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증명 관리에 기존 디렉터리 사용
이미 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AWS Directory Service디렉터리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관리하고 동일한 디렉터리를 사용하여 Amazon Connect Connect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에서 새 디렉터리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AWS Directory Service를 사용하여 Amazon Connect Connect에 사용합니다. 선택한 디렉터리는 AWS 계정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인스턴스를 생성한 AWS 리전에서 활성 상태여야 합니다. 연결할 수 있습니다.AWS Directory Service한 번에 Amazon Connect Connect 인스턴스가 하나만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다른 인스턴스로 디렉터리를 사용하려면 이미 연결되어 있는 인스턴스를 삭제해야 합니다.
다음AWS Directory Service디렉터리는 Amazon Connect Connect에서 지원됩니다.
Microsoft Active Directory—AWS Directory Service에서는 Microsoft Active Directory를 관리형 서비스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Active Directory Connector—AD Connectory는 온프레미스 Microsoft Active Directory로 디렉터리 요청을 리디렉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디렉터리
Simple Active Directory—Simple AD는 Samba 4 Active Directory 호환 서버를 기반으로 하는 독립 관리형 디렉터리입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에는 선택한 자격 증명 옵션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선택한 디렉터리를 변경하도록 결정한 경우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새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를 삭제하면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모든 구성 설정과 지표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Amazon Connect Connect에서 통화 디렉토리 기존 또는 독점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추가 요금은 없습니다. AWS Directory Service 사용에 따르는 비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WS Directory Service 요금 개요 를 참조하십시오.
등록된 수신자에게 팩스 전송하기
수신자의 팩스/전화 번호 및 이름을 기기 의 디렉터리에 등록하면 팩스를 쉽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잘못 다이얼하였거나 팩스/전화 번호 등록이 잘못됨으로 인해 팩스가 원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문서를 전송할 때 전화로 먼저 통화한 후 전송할 것을 권장합니다.
기본 전송 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
팩스 (FAX) 버튼을 누릅니다.
팩스 대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필요에 따라 스캔 대비도 및 해상도를 조절합니다.
메뉴 (Menu) 버튼을 누릅니다.
팩스 메뉴 (FAX menu) 화면이 표시됩니다.
버튼을 사용하여 디렉터리 (Directory) 를 선택한 다음 OK 버튼을 누릅니다.
등록된 수신자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수신자를 통화 디렉토리 선택할 수 있습니다. 버튼을 눌러 방법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LCD 에 통화 디렉토리 다음 화면이 표시된 경우:
버튼을 사용하여 수신자를 선택한 다음 OK 버튼을 누릅니다.통화 디렉토리
LCD 에 첫 문자 입력 (Enter first letter) 이 표시된 경우:
숫자 버튼을 사용하여 검색하려는 수신자 이름의 첫 문자를 입력하면 등록된 수신자가 알파벳순으로 표시됩니다.
버튼을 사용하여 수신자를 선택한 다음 OK 버튼을 누릅니다.
컬러 전송은 컬러 (Color) 버튼을 누르고 흑백 전송은 흑백 (Black) 버튼을 누릅니다.
컬러 전송은 수신자의 팩스 기기 가 컬러 팩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팩스 전송을 취소하려면 통화 디렉토리 통화 디렉토리 중지 (Stop) 버튼을 누릅니다. 팩스를 전송하는 중에 취소하려면 중지 (Stop) 버튼을 누른 다음 LCD 의 설명을 따릅니다.
스캔을 진행하는 동안 중지 (Stop) 버튼을 누른 후 ADF 에 문서가 남아 있는 경우, LCD 에 공급기 커버 닫기 (Close the feeder cover) [OK] 문서를 배출함 (Eject the document) 이 표시됩니다. OK 버튼을 누르면 남은 문서가 자동으로 배출됩니다.
수신자가 통화 중인 경우와 같이 기기 에서 팩스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기기에는 지정한 시간이 지나면 해당 번호를 자동으로 재다이얼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자동 재다이얼은 기본값으로 실행되어 있습니다.
통화 디렉토리
스마트폰으로 전화 통화하면서 녹음한 파일과 음성 녹음 앱을 통해서 주위에 소리를 통화 디렉토리 녹음한 파일은 어디에 있을 까요 ? 통화 녹음과 스피커를 통한 녹음 파일은 저장되는 위치가 다릅니다 . 통화 녹음은 내장 메모리에 Call 폴더에 있으며 , 일반 소리 녹음은 Voice Recorder 에서 찾아야 합니다 . 참고로 갤럭시에서 저장한 녹음파일의 확장자는 m4a 입니다 .
▼ 먼저 [ 음성 녹음 ] 앱을 통해서 소리를 주위 소리를 녹음해 보겠습니다 . 앱 하단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누르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종료를 클릭합니다 .
▼ 방금 녹음한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 목록에 음성 녹음 파일 여러 개가 있습니다 . 이것을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 첫 번째 녹음 파일을 찾는 방법입니다 . 스마트폰에서 컴퓨터의 탐색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 내 파일 ] 앱을 실행 합니다 . [ 내 파일 ] 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메인 화면에서 [ 카테고리 ] 섹션에 [ 오디오 ] 버튼을 클릭합니다 .
※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 모아둔 것입니다 . ※ ▶ 스마트폰 통화 녹음, 음성 녹음 하거나 듣는 방법 ▶ 스마트폰 전화통화나 음성녹음파일 컴퓨터로 옮겨서 재생하기 ▶ 스마트폰 구글 앱 음성 검색하는 방법 ▶ 스마트폰 갤럭시 통화녹음 파일 외장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 기 ▶ 스 마트폰 갤럭시 통화 시 자동 녹음 설정하기 |
▼ 스마트폰에서 오디오와 관련된 모든 파일들을 검색해서 보여 줍니다 . 방금 녹음한 파일을 제일 상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 과거에 녹음한 파일들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 이 때는 상단에 검색 기능을 이용합니다 .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검색란을 활성화하고 음성 녹음 파일 확장자인 m4a 를 입력합니다 .
▼ 두 번째 녹음 파일을 찾는 방법은 폴더를 직접 찾아 들어가는 것입니다 . [ 내 파일 ] 앱에서 [ 로컬 저장공간 ] 에 [ 내장 메모리 ] 를 클릭합니다 .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음성 녹음 앱을 통해 저장한 파일은 Voice Recorder 폴더에 있습니다 .
▼ Voice Recorder 폴더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방금 녹음한 통화 디렉토리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
▼ 통화하면서 저장한 통화 녹음 파일은 어디 있을까요 ? [ 내장 메모리 ] > [Call] 폴더로 가시면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PC 로 파일을 옮길 때도 동일한 폴더를 찾아 들어가시면 되겠죠 .
통화 디렉토리
통화상으로 진행하는 업무가 많다면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저장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요, 아이폰은 통화중 녹음이 불가하지만 안드로이드 폰은 통화중 녹음이 가능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안드로이드 통화녹음파일 저장 위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드로이드 통화녹음파일은 Callrec 폴더에 자동으로 저장되는데요, Call 폴더는 파일 매니저 또는 내 파일(기기에 따라 앱의 이름은 다를 수 있습니다.)에서 내장 메모리 > voicerecorder 폴더 를 선택합니다.
통화녹음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callrec 폴더가 나타납니다. callrec 폴더에 들어가보면 통화녹음파일이 찾을 수 있고, 실행하면 스마트폰에서 바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통화 디렉토리
오늘은 SKT에서 처음 기본으로 제공하였던 T전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전화는 예전 SKT만 사용 가능했으나, 이제는 KT, LGT에서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통화 디렉토리
오늘은 T전화(티전화) 시용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녹음 되어진 파일의 위치와
그 파일들을 컴퓨터 또는 USB 등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전화 통화 녹음 파일 위치 (T전화 녹음 파일 경로)
01. 스마트폰에서 탐색기(ex.내파일) 를 열어줍니다.
(탐색기는 내파일을 기준, 스마트폰은 삼성 갤럭시 S7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02. T전화의 통화 저장 파일은 시스템폴더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숨김 파일은 보이지 않기에 노출을 시켜줘야 합니다.
오른쪽 상단 점점점(. )을 클릭하고 '설정'을 선택합니다.
03. 내 파일 설정에서 '숨김 파일 표시'를 클릭하여 켜 주십시오.
(둥근 버튼이 오른쪽으로 가 있으면 해당 내용이 통화 디렉토리 설정된 것입니다.)
04. T전화로 전화한 통화 내용의 저장 파일은 이 '.TPhoneCallRecords' 폴더에 있습니다.
숨김 폴더를 풀어주기 위해 이 폴더를 길게 누릅니다.
해당 폴더가 선택이 되면, 상단에 설정인 점점점(. )을 눌러 '이름변경'을 선택합니다.
05. 가장 앞에 점(.)을 지워준 후 '이름변경'을 클릭합니다.
06. TPhoneCallRecords 폴더의 .nomedia 폴더로 진입합니다.
07. 그럼 이 경로 안에 파일이 통화 디렉토리 있는 걸 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즉, T전화의 통화 녹음 파일의 기본 경로(T전화 통화 녹음 위치)는
T전화 통화 녹음 파일 컴퓨터 or USB로 옮기는 방법 (T전화 녹음 파일 백업하기)
01. 앞서 T전화 통화 녹음 파일 경로에서 .TPhoneCallRecords의 폴더를 TPhoneCallRecords로 변경해 준 후
스마트폰을 컴퓨터에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탐색기에서 휴대용 장치 - Samsung Galaxy S7을 선택해 줍니다.
(자신의 스마트폰의 따라 장치 이름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여기는 S7 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02. 저장장치에서 Phone을 선택해 줍니다.
(외장 메모리가 통화 디렉토리 아닌 폰 자체의 경로로 진입합니다.)
03. TPhoneCallRecords 폴더(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04. .nomedia 폴더를 선택합니다.
05. 그렇게 찾은 파일들이 T전화로 통화시 녹음된 파일입니다.
즉, 경로는 [내컴퓨터\휴대용장치(Samsung Galaxy S7)\Phone\.TPhoneCallRecords\.nomedia] 입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