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 자금 관리자
그룹 BTS 소속사인 하이브(옛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미국 종합미디어사인 이타카홀딩스 인수 과정에서 외환 딜링(FX) 및 송금 업무를 NH농협은행이 맡는다. 이 과정을 거쳐 스쿠터 브라운,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타카 소속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이 하이브 주주로 올라선다. 앞서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전 과정은 NH투자증권을 주간사로 진행된 바 있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스쿠터 브라운, 저스틴 비버 등 하이브의 제3자 유상증자 배정 대상자는 NH농협은행의 FX거래를 통해 1818억원의 신주 취득 원화자금을 마련한다. 이들은 비거주자 외국인에 해당돼, 하이브의 신주 취득 원화자금 마련을 위해 미국 달러(USD) 환전 등 딜링 거래가 필요하다.
천억원대의 대규모 딜에 NH투자증권의 설득과 NH농협은행은 적극적인 영업을 통해 거래를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이타카홀딩스 주주 등 외국인 투자자의 법률대리인인 A 법무법인은 NH농협은행이 아닌 타 시중은행과의 FX거래를 지속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거래안정성 및 신속한 업무 종결 등의 이유로 경쟁은행 지정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NH농협은행이 B 법무법인과 협의 끝에 FX거래은행으로 최종 낙점됐다. NH농협은행은 이번 FX거래 관련 FX 자금 관리자 리스크와 헤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각별히 공을 들여 신뢰도를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NH농협은행은 총 1억6300만달러 규모의 현물환 거래 성사와 더불어 FX 자금 관리자 제3자 배정 대상자 외국인의 대외계정과 투자전용 대외계정, 투자전용 원화계정 등을 보유하게 됐다. 또, 보호예수기간 1년 종료 후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시 추가 FX거래 우선권도 확보 가능성도 열어놨다.
IB업계 관계자는 "FX거래은행 지정에 실질적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하이브에 NH농협은행이 거래 내용과 규모, 일정, FX거래 필요성 FX 자금 관리자 등을 파악하고, 외국환사업 역량을 어필해 증자대금 납입까지의 전 과정 진행을 약속해 해당 업무를 따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하이브는 지난 FX 자금 관리자 4월 아리아나 그란데와 저스틴 비버 등 세계 정상급 가수들이 포진한 유명 글로벌 아티스트 소속사 이타카홀딩스 인수를 밝힌 바 있다.
하이브는 자회사인 빅히트 아메리카를 통해 이타카홀딩스 지분 100% 인수대금과 차입금 상환자금 등 10억5000만 달러(약 1조1860억원)를 지불하기로 하고, 빅히트 아메리카의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동시에 하이브는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4400억원을,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약 1800억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이번 FX거래가 이뤄진 제3자 배정 대상에는 스쿠터 브라운 아티카홀딩스 대표 등 기존 경영진과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타카 소속 아티스트들이 포함됐다. 저스틴 비버와 아리아나 그란데는 각각 하이브 신주 5만여주를 보유하게 됐다.
기업고객들이 은행을 방문하지 않고 사무실에서 모든 은행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국내외에서 24시간 업무처리가 가능해져 인력과 비용의 부담을 크게 줄이고 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미은행은 인터넷을 통해 기업자금을 관리할 수 있는 ‘CAT-i’시스템을 개발해 우량거래처에 지원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1년여에 걸쳐 개발 완료한 CAT-i를 지난 6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중인데 28일 현재 500여개의 기업과 사용계약을 체결했다.
한미은행의 CAT-i는 보안부문에 있어 기존의 PC뱅킹과 펌뱅킹의 기능은 물론 입력 정보뿐만 아니라 CAT-i시스템내에 있는 모든 정보를 128bit로 암호화 처리했고 사용업체가 직접 인터넷에서 접속해 이용자의 거래권한 등을 등록토록 했다. 또한 다단계 결제관리체계를 도입, 승인단계를 거쳐 각종 출금이 이뤄지도록 했고 사용시마다 전혀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토록 해 보안부문을 크게 강화했다. 기능에 있어서는 입금관리, 출금관리, 자금관리, 무역/FX, 그리고 보고서로 구성돼 전체적인 보안시스템이 가동돼 안전하게 처리되는 특징을 갖는다. 사용업체는 인터넷에 접속해 각 이용자를 신규등록해 사용토록 돼 있어 회사에서 회계항목별, 제품별, 판매대리점별, 구매처별 자금관리업무가 가능토록 시스템을 구성했다.
특히 입금관리 기능 중 타행 집금 서비스는 CAT-i의 FX 자금 관리자 FX 자금 관리자 핵심기능으로 한화면에서 사용업체의 여러 은행에서 산재되어 있는 계좌를 전체적으로 조회하고 한 개의 모계좌로 집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국내외 출장이 잦은 자금관리자의 경우 이용이 편리하다.
Nord FX 리베이트
Please avoid churning as it is not accepted by brokers. If you simply wish to generate rebates for your account without actually trading, please don't, as such rebates will be voided by the broker.
What is Nord FX Cashback?
Forex rebates (or cashback) is cash you get back (ie cash-back) for FX 자금 관리자 each trade you make. Just like with any cashback, you get paid back for performing your regular transactions with the service (FX 자금 관리자 a forex broker in our case) and get paid back part of the cost you’re being charged by Nord FX.
Important to note that each broker has different cashback rates for account types and instruments.
For example, you can receive a cashback of 0.5 pip for each EURUSD trade but no cashback for GOLD trades. Moreover, each broker has different rebates payment terms, such as payment timing (trade open/close, end of month) or trading requirements (minimal trade duration).
PAYBACKFX provides real-time reports of each of your cashback (when possible) so you can be rest assured that each and every rebate you should receive is paid to your account.
Nord FX forex rebate is a must for any forex trader since it increases your profitability and cuts down costs, and unlike some of our competitors, your trading terms such as the spreads or commissions you pay never change.
How Nord FX cashback works?
When we refer you to Nord FX to open a new trading account or link an existing trading account under our referrer (when possible), the Nord FX pays us a commission which is mostly paid back to you in the from of cashback.
How much Nord FX cashback can I earn?
Nord FX cashback will depend much on your trading volume, the larger the volume the more cashback you will receive.
Below you can use our Nord FX cashback calculator to estimate the monthly or yearly cashback
FX는 트레이더에 따라 트레이드 환경의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합니다.
절대 아닙니다! 유감스럽지만 이렇게 생각하는 분들은 해외FX업체와 국내FX업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늘 이 내용으로 그렇지 않다는것을 증명해 드리겠습니다.
계좌에 있는 잔액을 마이너스로 되지 않게 하는 시스템이 바로 제로컷이라는 FX 자금 관리자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이 제로컷은 국내FX업체에는 없고 해외FX에만 있는 것이지만 그 이유도 설명하겠습니다.
FX를 시작함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것은 이익보다도 그 무엇보다도 위험을 피하기 위한 안정성입니다.
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로컷은 빼놓을 수 없는것입니다.
좀 어려운 내용이라도 꼭 한번 읽어봐주세요.
FX업체의 강제 손절매의 의미와 위험
먼저 손절매라는것을 설명하겠습니다.
FX트레이더를 하고 있으면 추가증거금이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FX트레이드를 시작할 때 담보로 되는 증거금으로서 자신의 자금을 계좌에 입금하는데 트레이드중 그 필요한 증거금이 부족한 상태로 되면 FX업체는 추가로 증거금을 더 입금하도록 요구합니다.
예를 들면 증거금 유지율이 20%인 FX업체에서 트레이드를 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증거금 100만엔(1000만원)으로 200만엔(2000만원)의 (레버리지 2배인 트레이드)를 합니다.
시간이 지난 후 매수를 한 통화의 가격이 60만엔만큼 내려갔습니다.
100만엔(증거금) - 60엔(내려간 가격)=40만엔
40만엔(남은 증거금) ÷ 200만엔(거래금액)=20%(증거금 유지율)
이때 매수를 넣은 통화금액이 60만엔을 넘으면 증거금 유지율은 20%보다도 낮아집니다.
즉 추가 증거금이 발생합니다.
추가증거금이 발생하면 증거금 유지율을 20%보다도 크게 유지하기 때문에 트레이드를 하는 계좌에 추가로 자신의 더 자금을 넣어야 합니다.
만약 자금을 더 넣지않고 증거금 유지율을 회복시키지않으면 FX업체에 의해 자동으로 결제가 실행되어 트레이드가 종료됩니다.
강제 손절매(로스컷)가 일어나는 것은 어떤 경우 일까요?
추가증거금이 생긴다는것은 현재 계좌 잔액이 각 FX업체가 정하고 있는 증거금 유지율보다 낮다는 것을 인식하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증거금이 생기면 제한된 기간전에 증거금을 추가로 입금해서 증거금유지율을 회복해야 합니다.
증거금 유지율보다 많으면 추가증거금 자체는 없어지는 시스템 제도입니다.
너무 빠듯하게 입금을 하면 다시 또 추가증거금이 생길 수 있기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자신의 자금과의 균형을 생각하면서 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제한된 기간전에 필요한 증거금을 입금하지 않은 경우, 트레이더 본인과는 상관없이 FX업체는 강제적으로 포시션을 없앱니다.
큰 사건이 일으키는 강제 손절매의 경우
실제 트레이드에서는 급격한 대폭락(스위스프랑 쇼크, 리만쇼크)이 일어나는 경우도 제로는 아닙니다.
주식투자에서는 FX와 조금 다른 투자자 보호제도의 관점으로부터 그날에 매도하는 가격 폭의 제한이 있습니다.FX 자금 관리자
속히 상한가, 하한가라고 부릅니다.
한편 FX에는 이런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급격한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은 한없이 커질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급격한 FX 자금 관리자 환율변동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트레이더한테도 알리지 못한 타이밍에서 강제 손절매를 실행합니다.
예상치 못한 급격한 환율변동에 의한 강제 손절매에서는 증거금유지율을 회복하기 위한 추가증거금보다 더 막대한 금액을 요구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막대한 금액을 요구받고 큰 빚을 지게 됩니다.
이런 위험은 보통 국내FX업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해외 FX업체에서는 원칙적으로 이와같은 위험이 없습니다.
해외 NDD(NON Dealing Desk : 딜러없음)방식과
국내 DD(Dealing Desk : 딜러있음)방식
국내와 해외의 거래방법의 다른점을 설명하겠습니다.
이것은 제로컷에 관한 중요한 사항입니다.
DD의 경우에는 내주문→외환거래브로커→인터뱅크에 주문이 들어가는 방식이며
NDD는 내주문→인터뱅크에 주문이 들어가는 방식인데
대부분의 회사들이 DD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NDD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국내 FX의 DD방식
한국 국내 FX업체는 NDD방식을 이용하는 업체도 있지만 대부분 DD방식의 거래방법을 이용합니다.
FX는 주식시장과 같은 증권거래소라는것이 존재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인터뱅크라고 부르는 시장이 있습니다.
인터뱅크시장은 은행사이에 이루어지는 거래시장입니다.
DD는 FX업체를 거쳐서 들어가는 주문방식이라 수수료를 먹고사는 업체의 경우 큰 수익이 되지 않으므로 트레이더가 돈을 잃어야 업체가 더 많은 수익을 챙기는 시스템으로 많은 트레이더들이 좋아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해외 FX의 DD방식
한편 해외FX업체는 기본적으로 NDD방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NDD의 경우는내 주문을 FX업체를 통하지않고 직접 국제은행과 거래하도록 연결해주는 시스템으로 많은 주문자들이 좋아하는 방식입니다.
제로컷의 제도와 스위스프랑사건
계속하여 거래방식이 따라 국내FX와 해외FX는 각각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국내FX업체에 추가증거금이 있는 이유
국내 FX업체는 추가증거금을 받고 있지만 거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DD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위한 수익구조가 깊게 관계되어 있습니다.
DD방식은 트레이더의 매매주문을 인터뱅크 시장에 직접 연결 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트레이더가 거래할때 약정을 재량 할 수 있고 관계되는 시스템 내에서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재량에 의해 거래 차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것은 즉 거래마다의 재량에 의해 수익도 예측할 수 있는 대신에 FX업체 자체가 추가증거금을 대신 지불해야되는 위험도 생깁니다.
추가증거금을 대신 지불하면 손실이 생기고 FX업체도 사업을 계속함에 있어서 어렵게 됩니다.
이런 이유가 추가증거금을 생기게 하는 원인으로 되어 트레이더한테서 추가증거금을 요구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해외FX업체에 추가증거금이 없는 이유
해외 FX업체의 NDD방식은 트레이더의 매매주문을 인터뱅크시장에 직접 연결시키기 때문에 해외FX업체는 기본적으로 거래부분에서의 수익은 일체 없습니다.
수익근원은 거래할 때 생기는 수수료뿐입니다.
즉 알기 쉽게 말하면 트레이더의 거래횟수에 업체의 수익이 의존하고 있는것입니다.
해외FX업체가 이 수익구조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심하고 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트레이드 환경을 제공하고 트레이드 횟수를 무제한으로 늘려서 수익도 무제한으로 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로 컷이라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제로컷은 최악의 사태(스위스프랑쇼크, 리만쇼크등)에 빠져도 추가증거금이 생기지않고 큰 손실에 의하여 빚을 질 우려도 없습니다.
라는 경우도 절대 없고 제대로 된 트레이드 조건이 적용되기 때문에 매우 안심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을 마련하는것으로 트레이더는 보다 적극적으로 트레이드에 참가 할 수 있고 거래횟수의 증가로 해외FX업체의 수익도 올릴 수 있습니다.
높은 레버리지와 비트코인(가상화폐)의 추천
FX는 트레이더에 따라 트레이드 환경의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합니다.
어떤 트레이드에 있어서도 제일 중요한 사항은 트레이더의 손실을 지키기 위한 리스크 관리라고 생각합니다.
관리자는 제로컷의 시스템에 의하여 이런 부분(리스크관리 부분)이 해외FX업체와 국내FX업체사이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고 실감했습니다.
최악의 경우 제로컷이 없는 강제 손절매에 의한 추가 증거금에 따라 큰 빚을 질수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길게 트레이드를 해왔기 때문에 큰 빚을 지고 인생이 한순간에 무너져 버린 트레이더도 몇사람이나 봤습니다.
이렇게 해외FX업체의 제로컷 시스템이라는 장점을 확실하게 인식합시다.
그리고 관리자는 환율변동에 따라 볼러틸리티(예상변동률)가 강한 비크코인의 가격변동을 이용한 가상화폐FX(비트코인FX)가 이익을 목표로 하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FX 자금 관리자
HM월드 주범 2명 징역 14년형 확정…IDS홀딩스 출신들 사기 행각 가담
[비즈한국] IDS홀딩스 금융다단계 사기사건과 관련해 로비스트이자 실세인 류 아무개 회장(61)이 구속 기소되면서 정부와 정치권을 아우르는 배후세력의 실체가 드러날지 관심이 모아진다(관련기사 [비즈한국 근성추적] IDS홀딩스 실세 구속, '대형 게이트' 터지나 ).
이런 가운데 ‘비즈한국’ 취재 결과 유사한 성격의 사건이지만 사기 FX 자금 관리자 규모만 1조 원을 넘는 IDS홀딩스에 비해 1000억 원대에 그친 HM월드에 대한 사법당국의 잣대가 형평성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아울러 IDS홀딩스의 주요 모집책들이 HM월드로 자리를 옮겨 중책을 맡아 활동하면서 HM월드의 사기행각에 일조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IDS홀딩스는 2011년 1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홍콩 FX마진거래에 투자하면 월 1~10%배당금을 FX 자금 관리자 주고 1년 내 원금 상환 조건으로 1만 2706명으로부터 1조 960억 원을 가로챘다.
FX마진거래 상품이란 통화 간 환율 변동을 통해 시세 차익을 얻는 투자 방식으로 전형적인 ‘고위험, 고수익’의 투기성이 강한 상품이다. HM월드는 IDS홀딩스와 동일한 FX마진거래 방식을 동원해 사기행각을 벌였다.
HM월드는 뉴질랜드 소재 외환선물거래 회사 솔포렉스(Solforex)란 회사에 2014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FX마진거래에 투자하면 원금 보장과 월 2.5% 배당금을 주고 3097명으로부터 1660억 원을 챙겼다. HM월드는 사명을 HM인베스트에서 HM파이낸스대부로 바꾸었다.
사기 규모만 놓고 보면 IDS홀딩스는 HM월드에 6.6배에 달한다. 하지만 두 사건을 드러난 사법부의 형량을 보면 IDS홀딩스에 지극히 관대하다는 논란이 제기된다.
김성훈 IDS홀딩스 대표(47)는 2014년 9월에도 IDS홀딩스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672억 원을 가로챈 사기와 유사수신행위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2016년 8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의 판결을 받은 바 있다. 회사 대표가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도 IDS홀딩스의 사기 행각은 계속돼 1조 원을 더 모집했다.
반면 김 아무개 HM월드 대표(41), 자금관리자 정 아무개 씨(45)는 김성훈 대표와 같은 사기와 유사수신혐의로 기소됐으나 구속된 상태에서 재판을 받았다. 김 대표와 정 씨는 대법원으로부터 올해 7월 징역 14년형을 확정받았다.
유 아무개 솔포렉스 대표(43)는 베트남으로 도주했다가 지난해 4분기 검거돼 사기와 유사수신혐의로 구속기소, 1심에서 징역 14년형을 선고받았다. 유 대표는 오는 26일 2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김성훈 IDS홀딩스 대표는 FX 자금 관리자 1조 원대 사기와 방문판매업법 위반 혐의로 지난해 9월에야 구속기소됐고 올해 2월 1심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았다가 올해 9월 2심에서 징역 15년형으로 형량이 늘었다.
이민석 법률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IDS홀딩스 사건에 대해 검찰은 2014년 9월 김성훈 대표를 불구속기소하면서 지난해 9월 그를 구속기소할 때까지 2년간이나 사기행각을 벌이는 것을 방치했다”며 “반면 검찰과 법원은 HM월드 사건 주범에 대해선 처음부터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했다. 형평성 논란이 안 생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불법금융 추방 전문 카페인 백두산카페, HM월드 피해자 모임 카페에 따르면 HM월드 조직은 본부장, 지점장, 모집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HM월드는 영업조직망으로 퀀텀인베스트라는 회사를 동원했는데 퀀텀인베스트의 대표(본부장급)가 전직 IDS홀딩스 지점장과 본부장 출신인 최 아무개 씨, 김 아무개 씨다. 최 대표와 김 대표는 김성훈 IDS홀딩스 대표가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던 2014년 연말 쯤 HM월드로 자리를 옮겼다.
최 대표와 김 대표는 지난해 11월 유사수신행위 혐으로 불구속 기소됐고 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1심 재판을 받고 있다. 두 사람처럼 IDS홀딩스 모집책 출신으로 같은 시기 HM월드로 옮긴 김 아무개 본부장은 유사수신혐의로 기소돼 FX 자금 관리자 올해 4월 징역 1년 6월의 실형을 확정 받았다.
IDS홀딩스 피해자모임 관계자는 “법원은 1000억 원대 범죄자에 대해선 징역 14년 형을 선고했고 1조 원대 사기꾼에 대해서는 징역 12년형을 선고했다가 피해자들이 반발하자 징역 15년형을 선고했다. 사법부에 대한 불신이 나오는 이유다”라며 “IDS홀딩스를 비호하는 배후세력들이 있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 할 수 있고 IDS홀딩스에서 모집책으로 사기에 가담했던 자들이 다른 사기 집단에서 또 사기를 치고 있다. 엄벌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