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거래 플랫폼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도움돼요

글로벌 거래 플랫폼

판타지코인은 지난3월9일 비트겟에 상장했으며 오는 13일 미국거래소 비트마트에 상장될 예정이다.

판타지코인은 지난3월9일 비트겟에 상장했으며 오는 13일 미국거래소 비트마트에 상장될 예정이다.

연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코인이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면 불안한 코인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국내 코인 시장은 투자보다는 투기에 가까운 형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무분별한 코인에 투자했다가 실패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글로벌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합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해 화폐의 단점을 보완한 코인을 이용, 국경없는 중고거래가 가능한 코인이 출시됐다. 바로 국내 중고거래 플랫폼 ‘떴다마켓’을 통해 블록체인과 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FTSY(판타지코인)’이다.

판타지코인은 해외 거래소 ‘엘뱅크’를 시작으로 해외 거래소 비트겟에 3월 9일 상장됐으며, 미국 거래소인 ‘비트마트’에 3월 13일 상장을 확정지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NFT(대체불가능토큰)기술이 접목된 그림 및 작품을 경매하는 ‘판타지아트’ NFT거래소이다.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가운데 NFT는 불가항력의 필수 기능으로 주목받으면서 최근 글로벌 거래 플랫폼 해외는 물론 국내 기업들이 NFT시장에 진출하거나 계획을 하고 있다.

판타지 팀 관계자에 따르면, “판타지코인은 올해 안에 글로벌 TOP10 거래소에 글로벌 거래 플랫폼 상장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판타지마켓으로 한국의 떳다마켓, 베트남의 쩌노이 그리고 미국의 판타지마켓(오픈예정) 등 세계 중고거래사이트를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판타지마켓으로 한국의 떳다마켓, 베트남의 쩌노이 그리고 미국의 판타지마켓(오픈예정) 등 세계 중고거래사이트를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가별 중고거래 플랫폼을 출시해 국경 없는 중고 시장으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중고거래 플랫폼은 국내 떴다마켓과 미국의 '판타지마켓', 베트남의 '쩌노이'를 시작으로, 일본과 인도 그리고 유럽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글로벌 중고마켓 통합 이후 각국의 플랫폼을 활용해 여행서비스, 숙박 서비스에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기존 화폐가 가지고 있는 환율 및 송금수수료 등의 문제를 판타지코인을 활용함으로써 화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아티스트 그림왕양치기(본명 양경수)의 그림을 이용한 ‘틀린그림찾기’ 게임을 런칭, 기존 P2E방식을 넘어 offerwall+ p2e방식으로 그림에 광고를 삽입해서 게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글로벌 거래 플랫폼

■ 게임, 엔터테인먼트, 웹툰, 메타버스, 아트, 서비스 분야 26개 각 기업과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해 NFT 대중화 선도

■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 기반으로 NFT 콜렉션 런칭 및 거래 지원 예정

2022년 3월 16일 –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글로벌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 이하 NFT)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 넥스트(글로벌 거래 플랫폼 LINE NEXT Inc., 대표: 고영수)가 글로벌 NFT 생태계 구축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력한다. 유명한 IP 컨텐츠를 기반으로 NFT를 글로벌 거래 플랫폼 개발하고, 유저가 친숙한 결제 방식으로 편리한 NFT 거래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각 사와 체결하게 되며, 참여하는 기업들은 총 26개의 기업으로, 소프트뱅크(SoftBank Corp.), 네이버(NAVER), 라인 대만(LINE Taiwan Limited), 네이버제트(NAVER Z), 네이버웹툰(NAVER WEBTOON Ltd.), 라인스튜디오(LINE studio), 라인게임즈(LINE Games), 씨제이이엔엠(CJ ENM), 와이지플러스(YG PLUS), 해시드(Hashed), 케이옥션(K Auction), 신세계(SHINSEGAE), 비자(VISA), 크립토닷컴(Crypto.com), 에이펀 인터렉티브(Afun Interactive), AI 네트워크(AI Network), 제이앤존(J&John), K현대미술관(KMCA), 로드 컴플릿(글로벌 거래 플랫폼 LoadComplete), 롯데월드(LOTTE WORLD), 미티컬 게임스(Mythical Games), 판게아(Pangea), 피치스 (Peaches.), 111퍼센트(111%), 리치에일리언(Rich Alien), 와우포인트(WOW POINT) 등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라인 넥스트는 게임, 엔터테인먼트, 웹툰, 메타버스, 아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각 글로벌 기업들과의 전략적으로 협력해 글로벌 NFT 밸류 체인을 구축하고 NFT 생태계 확장을 주도할 예정이다. 또한, 라인의 우수한 NFT 및 블록체인 기술을 각 사의 유명 IP, 아티스트 및 컨텐츠 등에 적용하여 다양한 NFT 개발에 참여해, 유저들이 더욱 친근하게 사용할 수 있는 NFT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NFT는 라인 넥스트에서 개발 중인 글로벌 NFT 퍼블리싱 플랫폼 ‘도시(DOSI)’에서도 만나볼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미티컬 게임즈의 경우, 양사간 블록체인 메인넷 관련 제휴를 시작으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고영수 라인 넥스트 글로벌 거래 플랫폼 대표는 “라인의 인프라와 블록체인 노하우를 총 동원해 글로벌 No.1 NFT 생태계를 구축하고 나아가 웹 3(Web 3) 환경에서 글로벌 거래 플랫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혁신을 만들어 가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글로벌 NFT 생태계의 초석을 닦으려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라인 넥스트는 신규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를 상반기 내에 론칭을 계획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 다양한 국가의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손쉽게 NFT브랜드 스토어와 글로벌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고, NFT 제작과 글로벌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일본에서는 라인의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사업 자회사인 LVC가 올 봄에 NFT서비스 론칭을 계획하고 있다.

■라인 넥스트 주식회사 소개 (LINE NEXT Inc.)

라인 넥스트 주식회사(LINE NEXT Inc.)는 라인 블록체인(LINE Blockchain) 및 NFT (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플랫폼 사업 운영을 담당하는 법인으로, 글로벌 NFT및 Web 3.0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거래 플랫폼

center

[글로벌에픽 이성수 기자] 새로이 등장한 블록체인기반 NFT 정보 자동 수집 및 거래 플랫폼인 엔에프코어(NFCore: NFCR)가 드디어 첫 상장부터 세계 상위권 거래소인 Lbank(엘뱅크)에 상장했다.

엔에프코어(NFCore: NFCR)는 일명 NFT Aggregator (NFT자동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서 전세계의 많은 NFT거래소에 흩어져 있는 NFT작품 중에서 그 가치가 크게 오르고 있거나, 지금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전반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 멀지 않은 시점에 인기도와 가치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NFT를 족집게 처럼 집어내어 분석리포트를 제공하는 ERC20와 ERC721기반 솔루션이자 플랫폼이다.

플랫폼 엔에프코어(NFCore :NFCR)는 이번 글로벌 주요 거래소인 엘뱅크의 상장을 기점으로 해서 국내외 NFT플랫폼과의 협약, 사업확장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이 더 편하고 빠르게 NFT시장의 핵심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거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2022년 기대해 볼 만한 솔루션으로 보여지며, 엘뱅크 20일 상장이후 국내 및 해외 거래소 추가 상장도 예정이라고 말하였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mail protected]

도움돼요

#도움돼요

더 알고 싶어요

#더알고싶어요

네이버·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금리 인상發 풍전등화

가상화폐·NFT 버블붕괴, 생태계 악화 카카오 클레이튼 생태계 이탈 가속 라인 NFT 플랫폼 ‘도시’ 활성화 의문

여기는 칸라이언즈

시장경제 포럼

24일 블록체인 전문매체 ‘더블록’에 따르면 6월 첫째 주 NFT 거래대금 합계는 3519만 달러(약 454억원)로, 올해 고점과 비교했을 때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글로벌 경제불황과 가상화폐 시장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관련 생태계가 붕괴할 위험에 놓였다.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경제불황 속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로 투자자들이 가상자산 시장을 이탈했고, 테라·루나 사태로 가상자산 신뢰도는 급격히 떨어졌다. 암호화폐에 대한 불신과 공포는 NFT로 옮겨갔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글로벌 NFT 시장 시가총액은 약 15조 9000억원으로 일주일 전 대비 33.36% 하락했다.

카카오 블록체인 클레이튼은 22일 가상자산 ‘클레이(KLAY)’ 가치 제고를 위해 코인 104만여개를 소각했다. 클레이는 지난해 3월 5000원대에 거래됐으나, 현재 300원대에 거래 중이다. 탈중앙화 금융 분석 플랫폼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클레이튼 기반 예치자산 총액은 1월 글로벌 거래 플랫폼 17일 기준 13억 달러였지만, 현재 3억 4000만 달러대로 70% 이상 감소했다.

클레이튼을 메인넷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들의 생태계 이탈이 속출하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WEMIX)’를 비롯한 메타콩즈, 실타래 등 NFT 프로젝트가 클레이튼으로부터 독립하거나 타 플랫폼으로 이전했다. 탈중앙화 금융 특성상, 테라 가격 폭락 영향을 받아 청산 절차를 밟는 클레이튼 기반 업체도 생겼다.

네이버 관계사 라인이 운영하는 블록체인 플랫폼도 전망이 어둡다. 라인 자체 발행 가상자산 ‘링크(LINK)’ 시가총액은 2800억원대로, 9300억원에 달하는 카카오 클레이튼의 3분의 1 수준이다. 링크 가격은 지난해 11월 309달러대에서 현재는 36달러대로 88% 감소했다.

라인은 주로 일본에서 NFT 생태계를 주로 구축해온 바 있다. NFT 발행 플랫폼 ‘도시’를 중심으로 네이버와 기술·콘텐츠를 결합해 글로벌 NFT 생태계 확장에 나설 계획을 밝혔다. 네이버 계정과 연동한 블록체인 월렛, 네이버페이를 통한 NFT 결제 환경 조성 등이 주요 협력 내용에 포함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가상자산 시장이 축소돼 NFT 플랫폼 활성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과 테라 사태로 인해 가상자산 시장은 규모가 줄고 신뢰도가 떨어졌다. 당분간 후폭풍이 지속될 것으로 글로벌 거래 플랫폼 보인다”며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전략을 내놓고 있지만, 카카오 클레이튼 생태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라인도 플랫폼 활성화를 낙관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방금 보신 기사와 같이 읽으면 좋아요!

1 컴투스 그룹, 독자 블록체인 메인넷 구축… 'C2X 생태계' 확장 나서외부 영향 최소화 기반 '안정·독립적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 기대

2 [NDC 2022] 2년 연속 온라인 개최, 블록체인-메타버스 세션 '눈길'8일, 제 15회 '넥슨개발자컨퍼런스' 개막

3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3년 내 모든 게임, 블록체인과 연동”위메이드 플랫폼 매출 증가 기대

4 [NDC 2022] 강대현 넥슨 COO “메이플스토리 IP로 블록체인-NFT 가치 실현”강대현 넥슨 COO, 기조연설 맡아

5 넷마블 자회사 마브렉스, '웹3 코리아 2022' MBX 생태계 소개실제 게임 매출 기반 블록체인 모델 통해 지속가능 생태계 조성

6 김택진 엔씨 대표 "신작 개발 및 플랫폼 확대로 글로벌 도전"오픈형 R&D 기조로 글로벌 시장 공략 글로벌 거래 플랫폼

7 넥슨, 블록체인 생태계 합류… 3N 신사업 '정면승부'메이플스토리 IP 활용 블록체인 게임 진출 선언

중국 최대 암호화폐 플랫폼 후오비 본토와 사실상 결별 '거래 난민들은 어디로?'

중국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전면적 금지 최후통첩을 발표하기 몇 시간 전 중국 최대의 거래소 후오비가 사실상 본토와의 결별을 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전면적 금지 최후통첩을 발표하기 몇 시간 전 중국 최대의 거래소 후오비가 사실상 본토와의 결별을 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전면적 금지 최후통첩을 발표하기 몇 시간 전, 업계의 마지막 남은 거대 기업이 이미 탈퇴를 결정했습니다. 지난 9월 24일 중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Huobi) 주주총회에서 설립자와 후원자는 만장일치로 몇 년 동안 정부의 감시를 피해 국내 시장을 떠날 것을 결의했다. 이날 늦게 중국 규제 기관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와 서비스가 해당 국가에서 금지되었다고 선언했다.

후오비는 중국 본토의 신규 사용자에 대한 계정 등록을 거의 즉시 중단하고 이틀 후 올해 말까지 기존 중국 사용자를 배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수많은 소규모 암호화폐 업체들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여러 해에 걸쳐 다양한 효과를 지닌 단속 시도와 함께 끝내 암호화폐를 금지하려는 중국 정부의 결정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다.

후오비 공동 창업자 두쥔(杜均)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운영할 방법이 아직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하지만, 이번에는 논의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전략은 이제 글로벌화 하는 것이다. 베이징의 최근 암호화폐 금지 조치는 후오비와 같은 기업이 ‘레드 라인’을 피해 중국에 머물게 될 것이라는 잘못된 희망을 없애버렸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설립된 마지막 암호화폐 플랫폼 중 하나인 후오비는 모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경쟁자들이 부러워할 수밖에 없는 친밀한 정부 관계를 수년 동안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두쥔은 “거래소의 거인은 올해 초부터 중국 없는 삶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콰이어 차이나(Sequoia China)와 젠펀드(ZhenFund)와 같은 투자자들이 내년 6월까지 모든 중국 사용자 계정을 폐쇄하겠다는 원래 계획에 고개를 수긍했지만, 이번 깜짝 공식 발표가 그 시기를 앞당겼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규제 기관의 진행 상황을 계속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오비는 현재 최고의 거래소 글로벌 거래 플랫폼 바이낸스(Binance)에서 비트메인(Bitmain)에 이르기까지 지난 몇 년 또는 몇 개월 동안 중국에서 근거지를 옮겼다. 최근 몇 달 동안 후오비는 터키와 브라질과 같은 곳에서 많은 채용을 진행했으며, 올해 전 세계 직원 수 3,000명을 목표로 하고 글로벌 거래 플랫폼 있다. 동남아시아, 유럽 및 중동이 중국 다음으로 가장 큰 시장으로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홍콩에 상장된 지사는 기관 투자자를 위해 4개의 암호화폐 관련 펀드를 출시했다. 그리고 이 회사는 싱가포르에서 디지털 결제 토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청한 약 170개의 암호화 기업 중 하나다.

후오비는 전 오라클(Oracle Corp) 추신인 레온 리(Leon Li)와 마케팅 책임자인 두쥔이 2013년에 설립했다. 이 쌍은 거래 수수료 없이 중국 거래자를 유인함으로써 베이징 스타트업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비트코인 ​​거래소로 빠르게 성장시켰다. 2017년에 중국 규제 당국은 현지 거래소에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의 거래 호스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는데, 이는 중국의 금융 안정성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선언의 첫 번째 사례다.

같은 해 두는 후오비를 떠나 자신의 크립토 벤처 펀드를 만들다가 작년 말에 되돌아와 글로벌 확장을 주도했다. 2017년 규칙이 제정된 후 후오비는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하여 주요 거래소 사업을 운영했다. 이곳은 글로벌 거래 플랫폼 현재 두가 기반을 두고 있는 곳이다.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은 위안화를 직접 취급하지 않고 여전히 장외 거래 글로벌 거래 플랫폼 및 암호화폐 간 거래를 포함한 중국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리를 포함한 고위 경영진은 베이징에 머물면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중국 당국을 지원함으로써 현지 관리와 중앙은행가 모두에게 호의를 보였다.

후오비의 투쟁은 암호화폐 기업이 중국과 거래할 때 직면하는 위험을 보여준다. 규칙이 모호하고 해결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변경될 수 있다. 9월 24일 규칙에 따르면 역외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중국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금지된다. 그들은 해외 플랫폼이 마케팅, 기술 및 결제와 같은 역할을 위해 현지에서 고용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후오비 등에 오랫동안 글로벌 거래 플랫폼 혜택을 박탈했다.

두는 전반적으로 블록체인 컨설팅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모회사인 후오비 그룹은 현재 수익의 거의 70%를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룹의 2,300명의 직원 중 약 700명이 교환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후오비 글로벌 거래 플랫폼 대변인은 거래소의 중국 본토 사용자 수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기관보다 거래가 적은 소매 사용자라고 덧붙였다.

홍콩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투자 회사인 케네틱 캐피털(Kenetic Capital)의 공동 설립자이자 매니징 파트너인 제한 추(Jehan Chu)는 “후오비는 오랫동안 최고의 글로벌 거래소였으며 수년간 중국 암호화폐 규제를 강화해 왔다. 대차대조표와 강력한 국제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중국 이외의 지역에 적응하고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런 가운데 후오비 사용자들은 제 2막을 찾고 있다. 약 2만5,000명의 회원이 있는 중국어 텔레그램 그룹에서 일부는 베이징의 금지령을 피하기 위해 외국 여권을 얻으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다른 일부는 동료 거래자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암호화폐 자산을 지갑 앱으로 이동하도록 권장했다. 이들 중 한 명은 “후오비 난민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라고 썼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