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거래 시스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마스크영역

외환 거래 시스템

베네수엘라의 새로운 외환관리시스템 SICAD(외환거래보완시스템) 개요
- 기존 외환표시공채거래시스템인 SITME를 대체하는 경매식 외환공급 시스템-

2013-04-30
카라카스무역관
김철희([email protected])

○ 2003년 베네수엘라 정부는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외환 거래를 금지시키고 정부의 외환거래시스템인 CADIVI(외환관리위원회)를 도입하고 그외 시장의 외환거래는 불법화시킴.

- CADIVI는 수입업자, 해외 여행자, 해외 거주민, 학생 등 다양한 자국 국민에게 필요한 US달러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정부 기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수입업자들은 CADIVI를 발급받기 위해서 다양한 정부 기관으로부터 매우 복잡한 16개의 자격 요건을 충족시켜야 되는데 때때로 이를 달성하는데 18개월이 소요되기도 함.

- US달러가 당국 수입업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해외 수출업자의 계좌로 직접 송금

- 2003년 1달러당 2.15볼리바르로 시작된 거래 환율은, 2013년 2월 8일 정부의 평가절하 발표 이후, 1달러당 6.30볼리바르가 되었으며 고정 환율이 됨.

○ CADIVI 도입 이후, 동 외환 거래 시스템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환 거래를 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과 업체는 환율 변동이 있는 외환 거래 시스템 불법 암시장을 통해 US달러를 얻어 오고 있으나, 2013년 4월 30일 기준 1달러당 외환 거래 시스템 24볼리바르라는 높은 환율로 인해 수입업자들에게 경쟁력을 주지는 못하고 있음.

○ 일간지 EL UNIVERSAL에 외환 거래 시스템 의하면, 베네수엘라의 2012년 일일 수입 금액은 2억달러이며 세계적인 수입국으로 여겨지고 있음.

- 경제학자들의 분석에 의하면, CADIVI 일일 평균 외환 거래량은 US$7,000만으로 부족한 외환규모는 외환 거래 시스템 1억3,000만 달러로 알려졌는데 달러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이런 상황은 지속적인 암달러 환율의 상승을 야기함.

○ 2010년 6월, 정부는 암달러 환율을 낮추기 위해 새로운 외환 거래 시스템인 SITME(외환 거래공채시스템) 를 도입한 바 있음.

- 동 시스템을 통해 기업은 BCV(중앙은행)의 유가증권을 구입한 후, 판매하는 것을 통해 US달러(달러당 5.30 볼리바르)를 얻는 것이 가능해졌으나 문제는 동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서는 매일 충분한 양의 유가증권이 요구된다는 것이었고 이는 정부와 PDVSA(석유공사)에게 점차적으로 국가 재정과 채무 문제를 가중시켰음.

- SITME의 운영 초기 일일 평균 거래량은 2,500~4,500만 달러로 CADIVI의 공급 부족을 상당부분 충족시켜 주었으나, 운영에 따른 국가의 채무가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2013년 2월 8일 동 시스템이 폐지되고 3월 이를 보완한 새로운 외환 시스템인 SICAD(외환거래보완시스템)가 도입되었음.

○ 새로운 ‘Superior Currency Body(외환상위기관)’ 산하에 운영되는 SICAD는 일종의 경매식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SITME와 유사하나 전처럼 유가증권을 통하는 것이 아니라 PDVSA 오일 펀드를 이용하여 거래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임. 2013년 동 펀드를 통한 거래규모는 410억 달러에 달함.

외환 거래 시스템

티맥스소프트(대표 박대연 www.tmax.co.kr)가 일본의 대표적인 인터넷 네트워크 기업 인터넷이니셔티브재팬 테크놀로지(IIJ-Tech)와 함께 인터넷 기반의 차세대 외환거래(FX)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금번 외환거래 시스템 개발에는 기반 플랫폼으로 티맥스소프트의 WAS(웹애플리케이션서버) 제품 ‘제우스(JEUS)’을 비롯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프로프레임(Tmax ProFrame)’, DBMS(데이터베이스관리) 솔루션 ‘티베로(Tibero)’, RIA(리치인터넷애플리케이션) 솔루션 ‘프로웹(Tmax ProWeb)’과 비즈니스룰관리시스템(외환 거래 시스템 BRMS) ‘프로룰(ProRule)’이 사용된다. 현재 이 시스템은 프로토타입이 이미 개발 완료됐으며, 내년 3월 상용 버전의 패키지 SW를 개발 완료해 4월부터 금융기관이나 외환거래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외환거래의 급증에 따른 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외환거래 시스템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가용성 및 즉시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일본 외환거래 사업자들의 경우 지금까지 사용된 ASP(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공급업체)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자체 시스템으로 이행, 시스템 투자의 억제, 금융제도 변경의 유연한 대응, 채무 분석•관리 기능의 강화 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일본 최초로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시작한 IIJ-Tech는 자사의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티맥스소프트와 함께 신뢰성이 높은 차세대 외환거래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외환 거래 시스템 결정했다.

이번 시스템은 티맥스소프트의 DBMS 솔루션 ‘티베로’를 적용하여 외환 거래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와 고객들에게 환율 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또한 환율변동 리스크나 레버리지(leverage) 리스크를 시스템적으로 감소시켜 외환거래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즉시성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개방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IIJ-Tech의 웹호스팅 감시 서비스를 통해 시스템 장애나 통신 장애에 의한 거래 정지를 방지한다. 이 외에도 티맥스소프트의 RIA 솔루션 ‘프로웹’을 통해 개발되는 거래주문 화면은 심플하면서도 조작성이 뛰어나며, 가격 차트를 비롯한 투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티맥스소프트 해외사업그룹 배학 사장은 “국내 금융 차세대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티맥스소프트가 이제 일본 금융 IT 시장에서도 기술력과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며, “일본을 비롯해 각 해외법인들에서 외환 거래 시스템 주목할 만한 성과들을 거둬 본격적인 글로벌 SW기업의 위용을 보여 주겠다”고 말했다.외환 거래 시스템

외환 거래 시스템

(~2022-07-14 23:59:00 종료)

모아시스 이벤트 모아시스 이벤트

--> 티맥스소프트는 일본의 인터넷 네트워크 기업인 인터넷이니셔티브재팬테크놀로지(IIJ-Tech)와 함께 인터넷 기반의 차세대 외환거래(FX)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외환거래 시스템 개발에는 기반 플랫폼으로 티맥스소프트의 웹애플리케이션서버(WAS)인 ‘제우스’를 비롯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프로프레임’,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인 ‘티베로’, 리치인터넷애플리케이션(RIA) 솔루션인 ‘프로웹’ 및 비즈니스룰관리시스템(BRMS)인 ‘프로룰’ 등이 사용됐다.

이 시스템은 프로토타입이 개발 완료됐으며, 내년 3월 상용 버전의 패키지 소프트웨어(SW) 개발을 완료해 4월부터 금융기관이나 외환거래 사업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티맥스소프트의 DBMS인 ‘티베로’를 적용, 외환 거래시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및 고객들에게 환율 등의 정보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또 환율변동 리스크나 레버리지 리스크를 시스템적으로 감소시켜 외환거래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즉시성을 확보해준다.

특히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개방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IIJ-Tech의 웹호스팅 감시 서비스를 통해 시스템 장애나 통신 장애에 의한 거래 정지를 방지한다. 이밖에 티맥스소프트의 RIA 솔루션 ‘프로웹’을 통해 개발되는 거래주문 화면은 심플하면서도 조작성이 뛰어나며 가격 차트를 비롯한 투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IIJ-Tech은 금번 외환거래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되면 향후 이를 토대로 잔금결제거래(CFD)나 주식 거래 등 타 금융상품의 온라인 시스템 개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외환 거래 시스템

우리 8000억원・신한 1조원대

거래의혹 드러나면 징계 받나

신한은행 사옥 ⓒ 신한은행

신한은행 사옥 ⓒ 신한은행

우리·신한은행의 거액외환 이상거래 흐름이 발견된 가운데, 거래액 일부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와 관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규모 자금이 ‘환치기(불법 외환거래)’일 가능성이 외환 거래 시스템 있어 금융당국의 검사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지점에서 발생한 거액의 외환 이상 거래에 대해 수시 검사에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추가 파악중이다.

외환이상 거래액 규모는 우리은행 지점 8000억원, 신한은행 1조원대로 외환 거래 시스템 추정된다. 금감원은 불법 외환거래가 의심되는 계좌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수입대금 결제 명목으로 이뤄진 결제가 맞는지, 절차상의 문제, 자금 세탁 의혹 등에 초점을 맞추고 검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검사 기간도 당초 2주에서 한 달 가까이 진행되고 외환 거래 시스템 있다.

금융권에서는 두 은행이 가상자산이 해외보다 국내에서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김치 프리미엄'을 이용한 환치기에 이용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식으로 외환거래를 하면 환전 수수료를 내고, 자금의 출처를 밝혀야 하지만 환치기를 통해 불법으로 차익을 실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만약 외환 이상 거래에서 이들 은행의 문제가 사실로 확인되면 강력한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 실제 하나은행의 경우 지난 5월 말 2000억원대 규모의 외환 거래법 위반으로 금감원으로부터 과징금 5000만원을 부과받았다. 해당 지점은 4개월 업무정지를 당했다.

최근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일련의 횡령 사고가 발생하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내부통제 제도 개선 방안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은행권도 이에 따라 내부 외환거래 시스템 등을 정비하고 있다.

실시간뉴스

서막 오른 4680 배터리 전쟁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대중 무역적자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新 금리노마드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재유행 방역대책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한은 빅스텝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시험대 오른 한은

마스크영역

신한銀, '외환거래 디지털 점검 시스템' 도입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이미지 네이버블로그
  • 주소복사 이미지 주소복사

최종수정 2021.08.31 10:33 기사입력 2021.08.31 10:33

신용장 심사 자동화로 업무 효율성 및 정확도 향상

[아시아경제 이광호 외환 거래 시스템 기자]신한은행은 외환거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해 은행권 최초로 외환거래 전반에 '외환 거래 시스템 외환거래 디지털 점검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31일 밝혔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1월 외환문서 디지털화를 통해 무역거래 기반 자금세탁(TBML) 점검 자동화를 이행했으며 이번 외환거래 디지털 점검 시스템을 도입하며 축적된 외환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과 서류 이미지 문자 변환(OCR) 기술을 활용한 신용장 심사 및 글로벌 생션 거래 자동탐지 시스템을 구축했다.외환 거래 시스템

AI·OCR기술을 활용한 신용장 심사는 디지털로 변환된 외환서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신용장 통일규칙 및 신용장의 조건과 일치 여부를 체크하고 외환서류 상호간 내용 불일치, 필수 서류 누락 여부 등의 신용장 점검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신한은행은 무역대금 지급 거래를 위한 필수 절차인 신용장 점검 업무를 자동화로 전환해 점검 속도 및 품질이 크게 향상돼 고객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제재국과의 거래에 대한 자동탐지 기술을 구축해 자동 탐지함으로써 외환 업무시 발생할 수 있는 글로벌 제재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으며 전세계 글로벌 채널에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강화된 글로벌 외환거래 규제속에서 디지털 전환은 필수 과제"라며 "향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외환 업무 전반의 디지털화를 완성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