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 옵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SNS에 올라온 노획된 18 기관총 포병사단의 사단마크들

애플다이어리

먼저 , 옵션트레이딩은 변동성이 높아 투자금의 손실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 신중에 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 실제로 옵션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원금 보존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 꼭 신중하십시오 .

다음으로 , 로빈후드 옵션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현재 로빈후드 는 수수료 무료의 증권 거래를 기본으로 할 뿐만 아니라, 무료 옵션트레이딩 (Free Option Trading)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로빈후드는 매수 , 매도 , 교환 옵션시 커미션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 또한 최소한의 증거금 (Deposit) 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월수수료 (Monthly fee) 가 없고 , 설령 로빈후드 골드 멤버가 아니더라도 옵션트레이딩을 할 수 있습니다 .

다만 , 로빈후드 멤버로서 주식 거래를 함이 확인된 후 웨이팅리스트에서 기다리다가 옵션트레이딩 사인업 기회를 받아야 무료 옵션트레이딩이 가능합니다 . 옵션 사인업 기회는 거래를 하다보면 로빈후드앱에서 권하는 메세지가 뜹니다 .

옵션(Option) 은 주식을 어떤 가격으로 (i) 팔 수 있는 권리 또는 (ii)살 수 있는 권리를 주고받는 계약(Contract) 을 말합니다.

(i) 팔 권리를 풋옵션( P ut option)이라고 합니다.

(ii) 살 권리를 콜옵션(Call option)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주식을 할 때 , 주가상승을 통해서 매매 후 수익을 냅니다 . 하지만 옵션트레이딩을 통해서는 주가하락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옵션의 특이점입니다 . 보통 Put 옵션 옵션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손실 위험도가 높아 옵션트레이딩을 신중히 해야 합니다 .

트레이더는 옵션을 통해 주식의 특정 가격 (Specific price) 를 정합니다 . 만기일 (Expiration date) 전에 그 주식을 사는 가격 또는 파는 가격을 정하는 것입니다 . 만약 바이어가 만기일 전에 권리 (Right) 을 행사한다면 , 셀러는 법적으로 팔아야만 합니다 . 옵션이 만기일이 지나버렸고 , 권리가 행사되지 않았다면 , 그 권리는 쓸모가 없어집니다 .

콜 매수 (Buying Calls)

트레이더가 주식 가격이 오를것으로 예상할 경우 , 콜을 구매하려 할 것입니다 . 트레이더는 현재로부터 만기일 사이에 권리행사가격 (Strike price) 로 100 주를 사는 옵션에 대해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

풋 매수 (Buying Puts)

트레이더가 주식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할 경우 , 풋을 팔려고 할 것입니다 .

트레이더는 현재로부터 만기일 사이에 권리행사가격 (Strike price) 로 100 주를 파는 옵션에 대해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

콜 매도 (Selling Calls)

트레이더가 주식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할 경우 , 콜을 팔려고 할 것입니다 . 바이어가 현재로부터 만기일 사이에 100 주를 팔길 원할 경우 , 트레이더는 권리행사가격에 그 주식을 팔 의무가 있습니다 . 이를 커버드콜 (Covered Call) 이라고도 부릅니다 .

풋 매도 (Selling Puts)

트레이더가 주식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할 경우 , 풋을 팔려고 할 것입니다 . 바이어가 현재로부터 만기일 사이에 100 주를 팔기를 원할 경우 , 트레이더는 권리행사가격에 그 주식을 살 의무가 있습니다 .

콜옵션 은 옵션 만기일에 특정 주식을 정해진 가격대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예를 들어 애플주식의 현재가격이 1 주당 15 만원이라고 가정해보자 . 나는 애플주식을 1 달뒤에 1 주당 15 만원에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콜을 개설했다 . X 는 내가 발행한 콜을 받기로 했다 . 이 권리를 사기위해 X 는 나에게 프리미엄을 지급한다 .

1 달 뒤 만기가 도래시 , 애플 주식가격은 16 만원으로 상승하였다 . 15 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한 X 는 콜을 행사하는 것이 이득이므로 나에게 콜을 행사한다 .

이때 나는 약속대로 1 주당 15 만원에 판매하는 콜을 받아들여야 한다 . 프리미엄을 받은만큼 나에게는 거부권이 없다 . 하지만 예상외로 애플주식 가격이 하락하여 14 만원이 되었다면 , X 는 콜을 행사하면 주당 1 만원씩 손해를 본다 . X 는 콜을 행사하면 손해를 보기 때문에 콜 행사를 포기한다 . X 는 프리미엄을 지불했기 때문에 거부권이 있다 . 결국 콜은 휴지조각이 된다 . X 는 나에게 지불한 프리미엄으로 인해 손실이 있다 .

풋옵션 은 옵션 만기일에 특정 주식을 정해진 가격대로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의 현재가격이 1 주당 15 만원이라고 가정 해보자 . 나는 애플 주식을 한달뒤에 1 주당 15 만원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풋을 개설했다 . X 는 풋을 받기로 결정했다 . 이 권리를 사기위해 X 는 나에게 프리미엄을 지급한다 .

한 달 뒤 만기가 도래시 , 애플 주식가격은 16 만원으로 상승하였다 . 15 만원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한 X 는 풋을 행사하는 것이 손해이므로 풋 행사를 포기한다 . X 는 프리미엄을 지불했기 때문에 거부권이 있다 . 결국 풋은 휴지조각이 된다 . X 는 나에게 지불한 프리미엄으로 인해 손실을 본다 .

하지만 애플 주식 가격이 하락하여 14 만원이 되었다면 , 15 만원에 판매할 권리를 가진 X Put 옵션 는 풋을 행사하면 주당 1 만원씩 이득을 본다 . 당연히 X 는 풋을 행사한다 . 나는 약속대로 1 주당 15 만원에 사야하며 , 프리미엄을 받은만큼 나에게는 거부권이 없다 .

Put 옵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슈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를 둘러싼 논란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난 18일 금융위원회 산하 감리위원회가 분식회계의 쟁점이 되는 사안에 대해 내부검토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2년 바이오젠과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하는 과정에 ‘콜옵션’의 존재를 감사인에게 알리지 않았다며 고의적 분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금감원의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감리위원회는 25일 고의적 분식 여부의 핵심 쟁점을 밝히기 위해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금감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Put 옵션 2012년 삼성바이오에피스 설립 당시 콜옵션이 담겨있는 합작계약서를 회계감사인인 삼정회계법인에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경우 바이오젠의 삼성바이오에피스 보유 지분은 49.9%로 늘어나게 된다. 금감원은 이같은 이유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삼성바이오에피스에 Put 옵션 대한 지배력을 잃지 않기 위해 콜옵션 항목을 합작계약서에 명시하지 않았다는 주장하고 있다.

[뉴스락] 콜옵션이란 주식시장에서 가장 일반적인 옵션의 형태로 콜옵션을 매수한 자는 옵션의 만기 내에 약정한 가격으로 해당 기초자산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고 매도한 자는 매수자에게 기초자산을 인도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

이를테면 A사의 주식, 즉 기초자산을 보유한 자가 있고 A사의 주가가 1주당 1000원이라고 가정해봤을 때 A사의 주식을 매입하려는 자는 A사 주식을 보유한 자에게 옵션을 제안 할 수 있다. 만일 다음달 기준 A사의 주가가 1주당 1200원으로 올라도 보유자에게 100원(가상)의 권리금을 내고 1000원에 계속해 매입할 수 있는 옵션이다.Put 옵션

반면 주가가 800원으로 떨어졌다고 가정해봤을 때 주식을 매입하려는 자는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된다. 이때 매입자는 이 권리를 포기하고 다른 곳에서 주식을 매입할 수 있다.

콜옵션과 반대되는 개념이 바로 풋옵션이다. 풋옵션은 옵션거래에서 특정한 기초자산을 장래의 특정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을 뜻한다. 다시말해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고 풋옵션은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 것이다.Put 옵션 Put 옵션

B사의 주식을 보유한 자가 있고 B사의 주가가 1주당 1000원이라고 가정해봤을 때 주식 보유자는 B사의 주식을 매수하려는 자에게 옵션을 걸 수 있다. 만일 다음달 기준 B사의 주가가 800원으로 떨어져도 매수하려는 자에게 1000원의 제값을 받고 팔 수 있는 동시에 100원(가상)의 권리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반면 주가가 12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봤을 때 주식을 매도하려는 자는 1200원의 주식을 900원에 팔게돼 손해를 보게 된다. 이때 매도자는 이 권리를 포기할 수 있다.

옵션은 주식시장에서 흔히 말하는 선물의 개념과는 다르다. 선물은 특정한 가격에 반드시 사거나 팔아야하는 의무를 가진 반면 옵션은 옵션 매수자와 매도자가 본인에게 유리할 경우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불리할 경우 권리행사를 포기할 수 있다.

Azure Cosmos DB API for Cassandra 작업에 구체화된 뷰 사용(미리 보기)

적용 대상: Cassandra API

Azure Cosmos DB API for Cassandra에 대한 구체화된 뷰는 현재 제어된 미리 보기에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이메일을 [email protected]으로 보내주세요. 구체화된 뷰 미리 보기 버전은 서비스 수준 계약 없이 제공되며, 프로덕션 워크로드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정 기능이 지원되지 않거나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Azure Preview에 대한 추가 사용 약관을 참조하세요.

기능 개요

정의된 경우 구체화된 뷰는 기본 키가 아닌 필터를 사용하여 기본 테이블(Cosmos DB의 컨테이너)을 효율적으로 쿼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용자가 기본 테이블에 쓸 때 구체화된 뷰는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빌드됩니다. 이 뷰에는 조회에 대한 다른 기본 키가 Put 옵션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뷰에는 기본 테이블에서 프로젝션된 열만 포함됩니다. 이 뷰는 읽기 전용 테이블이 됩니다.

보조 인덱스를 사용하여 파티션 키를 지정하지 않고 열 저장소를 쿼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쿼리는 카디널리티가 높은 열(작은 결과 집합에 대한 모든 데이터 검사) 또는 카디널리티가 낮은 열에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쿼리는 결국 파티션 간 쿼리가 되므로 비용이 많이 듭니다.

구체화된 뷰를 사용하면 다음을 Put 옵션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전역 보조 인덱스로 사용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쿼리를 줄이는 파티션 간 검사 저장
  • 사전 조건을 충족하는 특정 열 및 특정 데이터만 채우는 SQL 기반 조건 조건자 제공
  • 고객이 현재 변경 피드 트리거를 사전 조건 검사에 사용하여 새 컬렉션을 채우는 실시간 이벤트 기반 시나리오를 간소화하는 실시간 MV

주요 혜택

  • 구체화된 뷰(서버 쪽 비정규화)를 사용하면 여러 독립 테이블 및 클라이언트 쪽 비정규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구체화된 뷰 기능은 기본 테이블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뷰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기본 테이블과 뷰에 대한 이중 쓰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구체화된 뷰는 읽기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구체화된 뷰에 대한 처리량을 독립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뷰를 하이드레이션하기 위한 요구 사항에 따라 MV 작성기 계층을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기본 테이블에만 쓰면 되므로 쓰기 작업을 가속화합니다.
  • 또한 Cosmos DB의 이 구현은 기록기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끌어오기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시작하는 방법

구체화된 뷰가 사용하도록 설정된 새 Cassandra API 계정에서 az CLI의 REST API 호출을 사용하여 구독에 프로비전할 수 있습니다.

Azure 명령줄 인터페이스에 로그인

Azure CLI를 설치하는 방법 | Microsoft Docs에서 설명한 대로 Azure CLI를 Put 옵션 설치하고 아래를 사용하여 로그온합니다.

계정 만들기

고객 관리형 키 및 구체화된 뷰를 지원하는 계정을 만들려면 섹션으로 건너뜁니다.

계정을 만들려면 아래 콘텐츠를 사용하여 body.txt를 만든 후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를 구독 ID로, >을 미리 만들어야 하는 리소스 그룹 이름으로, >을 Cassandra API 계정 이름으로 바꿉니다.

몇 분 동안 기다렸다가 아래를 사용하여 완료를 확인합니다. 출력의 provisioningState가 Succeeded(성공)여야 합니다.

고객 관리형 키 및 구체화된 뷰를 지원하는 계정 만들기

이 단계는 선택 사항입니다. 고객 관리형 키를 Cosmos DB 계정에 사용하지 않으려면 이 단계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

Cosmos DB 계정에서 고객 관리형 키 기능과 구체화된 뷰를 모두 사용하려면 먼저 Azure Active Directory를 사용하여 계정에 대한 관리 ID를 구성한 다음, 구체화된 뷰에 대한 지원을 사용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여기의 설명서를 사용하여 고객 관리형 키를 사용하는 Cosmos DB Cassandra 계정을 구성하고 Key Vault에 대한 관리 ID 액세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Azure Key Vault 액세스 정책에서 관리 ID 사용의 모든 단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는 계정에서 materializedViews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CMK 및 관리 ID를 사용하여 계정이 설정되면 요청 본문에서 "enableMaterializedViews" 속성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계정에서 구체화된 뷰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몇 분 동안 기다렸다가 아래를 사용하여 완료를 확인합니다. 출력의 provisioningState가 Succeeded(성공)여야 합니다.

"CassandraEnableMaterializedViews" 기능을 설정하는 다른 패치를 수행하고 성공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구체화된 뷰 작성기 만들기

이 단계에 따라 구체화된 뷰 작성기도 프로비전해야 합니다.

몇 분 동안 기다렸다가 아래를 사용하여 상태를 확인합니다. 출력의 상태가 Running(실행 중)이어야 합니다.

주의 사항 및 현재 제한 사항

계정과 구체화된 뷰 작성기가 설정되면 여기의 설명서에 따라 구체화된 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Cosmos DB Cassandra API의 구체화된 뷰 미리 보기 구현에는 몇 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 구체화된 뷰를 지원하는 계정이 온보딩되기 전에 이미 있는 테이블에는 구체화된 뷰를 만들 수 없습니다. 구체화된 뷰를 정의할 수 있는 계정이 온보딩되면 새 테이블을 만듭니다.
  • MV 정의의 WHERE 절에는 현재 "IS NOT NULL" 필터만 허용됩니다.
  • 기본 테이블에 대해 구체화된 뷰가 만들어지면 기본 테이블의 스키마에서 ALTER TABLE ADD 작업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정의에 select *가 있는 MV가 없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위의 주의 사항 외에도 다음 제한 사항에 유의하세요.

가용성 영역 제한 사항

  • 가용성 영역이 사용하도록 설정된 지역이 있는 계정에서는 구체화된 뷰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없습니다.
  • 계정에서 "enableMaterializedViews"가 true로 설정되면 가용성 영역이 있는 새 지역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정기 백업 및 복원 제한 사항

구체화된 뷰는 복원 프로세스에서 자동으로 복원되지 않습니다. 복원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고객이 구체화된 뷰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고객은 구체화된 뷰를 만들기 전에 복원된 계정에서 enableMaterializedViews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구체화된 뷰를 빌드할 작성기를 프로비전해야 합니다.

오픈 소스 Apache Cassandra 동작과 비슷한 기타 제한 사항

  • 구체화된 뷰에서 충돌 해결 정책을 정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구체화된 뷰에서 고객의 쓰기 작업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 구체화된 뷰에서 문서 간 쿼리 및 집계 함수 사용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 MV를 만든 후 MaterializedViewDefinitionString 수정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 하나 이상의 MV가 정의된 경우 기본 테이블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먼저 모든 MV를 삭제해야 기본 테이블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컨테이너에서 정적 열이 있는 구체화된 뷰를 정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이해

Azure Cosmos DB Cassandra API는 MV 작성기 컴퓨팅 계층을 사용하여 구체화된 뷰를 유지 관리합니다. 고객은 뷰를 하이드레이션하기 위한 대기 시간 및 지연 요구 사항에 따라 MV 작성기 컴퓨팅 인스턴스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컴퓨팅 컨테이너는 데이터베이스 계정 내의 모든 MV 간에 공유됩니다. 프로비전된 각 컴퓨팅 컨테이너는 데이터베이스 계정의 모든 MV에 대한 MV 정의에 따라 변환한 후에 기본 테이블 파티션에서 변경 피드를 읽고 데이터를 MV(다른 테이블이기도 함)에 쓰는 여러 작업을 생성합니다.

FAQ(질문과 대답) …

지원되는 변환/작업은 무엇인가요?

  • 기본 테이블 파티션 키와 다른 파티션 키를 지정합니다.
  • 기본 테이블에서 선택한 열 하위 집합 프로젝션을 지원합니다.
  • 기본 테이블 행의 기본 키 열에 대해 평가된 조건에 따라 기본 테이블의 행이 구체화된 뷰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동등, 부등, 포함 필터가 지원됩니다. (GA 예정)

지원되는 일관성 수준은 무엇인가요?

구체화된 뷰의 데이터는 최종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사용자는 MV에서 일부 작업을 다시 실행하므로 기본 테이블의 데이터와 비교할 때 부실 행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동작은 MV에서 최종 일관성만 보장하므로 허용됩니다. 뷰가 기본 테이블과 일치하기 위한 대기 시간 요구 사항에 따라 고객이 MV 작성기 계층을 구성(스케일 업 및 스케일 다운)할 수 있습니다.

MV 작성기 인스턴스에 대한 자동 크기 조정 계층이 있나요?

MV 작성기에 대한 자동 크기 조정은 현재 사용할 수 없습니다. MV 작성기 인스턴스는 인스턴스 수(스케일 아웃) 또는 인스턴스 크기(스케일 업)를 수정하여 수동으로 크기 조정할 수 있습니다.

청구 모델에 대한 세부 정보

제안된 청구 모델은 고객에게 다음에 대한 요금을 청구하는 것입니다.

MV Builder 컴퓨팅 노드 MV Builder 컴퓨팅 – 단일 테넌트 계층입니다.

스토리지 컨테이너에 대한 기존 스토리지 미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본 테이블 및 MV의 OLTP 스토리지입니다. LogStore에 대한 요금은 청구되지 않습니다.

요청 단위 기본 컨테이너 및 구체화된 뷰에 대해 프로비전된 RU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SKU는 무엇인가요?

가격 책정 참조 - Azure Cosmos DB | Microsoft Azure 및 전용 게이트웨이에 속한 인스턴스 확인

제공되는 TTL 지원 유형은 무엇인가요?

MV에서 테이블 수준 TTL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기본 테이블 행의 TTL은 MV에도 적용됩니다.

최신 MV가 아닌 경우의 초기 문제 해결:

  • MV 작성기 인스턴스가 프로비전되었는지 확인
  • 기본 테이블에 충분한 RU가 프로비전되었는지 확인
  • 기본 테이블 또는 MV에서 사용할 수 없는지 확인

Cassandra API에 대한 기존 모니터링 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유형은 무엇인가요?

  • 최대 구체화된 뷰 Catchup 간격(분) – Value(t)는 지난 't'분 동안 기본 테이블에 쓴 행이 아직 MV에 전파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 MV 빌드를 위해 기본 테이블에서 사용된 RU 관련 메트릭(변경 피드 읽기 비용)
  • MV 빌드를 위해 MV에서 사용된 RU 관련 메트릭(쓰기 비용)
  • MV 작성기의 리소스 사용량 관련 메트릭(CPU, 메모리 사용 현황 메트릭)

MV에 사용할 수 있는 복원 옵션은 무엇인가요?

MV는 복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본 테이블이 복원되면 MV를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둘 이상의 뷰를 기본 테이블에 만들 수 있나요?

여러 뷰를 동일한 기본 테이블에 만들 수 있습니다. 5개의 뷰 제한이 적용됩니다.

구체화된 뷰에서 고유성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기본 테이블의 레코드와 구체화된 뷰의 레코드 간 매핑은 어떻게 표시되나요?

기본 테이블의 파티션 및 클러스터링 키는 항상 해당 테이블에 정의된 구체화된 뷰의 기본 키에 속하며, 데이터를 다시 분할한 후 기본 키의 고유성을 적용합니다.

구체화된 뷰가 정의되면 기본 테이블에서 열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나요?

열을 기본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기본 테이블에 대해 구체화된 뷰가 만들어지면 기본 테이블에서 ALTER TABLE ADD Put 옵션 작업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정의에 select *가 있는 MV가 없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정의된 구체화된 뷰가 있는 경우 Cassandra는 기본 테이블의 열 삭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MV를 기존 기본 테이블에 만들 수 있나요?

아니요. 구체화된 뷰를 지원하는 계정이 온보딩되기 전에 이미 있는 테이블에는 구체화된 뷰를 만들 수 없습니다. 구체화된 뷰를 정의할 수 있는 계정이 온보딩되면 새 테이블을 만듭니다. 기존 테이블의 MV는 향후에 계획됩니다.

MV에 표시되지 않는 레코드에 대한 조건과 이러한 레코드를 식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MV 테이블에서 일부 제약 조건을 위반하여 기본 테이블의 데이터를 MV에 쓸 수 없는 식별된 몇 가지 사례 중 일부는 Put 옵션 다음과 같습니다.

  • 구체화된 뷰에서 파티션 키 크기 제한을 충족하지 않는 행
  • 구체화된 뷰에서 클러스터링 키 크기 제한을 충족하지 않는 행

현재 이러한 행을 삭제하지만, 사용자가 누락된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향후에 삭제된 행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SNS에 올라온 노획된 18 기관총 포병사단의 사단마크들

SNS에 올라온 노획된 18 기관총 포병사단의 사단마크들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쿠릴 열도 주둔 병력까지 우크라이나에 파병한 것이 확인됐다.

최근(7월 Put 옵션 17~18일) SNS에는 우크라이군이 전사한 러시아군 병사들로부터 노획한 사단마크 패치들의 사진이 확인됐다. 이 사단 마크는 18 기관총 포병 사단(Machine Gun Artillery Division)으로, 원래는 쿠릴 열도를 방어하는 부대다.

18 기관총 포병 사단은 2차 세계대전중 보병사단으로 편성되었던 184 보병사단과 극동 지방에서 방어임무에 주로 종사하던 109 기관총 포병 여단이 합쳐져 편성된 부대로, 1949년에 해체되었다가 1978년에 명칭만 이어받아 재창설된 뒤 쿠릴 열도 방어부대로 지금까지 그 곳에 주둔해 있다.

바스티온 지대함 미사일(위키피디아)

바스티온 지대함 미사일(위키피디아)

이 부대는 사단이라고는 해도 규모가 작은 섬들을 지키는 부대이다 보니 병력은 3,500명에 불과하지만, K300P 바스티온 지대함 미사일등의 상당한 방어무장을 갖추고 있고 러시아군에서 T-90M과 함께 가장 최신 실전투입 차량에 속하는 T-80BVM전차를 우크라이나전 개전 직전에 지급받는 등 장비면에서는 꽤 잘 갖춰진 부대라 하겠다.

쿠릴 열도는 지금도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이 이어지는, 그야말로 Put 옵션 러시아의 가장 동쪽 끝 영토중 하나다. 그런 곳에 주둔한데다 총 병력도 3,500명밖에 안되는 부대로부터 병력을 빼서 투입한다는 것은 러시아군의 병력부족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듯 한데, 일부에서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병력의 상당수와 대다수의 기갑/기계화 장비가 차출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현재 슬로뱐스크-크라마토르스크를 목표로 하는 돈바스 지역 러시아군의 최전선에서 싸우는 중이라고 전해진다.

Put 옵션

(~2022-07-14 23:59:00 종료)

모아시스 이벤트 모아시스 이벤트

[차명준박사의 파생상품 이야기] 콜옵션은 철저한 제로섬 게임

옵션의 종류에는 콜옵션(Call Option)과 풋옵션(Put Option)이 있다. 콜옵션의 예를 들어보자. A기업의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는 김모씨는 친구 이모씨와 저녁을 먹으면서 주식에 대해 얘기하다가 이씨에게 "A의 주가가 현재 2만원인데 한 달 후 2만5000원에 사가던지 말던지 하라"고 제안을 했다. 이씨는 이를 받아들였다.

1개월이 지난 후 A기업의 주가가 3만원이 됐다고 하자. 그러면 이씨는 김씨에게서 시장가격 3만원짜리 주식을 약속된 가격(2만5000원)에 사서 주당 50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씨는 김씨에게 주식을 살 권리를 행사한 것이다.

반대로 1개월 후 주가가 2만원이 되었다면 이씨는 김씨에게서 시장가격 2만원인 주식을 약속된 가격(2만5000원)에 매수하지 않을 것이다. 주당 5000원의 손실을 보기 때문이다. 친구는 주식을 살 권리를 포기한 것이다.

이 거래에서 김씨는 콜옵션 매도자(발행자라고도 한다)가 되고, 이씨는 콜옵션 매수자가 된다. 그리고 A기업의 주식을 기초자산이라 하고, 약속된 가격을 행사가격(excercise price)이라고 한다.

콜옵션에서 콜옵션을 판 김씨는 이씨가 권리를 행사할 경우 이에 응해야 한다. 주가가 약속된 가격 이상으로 상승하면 이씨가 이익을 보고, 김씨는 손해를 본다. 반면, 주가가 하락해서 이씨가 살 권리를 포기하면 나는 보다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어느 경우든 옵션을 산 이씨는 항상 유리하고, 옵션을 매도한 김씨는 불리하다.

그래서 김씨는 이씨에게 불리한 입장에 대해 약간의 보상을 해달라고 제안한다. 이씨가 이를 흔쾌히 승낙했다면 이 약간의 보상을 콜옵션 가격(option price 또는 option premium)이라 부른다. 그런데 콜옵션의 가격은 옵션을 매수한 이씨가 거래 시 옵션을 판 김씨에게 먼저 지불한다. 이씨가 권리를 포기했다고 해서 돌려받지 못하는 소위 '낙장불입(落張不入)'의 가격이다.

[차명준박사의 파생상품 이야기] 콜옵션은 철저한 제로섬 게임

그림(A)에서 만기(한 달 후) 시, 콜옵션을 매수한 이씨가 얻는 이익은 주가가 상승해 권리를 행사하면 주가 상승에 비례해 이익이 발생한다. 주가가 하락, 권리를 포기하면 매수자의 손실은 미리 지불한 콜옵션 프리미엄에 한정된다. 그림(A)에서 행사가격과 손익분기점 사이의 삼각형 부분은 주가가 상승하면 매수자가 지불한 프리미엄 손실이 줄어들어 행사가격부터가 옵션매수자의 행사영역이 된다.

한편 매수자가 주가상승으로 권리를 행사하면 매도자는 의무를 이행해야 하기 때문에 손실은 무한대가 되고(B), 매수자가 주가하락으로 권리를 포기하면 의무가 소멸돼 이익은 미리 받은 프리미엄에 한정된다.

콜옵션시장은 철저한 제로섬(Zero-sum)게임이 적용되는 시장이어서 매수자의 이익(손실)은 매도자의 손실(이익)이 된다. 따라서 옵션매수자와 매도자의 이익은 X축에 대칭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