테슬라 기가베를린 업데이트 펌 (메리츠증권 김준성) 링크 빛준성. 출처 : https://home.imeritz.com/bbs/BbsRead.go?bbsGrpId=bascGrp&bbsId=invest03&bbsCnttTurnNo=12053&listCnt=10&pageNum=1&searchDiv=&searchText= 안녕하세요 메리츠증권 김준성입니다. Tesla Giga Berlin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 Giga Berlin의 의미 - 연간 생산능력 500,000대. Model Y 주간 5,000대 생산을 목표로 초기 가동 개시 - 배터리 양산 라인은 4680 생산을
잘 맞지 않는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 안녕? 난 3년차 it엔지니어야 여지껏 프로젝트랑 유지보수 뛰면서 잘 살고있다고 생각했는데..자꾸 나에겐 어려운? 업무가 찾아와서 토로를 하려고.. 난 대체로 혼자 연구해서 결론을 내고 그걸 우리 제품에 적용하거나 이짓저짓(?)을 열심히 해서 제품 버그를 찾는다거나 하는 일을 잘하는 것 같아. 명확히 답이 있는? 컴퓨터를 대상으로 하는? 뭐 그런일 뭐 별일 아닌 것 같긴 하다만..😥 근데 요즘 자꾸 인간을 만족시켜야 하는 일을 하게 돼 신규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 경쟁입찰에 필요한 제품 시연 시나리오 작성,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2021년 2월 15일 상승률 TOP30 2021년 2월 15일 상승률 TOP30 1. 동방(29.99%) : 쿠팡 美상장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쿠팡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2. 이디티(29.97%) : 저시총주, 러시아백신 관련주 이화전기 상승 속, 이화전기가 이디티 주주인 점 부각에 상한가 3. 맥스로텍(29.95%) : 59.98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상한가 4. 영풍제지(29.92%) : 쿠팡美 상장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5. 이아이디(29.92%) : 러시아백신 '스푸트니크 V' 유럽 진
어제의 상승주 오늘의 상한가 및 급등주 ■ 비에이치 (090460) (+29.93%) 공동 개발 5G 안테나,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퀄컴 케이블 최종 사용 승인 소식에 상한가 ■ 코오롱머티리얼 (144620) (+29.92%) 정의선 수석부회장, 친환경 시장 선도적 지위 확보 관련 발언에 수소차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바른손 (018700) (+29.91%) 모더나, 코로나19 임상 시험서 대상자 전원 항체 형성 소식 속 모더나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에이비프로바이오 (195990) (+29.91%) 모더나, 코로나19 임상 시험서 대상자 전원 항
상승률 top30 1. 엑세스바이오 (30.00%) : 제약바이오주, 시총1조3천억대, 진단기기사업, 미 FDA에서 연속 검사용 코로나19 진단키트 긴급사용승인 허가 ⇨ 진단키트관련주 순환매 2. KCTC (30.00%) : 물류관련주, 시총2600억대, 항만&운송사업, 해운 운임 상승세 지속 환경 속 ⇨ 물류관련주 내 순환매 추정 3. 현대비앤지스틸 (29.81%) : 철강주, 시총4000억대, 스테인리스강판사업, 글로벌 경기 개선 ⇨ 전방 자동차&가전산업 회복세 ⇨ STS강판사업 부각 4. 팜젠사이언스 (29.72%) : 제약바이오주, 시총2
it개발자들의 현실 요즘보면 it개발자하면 신격화 되는듯 합니다. 네카라쿠배는 기술고시 위로 취급 받고 연봉은 1억 2억 3억 계속 올라가듯이 얘기하고 아무리 평판 안좋고 대우 안좋아도 개발자라는 거에 너무 취해있는거 같아 제 생각을 적어봅니다. 그리고 개발자에 대한 환상때매 주변에서 늦게 개발자 공부를 시작하고 섵부르게 진입하는 사람이 많아 현실을 알고 진입했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필자는 서성한 컴공 나와서 모비스에서 adas sw개발자이구요. 주변에 cs 전공한 사람 많고 관련해서 보고 듣고 느끼는게 적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의 현실
마도로스가 뽑아보는 주관적인 부산의 좋은 회사(사기업) 리스트 5편 오랜만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주관적인 사기업 평가이며 글쓴이가 문돌이기에 문돌이가 갈 수 있는 포지션 또는 회사에 대한 애착 또는 편향이 묻어날 수 있음을 미리 양해 부탁 드립니다. 산뜻한 봄을 만끽하시길 바라며 5편 시작하겠습니다. 동원개발 부산시민이라면 다 알꺼라 짐작되는 그 회사 동원개발. 동원 '비스타'로 인지도 2010년 초중순부터 떡상한 부산향토기업. 건설업계 종사자라면 다 알겠지만, 장복만 회장의 사업수완만큼은 입지전적이라는 평가를 받음. 본사는 범일동에 소재, 2022년 지금까지도 부산 동
이항 보고서 관련 레딧 반박글 이항 관련 래딧 글 퍼옴 Neimengu 7 시간 전 · 편집 된 시간 3 시간 전 보고서 전체를 읽었는데 보고서에 적힌 내용 중 상당수가 합산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나의 경우, EHang의 AAV 부분은 비즈니스의 작은 부분에 불과합니다. 정기 드론과 드론 배송은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이익이 발생하지만 보고서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둘째, EH와 협력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주요 회사 중 하나는 항공 업계의 선두 기업인 FACC이며, 보고서에서 한 번도 언급 한 적이 없습니다. 셋째, 그들은 EH가
오늘의 상승률 top30 1. SK바이오팜 (30.00%) : 제약바이오주, 시총16조7천억대, 신약개발사업, 신규상장주 강세, 3연상 2. 알티캐스트 (29.96%) : SW관련주, 시총300억대, 디지털방송용SW사업, 차지인 전기차 폭발 방지 콘센트 개발 → 차지인 투자 부각 3. 영화테크 (29.89%) : 자동차부품주, 시총900억대, 정선박스사업, 현대차의 수소전기 대형트럭 양산체계 구축 소식 → 현대차에 수소상용차용 LDC부품 공급 부각 4. 알에프세미 (29.86%) : 반도체주, 시총400억대, 반도체소자사업, 단국대 구용서 교수팀 실리
오늘의 증시 상승률 top 30 2020년 5월 27일 상승률 TOP30 1. 라파스 (29.94%) : 제약바이오주, 화장품관련주, 시총1700억대, 마이크로니들사업, 치매 치료용 도네페질 패치 임상1상 승인 + 글로벌 백신기업 세럼과 B형 간염 및 소아마비 백신 패치제 공동 개발 추진 계획 부각 2. 티플랙스 (29.93%) : 금속주, 미중분쟁관련주(희토류), 시총900억대, 스테인리스봉강사업, 코로나19 책임론 → 홍콩 국가보안법 → 미중분쟁 노이즈 부각 3. 인포마크 (29.86%) : 통신관련주, 인공지능관련주, 시총200억대, 웨어러블기기&모바일
마도로스가 뽑아보는 주관적인 부산의 좋은 회사(사기업) 리스트 4편 어느덧 4편이 왔습니다. 설 연휴를 앞둔 월급쟁이의 마음으로 가볍게 써보겠습니다. ABB 굴지의 3대 엔지니어링 회사 (GE,SIEMENS,ABB) 중 하나인 그 ABB 맞음. 부산 금정구 / 센텀에 사무소 소재. 굳이 적는 이유는 사업부가 다른 대기업 사무소 보단 규모가 크고 채용도 종종 있어서 모르는 분이 계실까봐. 금정구 (터보차저 사업부) / 센텀 (마린 & 항만 사업부)로 나뉘어져 있고 터보차저 사업부는 분할해서 스위스 증권시장에 상장 예정. ABB코리아 본사는 서울 삼성동 파르나스 타워?에 소재 하고 있으며, 최근
2021년 2월 15일 상승률 TOP30 2021년 2월 15일 상승률 TOP30 1. 동방(29.99%) : 쿠팡 美상장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쿠팡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2. 이디티(29.97%) : 저시총주, 러시아백신 관련주 이화전기 상승 속, 이화전기가 이디티 주주인 점 부각에 상한가 3. 맥스로텍(29.95%) : 59.98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상한가 4. 영풍제지(29.92%) : 쿠팡美 상장 추진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5. 이아이디(29.92%) : 러시아백신 '스푸트니크 V' 유럽 진
[EOS]형들을 위해 호재정보 투척한다 링크 +현재 이오스시총이 11조인거 참고들해라 [블록원과 저명한 투자자들이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1,900억 원 )의 자금으로 Bullish Global을 출시하고 2021 년 새로운 암호화폐 거래소 Bullish를 출시 발표!] 투자자 : Peter Thiel, Alan Howard, Louis Bacon, Richard Li, Mike Novogratz, Christian Angermayer, 글로벌 투자 은행 Nomura EOSIO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 블록원은 오늘 새로 설립 된 자회사 Bullish
한국증시 상승률 top30 1. TCC스틸 (30.00%) : 철강주, 시총500억대, 석도강판사업, 중국 철강재 재고 완화 ⇨ 밀어내기 수출 우려 완화 ⇨ 중소형 철강주 동반 반등 2. 문배철강 (29.93%) : 철강주, 시총500억대, 판재류사업, 중국 철강재 재고 완화 ⇨ 밀어내기 수출 우려 완화 ⇨ 중소형 철강주 동반 반등 3. 서울바이오시스 (29.93%) : LED관련주, 코로나19관련주, 신규상장주, 시총6800억대, LED칩사업, 코로나19 바이러스 잡는 공기청정기 국내외 출시 예정 4. 고려제약 (29.86%) : 제약바이오주
테슬라 주식을 산 이유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정말 죄송스런 말씀이지만, 여기 블라인드에 가입되어 있으신 여러분들(나를 포함해서) 다 AI와 로봇으로 대체될 인력들이라고 생각하거든 일단 차량부터 앞으로 10년 내에 자율주행을 넘어 무인차가 대세가 될 거 같고, 많은 일들이 로봇이나 AI를 통해서 하게 되겠지. 인간이 소비자 역할이라도 맡을 수 있으면 다행이겠지만(그래서 앤드류 양이 미국 민주당 경선에서 기본 소득제를 주장하고 있지) 난 그 점도 회의적이야. 오히려 유발 하라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AI-로봇이 생산의 주체이자, 소비의 주체도 되는 사
상승률 top30 1. 진매트릭스 (30.00%) : 제약바이오주, 코로나19관련주, 시총3100억대, 의약품&진단기기사업, 옥스퍼드대 연구진 코로나19 백신 10월 공급 기대 ⇨ 해당 연구진 창업 회사 백시텍 지분 보유 부각 2. 우리들휴브레인 (29.97%) : 제약바이오주, 시총1300억대, 의료기기사업, 비비비&셀트리온 공동개발 코로나19 진단키트 출시 임박 ⇨ 비비비 지분 10% 보유 부각 3. 알에프세미 (29.97%) : 반도체주, 시총400억대, 반도체소자사업, 멤스 마이크로폰 개발 완료 소식 부각 4. 휴마시스 (29.96%)
한국증시 상승률 top 30 20년 5월 19일 상승률 TOP30 공개용(관리종목, 우선주 제외) 1. 케이시티 (29.96%) : 금융관련주, 화폐개혁관련주, 시총500억대, 금융기기사업, 한국은행 디지털화폐 발행을 위한 기술 검토 ⇨ 화폐개혁관련주 부각 2. 피델릭스 (29.92%) : 반도체주, 시총400억대, 팹리스사업, 화웨이 제재 ⇨ 미중 분쟁 ⇨ 중국 반도체 자급론 ⇨ SMIC 4조원 투자 ⇨ 피델릭스&SMIC 기술 제휴 부각 3. 에이비프로바이오 (29.91%) : 기계&제약바이오주, 시총1500억대, 절삭기계사업, 美 모더나사의 백신 기대
(인생한탄) 기구한 내인생.. 나이제 뭐해먹고 살지? 부모님 은 20대에 다 돌아가심.. 고1 입학할때 IMF.. 어머니 암투병 시작하심.. 제대로된 용돈은 커녕.. 도시락도 재대로 못싸 다니는 고등학교 생활을 함. . 대학 입학하자마자 엄니돌아가심. 휴학하고 일 시작.. 군대갔다와서 인천공항 건설 노가다 하며 학비벌고 복학한 후엔 주말에 용접사 어시 노가다 하며 학교 화학공학과 다님.. 20대 중반 아버지 돌아가심. 여차저차 취업준비 할 때 즈음 되니 리만브라더스 사태.. 취업문 닫힘.. 2년간 기계공학 더 공부하고 학위도 받고 자격증도 많이 취득해서
고아원과 보육원 언젠가 어떤 여자가 배가 부른 체 수녀님들이 운영하는 미혼모 시설을 찾았다. 그 여자가 슬퍼하며 시설로 왔을 지, 아무렇지도 않게 시설에 왔을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내가 아는 것이라고는 그녀는 수녀원에서 운영하는 병원에서 아비없는 아이를 낳았고, 이름조차 지어주지 않고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 여자가 낳은 아이가 나였다. 나를 이뻐했던 간호사가 내 이름을 지어주었다. 그 이름은 은근히 나쁘지 않았고 아직도 나는 누가 그 좋은 이름을 지어주었냐는 질문을 받는다. 철이 없었던 시절에는 내가 태어났던 병원의 간호사가 작명하였다고 솔직히
현대차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종목토론방이나, 국뽕이 조금 심한 사람들이 현대차의 기술력은 이제 뭐 선진국메이커에 견줘도 안밀리는 레벨이라 품질우위로 기술장벽산업화해서 살아남을거라는 이상한 환상을 품는데 자동차산업은 우리가 그러했듯 후발주자가 따라가기 존나쉬운사업이다. 더 막대한 자본집약적 건조물이었던 조선업도 짱깨한테 탈탈 털렸는데 더 좆만한 자동차가 왜 어려울꺼라고 생각하는지.. 미국의 디트로이트가 그렇게 무너졌고 1945년 종전직후에 100cc미만 엔진도 민간에서 찍어내느라 피를 토하던 경차따리 일본자동차가 어느 정도의 규모 까지 성장했나? 한편 세
어제 한국증시 상승률 top30 2020년 5월 22일 상승률 TOP30 공개용(관리종목, 우선주 제외) 1. 블러썸엠앤씨 (29.97%) : 화장품주, 시총500억대, 화장용스펀지사업, 라임자산운용관련주 이미지, 재료미노출, 개별 등락 2. 유니온머티리얼 (29.89%) : 금속주, 미중분쟁관련주, 시총1400억대, 페라이트 마그네트&세라믹사업, 미중분쟁 관련 희토류관련주 이미지 순환매 3. 디아이씨 (29.87%) : 자동차부품주, 시총700억대, 부품사업, 재료미노출, 개별 등락 4. 노바텍 (26.65%) : 전자부품주, 미중분쟁관련주, 시총1000
Top
한길타임즈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TA-50 전술입문용훈련기 (자료사진: 한길타임즈편집부) [이승준 기자] 방위사업청(청장 왕정홍)은 전술입문용훈련기 2차 사업 기종인 한국항공우주산업의 TA-50 Block 2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전술입문용훈련기(TA-50)는 전투조종사가 전투비행대대에 배치되기 전 무장 및 레이더 운용 등 전술임무를 숙달하는 항공기로 고등훈련기인 T-50과 동시에 개발되어 2012년에 1차 전력화가 완료됐다.
전술입문용훈련기 2차 사업은 공군 전투조종사 양성을 위해 부족한 전술입문용 훈련기를 추가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공군 조종사 양성에 필요한 입문, 기본, 고등, 전술입문등 모든 비행훈련에 필요한 항공기를 국내개발된 항공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항공기 개발국가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전술입문용훈련기가 추가로 도입되면 전투조종사의 훈련 효과가 증대돼 F-15, F-16 및 향후 전력화될 F-35A, KF-X 등 최신 전투임무기에 대한 전투조종사들의 적응이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방위사업청과 한국항공우주산업(주)간의 이번 계약은 국내 항공산업에 활기를 불어넣어 1조 9636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8,893명의 고용창출효과를 발생시키고, 사천, 창원 등 항공산업과 연계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T-50 계열 항공기는 2011년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인도네시아에 T-50I 16대 4억 불의 수출계약을 시작으로 2013년 이라크에 T-50IQ 24대 10억 불, 2014년 필리핀 FA-50 13대 4억 불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한민국 방산무기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메인 페이지 가기
지역운영기관별 여건에 따라 강의 요일 및 시간 배정 가능 - 현장실습 : 문화예술단체·기관, 문화사업 현장 등에 배치되어 인턴십 활동 추진 · 인턴십 기간 : 주당 20시간 이상, 8주 내외(10월~11월) ㅇ 강사진 구성 - 멘토강사 : 특강사례들을 포함하여 전체 과정을 끌고 가면서 전체 의미 부여, 해석 및 개념잡기 코칭, 교육생과 소통 - 특강강사 : 유명강사 및 사례중심의 성과와 과제 발표 - 사례교육 : 사업이 검증된, 히스토리를 갖고 있는 사례 중심, 성과와 과제 (성공, 실패사례, 한계요소 짚어내기) ㅇ 현장실습 활동 주요 사항 - 심화교육과정 강좌형 교육 수료 후 문화예술단체·기관, 문화사업 현장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지역문화 기획 실무 능력 배양 및 지역문화 발전 기여 · 지역의 문화예술단체·기관에 일정시간 근무, 배치 · 지역문화사업, 축제 등 현장 활동인력으로 참여 - 인턴쉽 기간 : 주당 20시간 이상, 8주 내외 - 현장실습 기간 중 성과공유 워크숍 진행(1~2회) ㅇ 교육계획 수립 및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운영 시 주안점 - 주단위 교육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교육 수행 - 학술적 이론교육과 현장실무를 병행한 강의, 참여토론, 현장사례, 미션수행 등의.
(하위) 대전 89일, 울산 96일, 부산 106일 전국 지역축제 총괄표 기준 평균 지역축제 예산 ∘ 2014년 기준 전국 지역축제 예산은 평균 846백만원 ∘ 충청남도(1635백만원), 경상남도(1464백만원), 강원(1275백만원) 순으로 관내 기초자치단체 평균 축제 예산액이 높은 것으로 확인 일인당 장서수 증가율 ∘ 2014년 기준 전년대비 장서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는 경기도 동두천시 ∘ 광주광역시의 관내 자치단체의 도서증가율이 타 시도에 비해 가장 높음. □ 지역문화 활동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결과 요약 문화 활동 활동 현황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 및 사회적 기업 수 ∘ 229개 중 160개 자치단체에서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 및 사회적 기업을 보유 ∘ 서울특별시가 총 265개로 가장 많으며, 경남(95개), 부산(91개) 순 활동 인력 기초자치단체 소속 학예전문인력 및 문화재 관리인력 ∘ 229개 자치단체 중 65.9%인 151개의 기초자치단체가 학예전문인력 및 문화재 관리인력 고용 ∘ 가장 많이 고용한 기초자치단체는 수원시 일관당 법정사서직원 확보율 ∘ 일관당 법정사서직원 확보율은 93.57% 문화관광해설사 수 ∘ 229개 자치단체 중 155개(68.0%)에서 문화관광해설사.
근무처 내 최소 1인 이상의 내부인력이 상주해야 함. ❍ 공모 마감일 기준 자체 명의의 고유번호증 혹은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한 곳 ※ 민간위탁시설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맺은 위탁계약서 첨부 ❍ 지역문화인력을 근로기준법에 근거하여 근로자로서 법적 지위 보장 및 4대 보험 가입, 표준근로계약서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근로계약 체결해야 함. ❍ 지역문화인력을 기관 단순 사무·행정 보조가 아닌, 기관 내 고유직무를 부여하여 인력이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지역문화인력을 전담하여 관리할 수 있는 내부 담당자(멘토)를 반드시 지정하여 내·외부 교육을 통해 인력양성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함. ※ ‘멘토’는 사업 담당자와 다른 역할로, 지역문화인력의 성장을 위한 멘토링이 가능한 자 ❍ 지역문화진흥원이 추진하는 교육 필수참석, 멘토링 보고서 제출 등 □ 지원기간 및 방법 ❍ 공고 및 접수기간: 2021년 2월 1일(월)~15일(월) 17시 ❍ 신청방법: e나라도움을 통한 신청(www.gosims.go.kr) ❍ 제출서류 ※ 제출서류 작성 후 e나라도움 내 업로드 1) 사업신청 공문 2) 지원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3) 사업자등록증, 고유번호증.
▶ 기관>지문원 지역문화기관 공모·선정 지역 문화인력 선정 통합공모 지원서 취합 서류 및 면접 심사 운영 계약체결 및 지역문화 기관 근무 지역문화인력 인건비 정산 Ⅲ 지원대상 및 지원사항 □ 지원대상 ❍ (공통사항) - 신규 지역문화인력의 지원을 희망하는 곳 - 본 사업을 통하여 지역 내 문화인력을 발굴하고 내·외부 교육을 통해 인력양성의 의지가 있는 곳 ❍ (공공문화시설 및 기관) - 생활문화시설: 지역문화진흥법 제 2조에 의거하여 규정된 생활문화시설 중 생활문화센터, 지방문화원 문화의집 - 기초문화재단: 지역문화진흥법 제 19조에 의하여 설립된 지역문화재단 중 지역주민의 공통 관심사로 이루어진 정기적인 모임·동아리가 있거나,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공연·축제·마을장터·교육·기타 프로그램 등의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공간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 ❍ (민간문화단체) 2021년 2월 기준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으로 구성된 민간문화예술단체, 비영리법인 중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지역문화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곳 ※ 상시 근로자 수 계산법: 근로자의 연인원 / 1개월 중.
명 :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구축 2단계 사업 ㆍ수 요 기 관 : 한국문화정보원 이 입찰 설명서는 조달청이 집행하는 입찰에서 입찰자와 낙찰자가 숙지하고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기재한 것으로써 모든 입찰 희망자는 이를 열람하여야 합니다. 이 입찰과 관련하여 추가로 문의할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입찰 참가 자격 등록, 나라장터 시스템 : 정부조달 콜센터(☎ 1588-0800) ○ 입찰공고, 개찰, 계약방법 등 : 서울지방조달청 정보기술용역과 송승환(☎ 02-590-8804) ○ 수요기관 연락처 : 제안요청서, 구매물품에 대한 상세 내역 등 문의 한국문화정보원 문화정보융합부 김은종 (☎ 02-3153-2897) 본 건 입찰에 참가하는 자는 다음의 입찰 설명서를 구성하는 공고서 및 각종 규정, 규격서(제안요청서 포함) 등을 반드시 열람하고 숙지하여야 하며, 숙지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입찰자에게 있습니다. 규격 착오 또는 규정의 미숙지 등으로 입찰자가 계약을 체결하지 않거나, 계약을 체결하고 불이행하거나, 입찰공고와 계약서에 명시된 계약의 주요조건을 위반한 경우 관계법령에 따라 부정당업자로 제재되어 일정기간.
* 지역문화실태조사 35개 항목 중 주요 항목(약 10개 내외) 1년 단위 갱신 지원 * 주요 갱신항목: 베리어프리 인증 비율, 문예회관 공연장 공연일수, 도서관 주당 개방시간 등 * 광역시도 및 시군구 데이터 입력인력지원 방안 구체적 제시(인력파견 등) - 추가 구축 데이터 품질 점검 *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전국지역축제총괄표, 박물관·미술관 운영현황실태 보고서 등 - 데이터 표준 기반 추가확보 데이터 분석용 변환 □ 지역문화 관련 정책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ㅇ 구축된 데이터 마트를 통한 분야별 정책 결정 지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ㅇ 향후 다양한 정책결정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융/복합 데이터 마트 구축이 가능한 개방형 시스템 구축 □ 메타데이터시스템 관리 및 운영 ㅇ 지역문화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ㅇ 데이터 표준 준수 주기적 검증 관리 - 행안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기반 데이터 표준 관리 * 행안부 메타데이터 등록(갱신) 및 파일 업로드 - 표준화 준수 모니터링 및 변경이력 관리 □ 수집데이터 품질개선 및 관리체계 수립 ㅇ 수집데이터 품질관리 및 개선을 위한 통합모니터링 체계 구축 -.
: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ㆍ수 요 기 관 : 한국문화정보원 이 입찰 설명서는 조달청이 집행하는 입찰에서 입찰자와 낙찰자가 숙지하고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기재한 것으로써 모든 입찰 희망자는 이를 열람하여야 합니다. 이 입찰과 관련하여 추가로 문의할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입찰 참가 자격 등록, 나라장터 시스템 : 정부조달 콜센터(☎ 1588-0800) ○ 입찰공고, 개찰, 계약방법 등 : 서울지방조달청 정보기술용역과 김지혜(☎ 02-590-8690) ○ 수요기관 연락처 : 제안요청서, 구매물품에 대한 상세 내역 등 문의 한국문화정보원 문화정보융합부 김은종(☎ 02-3153-2897) 본 건 입찰에 참가하는 자는 다음의 입찰 설명서를 구성하는 공고서 및 각종 규정, 규격서(제안요청서 포함) 등을 반드시 열람하고 숙지하여야 하며, 숙지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입찰자에게 있습니다. 규격 착오 또는 규정의 미숙지 등으로 입찰자가 계약을 체결하지 않거나, 계약을 체결하고 불이행하거나, 입찰공고와 계약서에 명시된 계약의 주요조건을 위반한 경우 관계법령에 따라 부정당업자로 제재되어 일정기간 입찰참여가.
Free) 인증 비율(2017년 현재) 장애인인증개발원 13 공연장·전시장·공공도서관 내 임산부 등을 위한 휴게시설 비율(2017년 현재)* 지자체 자원 활용 14 문예회관 공연장 가동일 수(2017년 당해)* 지자체 15 전국 지역축제 총괄표 기준 평균 지역축제 예산(2017년 당해) 전국지역축제총괄표 16 기초자치단체 지원 마을축제 건 수(2017년 당해)* 지자체 문화 활동 활동 조직 17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 수(2017년 현재) 예술경영지원센터 18 문화예술 관련 사회적 기업 수(2017년 현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활동 인력 19 인구 만 명당 등록예술인 수(2017년 현재) 한국예술인복지재단 20 학예전문인력 및 문화재 관리인력(2017년 현재)* 지자체 21 인구 만 명당 문화예술교육사 수(2017년 현재)* 지자체 22 문화관광해설사 수(2017년 현재)* 지자체 23 법정사서직원 확보율(2017년 당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문화 향유 지역 주민 24 인구 만 명당 자체 기획 문화예술 공연 건 수(2017년 당해)* 지자체 25 ‘문화가 있는 날’ 기초자치단체 기획사업 건 수(2017년 당해)* 지자체 소외 계층 26 통합문화이용권 이용률 및 카드 발급률(2017년 당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7.
지역축제, 자연경관 및 특산물브랜드화 사업, 단기적 일회성 사업 등 ㅇ (시상 규모) 대상 1(문체부장관상, 5천만원), 최우수 1(문체부장관상, 3천만원), 우수상 1(문체부장관상, 2천만원) ㅇ (선정 방법) 전국 지자체 대상 공모 후 심사위에서 선정 □ 심사 방법 ㅇ (심사 절차) 2단계 심사(서면심사 ⇒ 현장심사) ㅇ (심사위 구성) 외부 전문가 등(지역문화, 도시마케팅, 문화예술 분야 등) ㅇ (심사 기준) 문화브랜드의 소재의 고유성, 지역의 대표성, 지역 주민 참여, 브랜드의 창의성 및 브랜드 상품성 등 □ 지원 사항 ㅇ (문화부장관상) 선정된 지자체에 대해서는 문화부장관상 수여 ㅇ (인센티브 사업비) 선정된 지자체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사업비 지원 ㅇ (컨설팅 지원) 신청 지자체중 희망 지자체에 대한 컨설팅 기회 제공 ㅇ (언론 홍보) 언론사 연계 우수 문화브랜드 사례 확산 □ 추진 일정 ㅇ (공모접수) ‘15. 6월 ㅇ (심사 및 현장 방문) ‘15. 7 ~ 8월 ㅇ (최종 선정) ‘15. 8월중 ㅇ (시상 및 인센티브 지원) ‘15. 8월 이후 ※ 시상식 : ‘15. 10월 문화의 달 기념식 붙임 2 2014 지역문화브랜드 대상 선정 결과 □ 대상 : 경남 통영시 『꿈을 그리는.
① 지역관광 전략거점 조성 □ 관광객이 서울, 경기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을 방문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국제적인 지역관광 거점을 육성하겠습니다. ㅇ 우선, 남북정상회담 등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널리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알려진, 세계 유일의 생태·역사문화 자원인 비무장지대(DMZ)를 ‘평화관광거점’으로 육성하고, 비무장지대(DMZ) 문화관광축제, 걷기여행길 조성 등을 통해 세계인이 널리 찾는 평화관광지로 브랜드화 하겠습니다. ㅇ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개최지 명성을 활용한 올림픽 연계 관광상품 개발 및 해외 전지훈련단 유치 등을 통해 강원지역을 ‘겨울·스포츠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겠습니다. ㅇ 교통, 콘텐츠가 집적된 핵심도시를 관광전략 거점도시로 육성하고,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등 고부가산업과 지역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지역관광 수익성을 높이겠습니다. * 관광을 통해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고부가가치 관광사업 ② 매력적인 지역특화 관광콘텐츠 확충 □ 지역관광의 매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특화콘텐츠를 발굴하겠습니다. ㅇ 섬‧바다‧갯벌 등 다양한 잠재력을 가진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하여 내외국인.
지역특화 관광콘텐츠(예: 전통무예 체험여행) 육성 검토 전통무예 지역 스토리(테마/ 가제) 연계 관광지 택견 충주 이크 에크 옛 택견판 세계무술박물관, 수안보, 하늘재 등 태권도 부산 오륙도 바다를 돌려차다 유엔기념공원, 이기대갈매길, 자갈치시장 등 무주 위대한 체인지의 시작 태권도원, 덕유산, 와인동굴 등 궁도 (국궁) 동해 설렘 반, 호기심 반 망상오토캠핑리조트, 동해논골담길 등 제천 활에게 길을 묻다 측백숲, 옥순봉 자드락길, 모노레일 등 ㅇ (세계적 문화관광축제 육성) 브라질 삼바축제, 스페인 토마토 축제와 같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품 지역축제 육성 추진 - 핵심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갖추고, 수용태세 등 축제 운영 인프라가 정비된 축제 중 지원 대상을 선정, 상품개발 등 지원 - 세계적인 축제 육성을 위해 관광진흥법 개정* 추진 * (가칭) 대한민국 대표축제 육성 선정기준 및 지원방법 등에 관한 사항 □ 일상의 삶과 비공개 장소의 관광자원화 문화재청, 환경부, 문체부, 중기부, 지자체 ◇ 잘 알려지지 않은 장소와 일상의 삶을 새롭게 관광자원화 하여 다양한 시각의 지역 관광코스 개발 ㅇ.
□ 여가문화 확산에 따른 레저·관광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양관광은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유망산업으로 주목 * 취업유발효과(10억원당 취업자수) : 서비스업(7.3), 제조업(8.8), 관광업(18.9) ㅇ UN관광기구는 관광인구가 ‘30년 18억명(‘15년 12억)까지 증가하며, 미래 10대 관광트렌드*의 절반이 해양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 해변, 스포츠, 생태, 농어촌, 크루즈, 문화, 도시, 모험, 테마파크, 국제회의 □ 해양관광 수요는 강릉선 KTX와 고속도로(상주․영덕) 개통 등 해안지역 접근성 개선과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시간 확대로 증가 전망 “와이키키같은 여기. YY키키 양양입니다-서핑인구 10만↑”(’18.5.24, C일보) “낚시인 700만 시대, 등산인 이겼다-낚시어선 이용객만 400만”(’18.4.19, S신문) ㅇ 국내 6대 광역시 조사(’17 해양관광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해양관광 이용경험은 99.3%로 해양레저, 어촌체험마을, 해양스포츠 등 다양화* * 해수욕장 99%, 도서관광 45%, 해양레저 26%, 어촌마을 26%, 해양스포츠 21% □ 모바일·온라인·SNS를 통한 정보공유와 예약으로 접하기 어렵던 수중레저, 마리나, 크루즈 등 고부가가치.
..FILE:[별첨3]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정보 그림(인포그래픽)/국제적인 지역관광 거점 조성.jpg ..FILE:[별첨3]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정보 그림(인포그래픽)/지역주도 관광산업.png ..FILE:[별첨3]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정보 그림(인포그래픽)/지역특화 콘텐츠 확충.png
성장을 위한 기반 과제 ▶ 법제 정비, 기금 운영 방식 개선, 기금성과 관리 재설계 등 성장 기반 마련 ▶ 정책 연계를 통해 타 중앙 및 지자체 유관 사업과 상호 협력 도모 장기적으로는 지역신문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반 과제를 마련,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지역신문의 지원 근간이 되는 법・제도 정비를 위해 ▲ 특별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현재 2022년까지인 한시법을 ‘상시법’으로 전환하는 것을 추진하고, ▲ 각종 일・주간지 차별 조항을 개선한다. 또한 지역신문의 발전과 지원을 위해 필요한 중앙부처의 타 정책사업과 연계해 ▲ 언론인 근로조건 개선, ▲ 공정한 지역언론 생태계 조성, ▲ 지역언론사의 유동성 위기 극복 지원 등을 상호 협력해나갈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 기본계획의 시행으로 역동적인 혁신을 통한 디지털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라며, “지역미디어 육성과 진흥을 도모해 지역신문이 ‘지역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별첨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17~2019)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2016), 「언론사의 디지털 혁신과 조직 문화」 □ 지역신문 ㅇ (신문, 인터넷, 방송 등 협업) 종이신문의 콘텐츠를 근간으로 인터넷과 방송, SNS 등 다채널 연결 크로스 미디어 지향 ㅇ (편집 개선) 지면 문패 통일감 부여, 컬러 전략 활용, 슬림 편집방식 도입, 뉴스분류 구체화, 스페셜 기사 부각 등 ㅇ (독자 확보) 지역과 독자 밀착형 보도, 콘텐츠 질 강화, 기술과 전략 교육을 통한 지역신문 역량 강화와 공유 < 지역신문사 디지털 혁신 및 조직 개편 주요 사례> 구분 내용 부산일보 ∙디지털 미디어국과 멀티미디어부(편집국)로 이원화하여 23명을 배치해 운영 - 디지털미디어국: 시스템 관리, 온라인 마케팅, 앱 개발, 전광판 영업 등 담당 - 멀티미디어부: 영상뉴스, 자체 뉴스, 채널A, 영어방송 납품, 업데이트,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유통 등 담당 ∙지면뉴스 외에 50% 정도 추가뉴스를 멀티미디어부와 서울지사에서 작성 - 온라인 뉴스는 지면에 보도되지 않은 뉴스뿐 아니라 연예 및 이슈 위주로 추가서비스를 수행 - 과거 뉴스 디지털 DB화, 자체 앱 개발 전략 추진(모바일 부산일보, 부산맛집, 닥터Q 등) 매일신문 ∙뉴미디어부(편집부)와 전산팀(편집국 2명.
- □ 지역신문 ㅇ (신문, 인터넷, 방송 등 협업) 종이신문의 콘텐츠를 근간으로 인터넷과 방송, SNS 등 다채널 연결 크로스 미디어 지향 ㅇ (편집 개선) 지면 문패 통일감 부여, 컬러 전략 활용, 슬림 편집 방식 도입, 뉴스분류 구체화, 스페셜 기사 부각 등 ㅇ (독자 확보) 지역과 독자 밀착형 보도, 콘텐츠 질 강화, 기술과 전략 교육을 통한 지역신문 역량 강화와 공유 < 지역신문사 디지털 혁신 및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조직 개편 주요 사례> 구분 내용 부산일보 ∙디지털미디어국과멀티미디어부(편집국)로이원화하여23명을배치해운영 -디지털미디어국:시스템관리,온라인마케팅,앱개발,전광판영업등담당 -멀티미디어부:영상뉴스,자체뉴스,채널A,영어방송납품,업데이트,유통등담당 ∙지면뉴스외에50%정도추가뉴스를멀티미디어부와서울지사에서작성 -온라인뉴스는지면에보도되지않은뉴스뿐아니라연예및이슈위주로 추가서비스를수행 -과거뉴스디지털DB화,자체앱개발전략추진(모바일부산일보,부산맛집, 닥터Q등) 매일신문 ∙뉴미디어부(편집부)와전산팀(편집국2명,경영부서2명)으로이원화해서운영 ∙플랫폼은외주제작을통해운영,2014년모바일앱체제도입 ∙페이스북,트위터연동서비스제공 경남도민일보.
이메일 : [email protected] 지역의 독서문화 증진을 통해 전국 독서 열풍 일으킨다. -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독서문화축제 지역 순회 개최, 독서문화진흥 조례 제정 등 추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국민 독서 생활화를 위해 올해 총 19억원을 투입하여 국민 독서문화 증진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정부주도의 대표적 독서행사인 ‘독서문화축제’를 지방에서 개최하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독서프로그램을 지자체(10곳)에 제공하여 취약한 지역의 독서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의 독서문화가 지속적․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독서문화진흥 조례」제정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소외계층에 대한 균등한 독서기회 보장과 독서 접근권 확대를 위하여 전국 교정시설(40곳)과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며, 60세 이상 어르신으로 구성된 ‘책 읽어주는 실버문화봉사단 북북'이 저소득층 아동 등을 찾아가 책을 통한 소통과 나눔을 실현한다. 또한, 독서 생활화를 위하여 영․유아 대상 ‘북스타트’ 지원을 확대(10만명)하여 생애 초기 독서습관 형성을 도모하고, 국민의 독서력 향상과 독서활동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온․오프라인.
- 지역 거점 서점 10곳 선정, 지역 주민 대상 다양한 독서프로그램 지원 2. 독서생활화를 위한 사업 추진 (401백만원) 독서관련 네트워크 구축(30백만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온라인 독서DB 운영, 전 국민 독서 생활화를 위한 서비스 제공 - 온라인 독서캘린더, 국내외 독서정보, 기관별 추천도서, 독서칼럼 등 독서사진 공모(25백만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독서 참여활동 권장을 위한 독서 사진 공모․시상(30명) - 수상작품 전국 순회 전시 등 독서행사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 독서아카데미 운영(282백만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영․유아 독서교육과정(2회, 60명), 아동․청소년 독서교육과정(2회, 80명) 학교도서관 사서, 교사, 지자체공무원 대상 전문교육과정(15회, 420명) 사이버 독서교육과정(72회, 14,400명) 청소년 대상 독서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64백만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학교 등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준별 독서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시범운영 15회) - 교육청 등 청소년 유관기관과 협력 추진 3. 연중 독서운동 전개 (380백만원) ‘책, 세상을 만나다’ 독서캠페인(150백만원/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공영방송과 연계한.
담당자 사무관 김명혜 (044-203-2809) 한국관광공사 책임자 팀장 이용 (033-738-3541) 지역관광개발팀 담당자 차장 변정섭 (033-738-3543) 붙임1 ’22년도 한국형 지역관광추진조직 사업선정 결과(총 19개) □ 2022년 공모 사업자 최종 선정 결과(14개) 구분 광역 기초 사업자(명) 비고 본지원 (1~2년차) 경남 진주시 (재)진주문화관광재단 1년차 전남 신안군 (사)신안군관광협의회 1년차 해남군 (재)해남문화관광재단 1년차 충남 공주시 (사)공주시관광협의회 1년차 금산군 (재)금산축제관광재단 1년차 강원 동해시 (사)동해문화관광재단 1년차 강원 평창군 (사)평창군관광협의회 2년차 충북 영동군 (재)영동축제관광재단 2년차 경남 남해군 (재)남해군관광문화재단 2년차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통영시 (재)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2년차 전남 광양시 (사)광양시관광협의회 2년차 후속지원 (3년차) 충남 홍성군 (주)행복한여행나눔 3년차 전북 고창군 (재)고창문화관광재단 3년차 경기 고양시 (사)고양시관광컨벤션협의회 3년차 □ 2022년 관광거점도시 추천 조직 선정 결과(5개소) ㅇ 부산시(부산관광공사), 강릉시(강릉관광개발공사), 목포시(목포문화재단), 안동시(안동시관광협의회).
- 붙임1 ’22년도 한국형 지역관광추진조직 사업선정 결과(총 19개) □ 2022년 공모 사업자 최종 선정 결과(14개) □ 2022년 관광거점도시 추천 조직 선정 결과(5개소) ㅇ 부산시(부산관광공사), 강릉시(강릉관광개발공사), 목포시(목포문화재단), 안동시(안동시관광협의회), 전주시(전주관광마케팅주식회사) 구분 광역 기초 사업자(명) 비고 본지원 (1~2년차) 경남 진주시 (재)진주문화관광재단 1년차 전남 신안군 (사)신안군관광협의회 1년차 해남군 (재)해남문화관광재단 1년차 충남 공주시 (사)공주시관광협의회 1년차 금산군 (재)금산축제관광재단 1년차 강원 동해시 (사)동해문화관광재단 1년차 강원 평창군 (사)평창군관광협의회 2년차 충북 영동군 (재)영동축제관광재단 2년차 경남 남해군 (재)남해군관광문화재단 2년차 통영시 (재)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2년차 전남 광양시 (사)광양시관광협의회 2년차 후속지원 (3년차) 충남 홍성군 (주)행복한여행나눔 3년차 전북 고창군 (재)고창문화관광재단 3년차 경기 고양시 (사)고양시관광컨벤션협의회 3년차 ..PAGE:4 - 4 - 붙임 2 2021년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성과 우수사례 지역관광추진조적명 주요 성과 우수사례 비고.
하나은행이 모바일 중심의 언택트 트렌드에 맞춰 고객센터를 통한 가입 편의성 증진과 감성 마케팅을 통한 손님 만족을 추구하고자 ‘손님케어적금’을 출시했다. [사진제공=하나은행]
하나은행(은행장 지성규)은 18일, 모바일 중심의 언택트 트렌드에 맞춰 고객센터를 통한 가입 편의성 증진과 감성 마케팅을 통한 손님 만족을 추구하고자 국내 최초로 고객센터 전용 상품인 ‘손님케어적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손님케어적금’은 디지털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중장년층을 주 대상으로 하며 고객센터를 통해 신규 가입 시 우대금리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고객센터 전용 상품이다. 실명의 개인 또는 개인사업자(1인 1계좌)를 대상으로 매월 1000원부터 20만원까지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하며 가입기간은 1년이다.
금리는 기본금리 0.7%에 우대금리 1.4%를 추가해 최대 연 2.1%까지 받을 수 있다. 우대금리는 고객센터 통한 신규가입인 경우 0.2%, 마케팅 동의 시 0.5%, 자동이체 등록 시 0.5%, 소중한 손님(예·적금 해지 손님, 생일 도래 손님 및 적금 미 보유 대출 손님, 적금 첫 거래 손님) 우대 0.2%로 구성됐다.
하나은행 미래금융그룹 염정호 그룹장은 “디지털 소외 손님을 위해 고객센터를 통한 편의성 증진과 차별화된 손님 만족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고객센터 전용 상품을 출시하였으며 향후 누구나 간편하게 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여 손님 만족을 지속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상품 출시 기념으로 8월 18일부터 10월 30일까지 ‘손님케어적금’ 신규가입 손님 중 1111명을 추첨하여 11월 중 3000원 상당의 하나머니 또는 기프티콘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시한다.
글로벌 거래 플랫폼을 만끽하라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지면신문보기
블록체인 교육기업 에듀해시 “글로벌 블록체인 사업 나선다”
- 기자명 남미래 기자
- 입력 2018.10.29 09:46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블로그(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글로벌 IT 솔루션 기업 DXC테크놀로지와 손 잡다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플랫폼인 에듀해시(EduHash)가 연매출 30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인 DXC테크놀로지와 손잡고 블록체인 사업에 나선다.
지난 25일 에듀해시는 DXC테크놀로지, ‘비즈니스를 극대화하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의 효율적인 도입’이라는 주제로 법무법인 (유)율촌과 공동으로 주최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컨퍼런스(EBC) 2018 SEOUL’ 행사에서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블록체인을 도입한 글로벌 비즈니스들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블록체인과 비즈니스와의 융합 방안과 관련 법률 및 조세이슈에 대한 상세한 해설이 이어졌다.
전중훤 DXC테크놀로지-에듀해시 부회장은 “DXC테크놀로지와 에듀해시의 결합은 단순한 파트너십이 아닌 공동사업체로서, 이는 에듀해시의 블록체인 기술 및 비즈니스 리더십이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이며, 에듀해시는 DXC테크놀로지와 한 팀이 되어 아시아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이끌어 전 세계 블록체인 리더로서 우뚝 서게 될 것이다”라고 강한 포부와 자신감을 밝혔다.
발표자로 나선 DXC테크놀로지 아시아를 총괄하는 아시아 최고기술책임자 Randeep Kapur는 컨퍼런스 현장에서 DXC테크놀로지의 많은 산업군 컨설팅 인사이트를 참석자들과 공유하고, 에듀해시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리더십을 인정하여 에듀해시는 DXC테크놀로지와 함께 한국, 아시아, 글로벌시장에 한 팀으로 블록체인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DXC테크놀로지는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으로서 70개 국가에서 약 6,000개의 민간 및 공공부문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 세계 134,000여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는 매출 30조원 이상의 글로벌 IT 솔루션 기업이다. 행사를 기획한 김재규 에듀해시 회장은 “이번 행사는 에듀해시의 축적된 블록체인 관련 기술력과 노하우를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면서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세계적으로 명실상부한 대표적인 블록체인 컨퍼런스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