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곡선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팬재 (Giffen goods)
      열등재의 가격이 오름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가격이 수요를 결정하는 유일한 변수일 때 가능 (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때)

    우리가 가장 쉽게 이해하는 이 시대 경제시스템의 근간입니다.

    수요는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려는 욕구를 의미하는데,

    단순한 구입욕구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 구매 능력이 갖춰진 자의 욕구를 의미합니다.

    즉, 500만원 밖에 없는 사람이 포르쉐를 구매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고 해서

    이것이 수요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

    구매욕구 + 구매능력 = 수요 라는 공식이 성립이 됩니다.

    수요법칙 은 (기타 조건들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요과 가격은 반비례하는 것이지요.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수요는 가격에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소비자의 기호나 소득 변화에 따라서도 바뀌기도 하는데요.

    이 수요의 변화는 다른 것들에도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됩니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있지요?

    어떤 재화와 동일한 유용성을 가지기 때문에,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이런 재화를 대체재라고 합니다.

    소고기 가격이 많이 오르면 우리는 돼지고기나 닭을 대신 사서 먹습니다.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오르는데,

    특정 재화의 가격이 오르게 되면 그 현상에 맞춰서

    사람들은 대체재를 찾아 소비하기 시작하는데요.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서 자연스럽게 대체재의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격이 함께 올라가게 됩니다.

    위의 예시처럼 소고기가 비싸서 돼지고기를 사 먹었는데,

    너도나도 돼지고기를 사먹다 보니 이 녀석의 가격도 오르는 것이지요.

    이런 대채제의 예시는 다양하게 들 수 있는데요.

    밀과 쌀이 있고, 석유와 천연가스, 버터와 마가린 등이 있습니다.

    수요측면에서 보면 대체재의 관계에서는

    하나의 수요가 올라가면 다른 하나의 수요는 내려가게 되어 있습니다.

    소고기 가격이 올라서 돼지고기를 대체재로 찾게 된다면,

    소고기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보완재는 특정 재화와 더불어 필요한 재화를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커피를 마실 때 설탕이 필요할 수 있고,

    빵을 먹을 때 잼이나 버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 보완관계에 얽혀 있는 재화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 수요곡선 두 재화를 따로 소비했을 때보다

    함께 소비했을 때 더 효용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보완재들은 두 관계에서 하나의 가치가 상승하면

    다른 재화도 덩달하서 상승하게 됩니다.

    대체재와는 달리 수요가 함께 증가하는 것입니다.

    펜-잉크, 바늘-실 등이 있습니다.

    수요법칙은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인데요.

    이런 수요법칙에도 예외는 있습니다.

    기펜이라는 경제학자가 발견한 열등재의 일종인데요.

    가격이 내려감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가 더 떨어져 수요가 오히려

    시대의 뒷전으로 사라져가는 재화들이 특히 기펜재가 될 확률이 높은데요.

    고무신 이나 연탄 같은 경우 요즘도 사용은 하지만,

    가치가 떨어져 가격이 낮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수요가 더 줄어들수 밖에 없는 재화들입니다.

    가격이 계속 오르는데 수요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같이 올라가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특히 명품 이나 보석 등 고급재들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과시욕의 폐단으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고급차, 고급 아파트 등 다양한 위풍재들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소비효과 중에서도 베블런 효과 와도 의미가 통하는 개념입니다.

    베블런 효과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 분은

    실질적인 소득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늘어나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소득이 늘면 자연스럽게 수요가 늘어나는데요.

    와인 과 같은 재화를 정상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정상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열등재가 있습니다.

    이것은 소득이 늘어나면 반대로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인데요.

    소주 와 같은 서민들이 즐겨찾는 것들 중에 열등재가 있습니다.

    '재태크 & 경제 이야기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소한의 보호, 최저가격제와 최고가격제 (1) 2015.07.02
    디폴트 개념과 영향 (2) 2015.06.29
    수요법칙의 개념과 예외 (6) 2015.06.28
    다른 것들에 영향받는 나의 소비형태, 소비효과 (4) 2015.06.26
    애덤스미스, 가치의 역설 - 다이아몬드와 물 (4) 2015.06.24
    채권의 종류와 이자 (2) 2015.06.17

    이 수요 공급 법칙이 전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어요^^
    단순히 수학적 그래프로만 이해해서 그렇습니다.
    수요공급 곡선이 수학적 함수를 근간으로 하고 있기는 하나 하나의 현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공학도로써 참 어려웠던 것이죠.
    좀더 공부한 후 이 법칙이 정말 놀랍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여튼 이 포스팅을 통해 잊었던 개념들을 다시 세워볼 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저 곡선의 정의와 관련해서 교수님과 30분간 토론을 했었어요.
    당시 저는 이제 막 경제학을 공부하던 학생이였는데 저 곡선이 의미하는 것과 교수님이 설명하는 것이 명확히 이해가 안되었었거든요.
    그러나 제 실수는 저 곡선이 의미하는 것을 단순히 수학적 기호로만 이해한 것이였죠. 그 때부터 공학도적인 사고를 버리고 사회과학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 곡선이 저에게 주는 의미는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죠^^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사례였습니다.

    멋지시네요. 교수님과 30분간 토론을 할 정도면 정말 열심히 공부하셨나봐요. ^^ 저는 그래본 적이 없군요. 경제라는 것에 대한 공부를 열심히는 하고 있는데, 조금만 파고 들어도 너무 어려워서. 개념이라도 머리에 잘 박아두고 싶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사막의 싱크홀

    수요에는 법칙이 있다. 당연한 말 같지만 이건 굉장히 중요한 사실이다! 선택행위를 예측해야 하는 경제학에서 법칙이 없다면, 그것도 가장 기본이 되는 수요에서조차 법칙이 없다면…… 경제학 할 시간에 놀이터 흙 파서 500원짜리 찾는 게 더 효율적일 거다.

    법칙이라고 하면 꼭 외워야 할 것 같지만 (주입식 교육의 폐해) 수요법칙은 외울 필요가 전혀 없다. 아래 표를 보자.

    아이셔를 정말 사랑하는 친구의 수요를 정리한 표다. 친구 이름을 쓰긴 좀 그러니 찬디르라는 별명을 붙여 주자. 찬디르는 아이셔 한 곽의 가격이 2500원일 때 한 달 동안 아이셔 4곽을 사 먹으려고 한다. 한 곽에 2000원이라면 7곽, 1500원이라면 11곽, 1000원이라면 17곽, 500원이라면 25곽. 느낌이 오는가?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떨어질수록 수요량이 증가한다. 따로 부연 설명할 게 없다. 누구나 비싸지면 적게 사고 싸지면 많이 사니까. 수요법칙 은 이렇게 상품 가격 상승/하락수요량 감소/증가 로 이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가격에 따른 수요량 변화를 알고 있으니, 이를 기반으로 수요곡선을 그릴 수 있다. 생산가능곡선이 말 그대로 얼마나 ‘생산 가능’한지 보여줬다면, 수요곡선은 수요를 보여주는 곡선 이다. 찬디르의 아이셔에 대한 수요곡선을 그려 보자.

    P 옆에 (백 원), Q 옆에 (곽/월)을 써 줘야 정확하다. 귀찮아서. 하하.

    그래프의 Y축에는 독립 변수인 가격(P) 이, X축에는 종속 변수인 수요량(Q) 이 들어간다 . 주어진 정보를 입력하고, 가격과 수요량이 만나는 점을 모두 찾은 뒤 이 점들을 연결하면 수요곡선이 완성된다. 수요곡선을 보면 각 가격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얼마나 수요하는지 알 수 있다. 보통의 수요곡선은 위 사진처럼 우하향하는 모양을 보인다 . 수요법칙이 그대로 적용된,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량이 줄어드는 수요곡선이다.

    이제 수요법칙의 예외에 대해 생각해보자. 웬만한 법칙들에는 다 예외가 있기 마련이고, 교재에서는 수요법칙의 예외로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는 과시적 소비(베블런 효과) , 두 번째는 기펜재(Giffen goods) 다. 두 경우 모두 가격이 오를 때 수요량이 증가하는 사례인데, 교재에서 기펜재를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고 해 여기서 굳이 정리하지는 않겠다.

    베블런 효과로 잘 알려진 과시적 소비를 들여다보자. 교재에는 “값비싼 상표로 알려진 핸드백의 경우는 비쌀수록 수요가 더 몰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써 있다. 단순히 생각하면 수요법칙의 예외로 보이는데, 한 가지 의문점이 있다.

    지난 글에서 다뤘던 ‘세테리스 파리부스(ceteris paribus)’를 기억하는지?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함을 가정하는 이 문구는 경제학에서 어떤 법칙을 세우든 항상(아마도?) 적용된다. 수요법칙 역시 ‘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 가격이 변하면 수요량이 역방향으로 움직인다 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바꿔 말하면 가격 외의 조건을 가져오는 순간 수요법칙 바깥의 얘기가 된다는 거다.

    그럼 베블런 효과를 받는 재화들은 정말 가격 상승만으로 수요량을 증가시키는 걸까? 교재에서 예로 든 명품 핸드백의 수요량에는 분명 명품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반영돼 있을 거다. 다만 수요법칙을 이야기할 수요곡선 땐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해야 하니 명품에 대한 선호는 머릿속에서 지워 버려야 한다. 오로지 가격 하나만 올랐는데 사람들이 더 많이 살 수 있을까?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기업이 가격을 무한정 올려도 소비자들이 무한정 수요한다는 얘기인데…….

    모 교수님께 질문한 결과 위와 같은 이유로 베블런 효과를 수요법칙의 예외로 인정하지 않는 의견도 있다고 한다.

    오늘의 마지막 부분!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이다. 사실 4~5차시 진도에서 나오는 개념은 아닌데, 수요곡선과 한계편익을 얘기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출할 수 있는 법칙이라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한계편익 개념부터 알아야 한다. 한계편익 이란 상품 한 단위를 더 소비할 때 얻을 수 있는 효용 의 크기 다(편익은 효용을 금액으로 표시한 거라고 이해하면 쉽다). 경제학에서 한계(Margin)는 ‘하나 더’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엇을 의미한다. 좀 어렵게 표현하면, 추가되는 독립변수 한 단위당 변화하는 종속변수의 수준 이라고 볼 수 있다. 물을 한 모금 더 마실 때의 효용, 사람을 한 명 더 고용할 때의 효용, 땅을 한 평 더 살 때의 효용…… 이런 식이다.

    앞에서 본 찬디르의 아이셔 수요곡선을 다시 보자. 먹는 얘기라 더 이해하기 쉽다! 아이셔 한 곽을 다 먹는다고 하면, 당연히 처음 먹는 한 알과 마지막에 먹는 한 알의 효용은 다르다. 같은 거 계속 먹으면 질리니까(중요). 한 알을 더 먹을 때 얻는 효용의 크기가 점점 줄어든다. 즉, ‘한계효용’이 계속 감소하는 거다. 이해하기 쉽게 표를 그려 봤다.

    찬디르는 아이셔를 정말 좋아한다. 6개가 뭐야, 하루에 6곽도 먹을걸.

    총효용을 보자. 찬디르가 아이셔 1개를 먹었을 때 얻은 총효용은 10이다. 2개째엔 18, 3개째엔 25, 6개째엔 36까지 늘어난다. 아이셔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6개째 먹을 때까지 계속 총효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계효용을 구해 보면 어떨까. 여기서 한계효용은 ‘아이셔 하나 더 먹었을 때 얻는 효용’이므로, 1개째에서 2개째로 넘어갔을 때 효용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구해야 한다. 한계효용이 점점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소비자가 재화를 소비할 때 한계효용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이라고 부른다. 이게 수요곡선과 무슨 관계가 있냐고? 수요곡선의 높이가 곧 한계효용, 한계편익이기 때문이다. 또 그래프를 가져오면 싫어할 것 같으니 말로 정리해보면…….

    가격이 만 원일 때 10개 산다고 치자. 소비자 입장에서 만 원에 10개가 가장 효율적인 수요량이란 건, 만 원인데 11개를 사면 손해라는 뜻이다. 물건 수요수요곡선 곡선 가격은 만 원으로 고정돼 있으니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하나 더’ 살 때 얻는 편익이 적어도 만 원어치 이상 은 돼야 한다. 그런데 딱 10개째 사면서 멈췄다? 10개째 살 때의 한계효용이 만 원어치라는 얘기다. 한계효용은 체감하니 11개째 살 때의 한계효용이 만 원 미만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사람들의 모임

    경쟁시장 (Competitive Market)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 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

    가격을 올리면 다른 가게에서 소비자들이 구매

    • 완전 경쟁 시장
      가장 단순한 형태의 시장환경

      독점시장
      하나 또는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여 가격을 직접 결정하는 시장환경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수요량 (Quantity demanded)
    소비자들이 값을 치르고 구입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의 양

    Quantity [ | kwɑ:ntəti] "양 ", "수량"

    A quantity is an amount that you can measure or count

    The price depends on the quantity of your order

    질보다 양으로 Quantity over quality

    수요의 법칙 (Law of demand)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재화의 수요량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은 증가한다.

    수요 곡선 (Demand Curve)
    가격과 수요량의 마이너스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가격이 0 일때는 상정하지 않고,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진 못하더라도 가격과 수요의 관계를 설명

    가격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한 수요의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표현

      수요의 증가 (Increase in demand)
      그래프를 우측으로 이동

    예) 아이스크림을 정기적으로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뉴스

    Demand Curve를 이동시키는 주요 변수

    가격 이외의 원인으로 수요량이 변화하면 수요곡선은 이동한다.


    1) 소득
    개인의 소득이 변동에 따라 수요가 변화

        정상재 (normal good)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소득의 감소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

      정상재 : 자동차 또는 택시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 증가)

      열등재 : 버스 (소득의 증가에 따라 버스 사용자의 감소)

          기팬재 (Giffen goods)
          열등재의 가격이 오름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가격이 수요를 결정하는 유일한 변수일 때 가능 (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때)

        베블렌 효과
        사치재의 경우 가격이 올라갈수록 희소성이 증가하여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2) 연관재의 가격
        연관계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요가 변화

            대체재 (Substitutes)
            한 재화의 가격 하락에 따라 다른 재화의 수요가 감소하는 관계

            예) 냉동 요구르트의 가격 하락에 따라 아이스크림의 수요 하락
            예) 핫도그의 가격 하락에 따라 햄버거의 수요가 하락
            예) 짜장면의 가격 하락에 따라 라면의 수요가 하락

          Substitute [ | sʌbstɪtu:t] "대체재", "교체선수"

          A substitute is something that you have or use instead of something else

          If you substitute one thing for another, or if one thing substitutes for another,

          it takes the place or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other thing

          Complement [美 | kɑ:mplɪmənt] "보완재 "

          Something that is a complement to something else complements it.

          If one thing complements another, it goes well with the other thing and makes its good qualities more noticeable

          3) 취향
          소비자의 취향

          인간의 취향은 역사 및 심리의 영역이지만, 취향의 변화에 따른 현상은 경제학의 영역

          예)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 사람은 더 많이 먹는다.

          4) 미래에 대한 기대

          재화의 가격 변동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수요 변화

          예) 아이스크림의 가격이 내일 하락한다면 오늘 덜 사먹을 것이다.

          수요곡선은 수요량의 결정을 미치는 변수들이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곡선이며, 가격 이외의 다른 변수가 변화하면 수요 곡선은 이동한다.

          예) 담배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두 가지 (수요 곡선 기준)

          수요 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경고문 부착 의무화, 공익광고, 담배 광고의 금지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공급량 (Quantity supplied)

          판매자가 팔 의사와 능력이 있는 수량

          공급의 법칙 (Law of supply)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재화의 공급량은 증가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을 줄이거나 페업한다.

          공급곡선 (Supply curve)

          가격과 공급량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가격이 동일한 상황에서 공급의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표현

            공급의 증가 (Increase in supply)
            그래프를 우측으로 이동


          Supply Curve를 이동시키는 주요 변수

          가격 이외의 원인으로 공요량이 변화하면 공급곡선은 이동한다.

          1) 요소 가격
          제품의 요소나 부품 가격의 변화

          예) 설탕 및 매장 건물의 가격이 변화하면 아이스크림 가격이 변화한다.

          2) 기술
          제품의 생산 기술

          예) 자동화된 아이스크림 기계가 발명되면 생산 인력이 감소하여 비용이 낮아져서 공급량 증가

          3) 미래에 대한 기대

          예) 아이스크림 가격이 오를 것을 기대하면 재고를 늘리고 공급량을 줄임

          공급곡선은 공급량의 결정에 미치는 변수들이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가격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곡선이며, 가격 이외의 다른 변수가 변화하면 공급 곡선은 이동한다.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재화량과 가격이 결정된다.

          실제 수요곡선은 매끄럽지 않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구매량을 예측하고 실제 구매가 일어나면 거래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균형 (Equilibrium)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이 만나는 점

          균형 가격 (Equilibrium price)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이 만나는 점의 가격

          가격은 공급과 수요가 맞아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균형 가격의 결정 시기에 따른 분류

            거래가 빈번하지 않은 시장
            부동산
            잡지 가격
            식당 메뉴 비용

          균형거래량 (Equilibrium quantity)

          균형가격에서의 수요량과 공급량

          Equilibrium [ | i:kwɪ | lɪbriəm; | ekwɪ | lɪbriəm] "평형"

          Equilibrium is 수요곡선 a balance between several different influences or aspects of a situation

          수요과 공급의 균형 the equilibrium of demand and supply

          공급과잉 (Express supply or surplus)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상황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높은 경우로 판매자는 낮은 가격에라도 판매를 하고자 하므로 균형가격으로 수렴됨

          Surplus [ | sɜ:rpləs] "과잉"

          If there is a surplus of something, there is more than is needed.

          공급부족 (Express demand or shortage)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는 상황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높은 경우로 구매자는 높은 가격에라도 구매하고자 하므로 균형가격으로 수렴됨

          Shortage [ | ʃɔ:rtɪdƷ] "부족"

          If there is a shortage of something, there is not enough of it.

          인력부족 A manpower shortage

          취직난 A job shortage

          물부족이 심각해졌다. The shortage of water grew all the more serious.

          식량 부족은 전쟁으로 이어진다. A shortage of food can lead to war

            재화의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할 경우
            판매자들은 판매가격을 낮추고, 낮은 가격은 수요량의 증가와 공급량 감소를 유발한다.

          수요공급의 법칙 (Law of demand and supply)

          재화의 가격이 그 재화에 대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현상

          5. 균형의 변화에 대한 3단계 분석

          어떤 사건의 발생에 대한 분석

          1 단계 : 수요곡선, 공급곡선, 또는 수요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지 판단

          2 단계 : 곡선의 이동 방향을 판정

          3 단계 : 곡선의 이동이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예) 이상 고온으로 인한 아이스크림 수요 수요곡선 변화

          1 단계 : 더위로 사람들의 취향이 변화에서 수요곡선이 변화
          날씨는 아이스크림 생산량과 무관

          2 단계 :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3 단계 : 균형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한다.

          예) 태풍으로 인한 설탕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아이스크림 수요 변화

          1 단계 : 설탕의 가격으로 아이스크림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공급량 감소

          2 단계 : 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3 단계 : 초과 수요가 발생하여 가격 상승

          예) 계란 값의 변화 : 2017년 1월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은 높음

          1 단계 : AI의 발생으로 공급량이 감소

          2 단계 : 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3 단계 : 초과 수요의 발생으로 가격 상승


          예) 계란 값의 변화 : 2017년 9월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도 낮음

          1 단계 : 살충제 파동으로 수요량의 감소

          2 단계 : 수요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3 단계 : 균형 가격이 하락하면서 공급량도 줄어듬

          예) 네델란드 튤립 거품 (Tulip Mania)
          네델란드 상인들이 중개 무역을 통해 툴립을 정원에 심기 시작하면서 유행

          [경제교과서 뛰어넘기] (4) 정상재ㆍ열등재와 수요곡선

          정상재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지만 열등재는 우상향할 수도 있다.

          오 헨리(O Henry)의 단편소설 「크리스마스 선물」(The Gift of the Magi)은 자신이 가장 아끼는 것을 팔아 배우자의 크리스마스 선물을 마련한 젊은 부부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이 소설에서 아내 델라는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백금 시곗줄을 구입하고,남편 짐은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금시계를 팔아 보석으로 장식된 빗을 구입한다.

          짐과 델라는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상대방을 위해 값비싼 선물을 마련하였지만 이러한 보석류에 대한 수요는 소득이 높아질 때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 경제가 호황을 구가하던 1990년대 후반에는 미국 소비자들의 소득이 증대되어 크리스마스 선물로 보석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하지만 2001년 IT버블이 붕괴되어 경기가 침체되자 보석류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값싼 크리스마스 캔디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각광을 받았다.

          경제학에서는 소득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감소)하는 상품을 정상재(normal goods)라 부르고,소득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그 수요가 감소(증가)하는 상품을 열등재(inferior goods)라 부른다.

          위의 사례에서 수요곡선 보석류는 정상재로,크리스마스 캔디는 열등재로 볼 수 있다.

          미국 소비자들에게 보석류는 크리스마스 선물로서 크리스마스 캔디보다 매력적이기 때문에 주머니 사정이 좋아지면 보석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교과서 뛰어넘기] (4) 정상재ㆍ열등재와 수요곡선

          지난 시간에 우리는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의 이면에는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있다는 것을 학습하였다.

          사실 엄밀히 따져보면 정상재의 수요곡선은 항상 우하향하지만 열등재의 수요곡선은 우상향할 수도 있다.

          가격변화와 수요량 변화가 반대방향이면 음(-)으로,같은 방향이면 양(+)으로 표시해보자.

          대체효과란 지난 시간에 배운 바와 같이 어떤 상품의 가격이 하락(상승)하면 다른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지기(비싸지기) 때문에 그 상품의 수요량이 증가(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체효과의 방향은 상품이 정상재이든 열등재이든 상관없이 항상 음으로 나타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소득효과이다.

          소득효과는 정상재이냐 열등재이냐에 따라서 방향이 달라진다.

          가격변화에 있어서의 소득효과란 소득이 일정할 때 가격변화로 인한 실질소득의 변화로 수요량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이 일정할 때 가격이 하락(상승)하면 소비자들의 실질소득이 증가(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정상재의 경우에는 가격이 하락(상승)하여 실질소득이 증가(감소)하는 효과가 일어나면 수요량이 증가(감소)하기 때문에 소득효과의 방향은 대체효과와 마찬가지로 음(-)이다.

          따라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합은 음(-)으로 나타나고,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가격이 하락(상승)하면 수요량은 증가(감소)한다는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이 성립한다.

          반면 열등재는 가격이 하락(상승)하여 실질소득이 증가(감소)하는 효과가 일어나면 수요량이 감소(증가)하기 때문에 소득효과가 양(+)으로 나타난다.

          대체효과는 음(-)이고,소득효과는 양(+)이기 때문에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합은 음(-) 또는 양(+)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대부분의 열등재는 음(-)의 대체효과가 양(+)의 소득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합은 정상재와 마찬가지로 음(-)으로 나타난다.

          이는 열등재의 경우에도 대체로 수요의 법칙이 성립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열등재 중에는 양(+)의 소득효과가 음(-)의 대체효과를 압도하여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합이 양(+)이 되는 예외적인 재화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때에는 가격의 하락(상승)이 오히려 소비량의 감소(증가)를 가져와 수요의 법칙에 위배된다(우상향하는 수요곡선).

          이와 같은 성격을 갖는 상품은 스코틀랜드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인 로버트 기펜(Robert Giffen)의 이름을 따 기펜재(Giffen goods)라 부른다.

          기펜재란 이름이 등장하게 된 것은 근대 경제학의 형성에 크게 기여한 알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이 그의 저서 「경제학원리」(Principles of Economics)에서 기펜이 빵 가격이 상승하면 가난한 가계는 고기 등 가격이 비싼 식료품의 소비를 줄이고 오히려 빵을 더 소비할 것이라고 지적했다고 기술하면서부터다.

          하지만 후대의 학자들이 기펜이 쓴 어느 글에서도 이러한 언급을 발견하지 못해 실제로 기펜이 기펜재의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는지 여부는 명확히 알 수가 없다.

          현재까지 기펜재의 예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서의 감자이다.

          당시 아일랜드에서 감자는 하층민들이 즐겨 먹는 열등재였다.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감자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감자를 다른 음식으로 대신하려 할 것이다(음의 대체효과).

          하지만 아일랜드 사람들은 감자 기근으로 주식인 감자 가격이 상승하여 구매력이 감소하자 고기 소비를 줄이고 감자 소비를 늘렸다고 한다.

          양의 소득효과가 음의 대체효과를 초과한 것이다.

          아일랜드의 감자가 기펜재의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기는 하지만 이는 19세기의 이야기이고,기펜재로 보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몇 년 전 데이비드 멕켄지(David McKenzie)라는 경제학자가 1990년대의 자료를 바탕으로 멕시코 전통의 옥수수빵인 토르티야(Tortilla)가 기펜재일 가능성에 대해 연구를 했었지만 토르티야가 열등재라는 사실만을 밝혀내고,기펜재라는 사실은 증명해내지 못했다.

          최근 중국의 후난성과 감숙성에서도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기펜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제한적인 결론에 이르렀을 뿐이다.

          보통 어떤 한 재화의 소비는 소비자 전체 예산의 작은 부분을 차지할 뿐이다.

          그러므로 한 재화의 가격변화로 인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압도할 만큼 크게 나타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소득효과의 방향은 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많다.

          결국 현실에서 수요곡선 기펜재의 사례를 찾기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경제학에서는 수요곡선은 우상향하는 경우는 무시하고,수요곡선이 우하향한다는 가정 아래 이론을 전개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경제교과서 뛰어넘기」에서도 수요곡선이 우하향한다는 가정 아래 모든 설명을 해나갈 예정이므로 학생들은 이를 유념해주길 바란다.

          경제학개론은 시장경제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자원이 배분되며 소득이 분배되는 과정과 원리를 다루며, 가계의 합리적인 소비행위와 기업의 합리적인 생산 활동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낳는가, 시장형태와 정부정책이 자원배분을 어떻게 변형시키는가, 자유시장기구의 작동원리와 한계, 정부규제의 효과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등 경제학의 기본이론을 확고하게 이해시켜주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경제활동 원리와 생산자의 생산 활동 원리를 규명하고, 완전경쟁시장, 독립시장, 불완전 경쟁시장 등 여러 시장 형태에 따른 가격결정 원리를 해명해본다.

          • 본 과목은 경제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문제를 통해 수요공급법칙, 소비자생산자이론, 시장구조이론 등 가격의 자원 배분기능을 중심으로 다루는 미시적 경제이론과 국민소득 등 국민 경제적 차원의 문제를 다루는 거시적 경제이론을 학습한다. 즉, 시장경제의 원리와 분배, 시장형태과 정부정책, 시장형태에 따른 특징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추구한다.

          첫째, 경제학의 주요 주제와 관련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미시경제학을 기반으로 시장원리와 경영원리를 바탕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거시경제학을 기반으로 국가경제와 국제 경제의 작동원리와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 수료기준 상위 0% 이내 (진도 80% 미만일 경우 수료 불가)

          성적분포 A B C D F
          20% 40% 20% 15% 5%

          시험 중간고사 2022-11-25 (금) ~ 2022-11-28 (월)
          기말고사 2023-01-13 (금) ~ 2023-01-16 (월)
          과제 과제 2022-11-30 (수) ~ 2023-01-03 (화)
          토론 토론 2022-10-19 (수) ~ 2022-11-29 (화)

          기타 학습계획서 1주차 ~ 3주차까지

          수업방법 100% 온라인 수업
          수업에 특별히
          참고하여야
          할 사항
          - 페이지 출결인증방식
          - 범용공인인증서 로그인
          - 지정 PC 등록
          - 시험보안모듈 프로그램
          - 동시접속 차단
          강의유형 이론중심

          1. 강의주제 : 경제학의 기본성격
          2. 강의목표
          - 합리적 선택 기준과 선택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경제학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경제학의 기본성격과 경제학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선택의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경제학의 대상과 성격
          - 선택의 학문으로서의 경제학

          1. 강의주제 : 경제자원과 생산가능곡선
          2. 강의목표
          - 경제의 주요 자원과 그 자원의 역사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자원을 활용한 효율적인 생산을 나타내는 방법인 생산가능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경제적 자원
          - 생산가능곡선의 개념
          - 생산가능곡선 내부와 외부의 생산
          - 경제학의 초점이 되는 생산가능곡선
          - 생산가능곡선
          - 시장가격이 결정하는 생산량
          - 생산가능곡선의 이동

          1. 강의주제 : 경제의 기본문제와 시장
          2. 강의목표
          -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국민들이 항상 직면하는 국민경제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
          -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은 어떠한 경제체제를 구성하고 운영하고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시장에서 판매와 구매가 자발적으로 계속 이루어지는 이유인 ‘교환의 이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국민경제의 기본문제
          - 시장과 교환의 이익(Gains from trade)
          - 경제체제

          1. 강의주제 : 경제이론과 경제모형의 개요
          2. 강의목표
          - 경제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경제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중요한 경제변수들을 선택하여 그 관계들을 나타내는 경제모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이론(Theory)
          - 경제모형

          1. 강의주제 : 경제학의 분류
          2. 강의목표
          - 경제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인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기초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경제학의 기초적인 분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경제변수의 관계
          - 분석 대상에 따른 경제학 분류
          - 가치판단 여부에 따른 경제학 분류

          1. 강의주제 : 경제학의 기본원리
          2. 강의목표
          - 경제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경제학의 기본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새로운 경제환경과 새로운 경제학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저량변수와 유량변수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경제변수의 구분 : 저량변수와 유량변수
          - 경제학적 사고
          - 새로운 경제이론과 정책 개발의 필요성

          1. 강의주제 : 효용개념과 무차별곡선
          2. 강의목표
          - 시장경제이론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요와 공급 중에서 수요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효용, 예산제약선, 무차별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수요측면의 핵심정보 : 수요곡선
          - 예산제약
          - 효용과 무차별곡선

          1. 강의주제 : 소비자 선택이론
          2. 강의목표
          - 효용극대화를 위한 소비자 선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소비자선택이론의 기초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예산제약의 내용을 수식과 그래프로 나타내고 예산제약 변화의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효용극대화
          - 소비자선택이론

          1. 강의주제 : 한계개념 및 한계효용
          2. 강의목표
          - 경제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한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총효용과 한계효용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한계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한계효용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한계효용균등의 수요곡선 법칙

          1. 강의주제 : 수요곡선 도출
          2. 강의목표
          - 효용극대화와 소비자선택이론이 현실의 경제와 비즈니스와의 관계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설명할 수 있다.
          - 가격변화에 따라 효용을 극대화하는 최적선택의 변화논리와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가격변화에 대응한 소비량의 변화관계를 나타내는 수요곡선을 도출하여,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소비자선택이론과 비즈니스
          - 수요곡선 도출

          1. 강의주제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2. 강의목표
          -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정상재, 열등재, 사치재 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정상재와 열등재

          1. 강의주제 : 탄력성 개념 및 수요자잉여
          2. 강의목표
          - 수요곡선의 이동 여부에 따른 수요량 변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탄력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소비자 잉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수요곡선의 이동
          - 탄력성
          - 소비자 잉여

          1. 강의주제 : 공급곡선과 기업이론의 기초
          2. 강의목표
          - 공급이론의 주요 내용인 공급곡선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공급의 주체인 기업의 존재와 규모에 대해 설명하는 기업이론의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 경제분석을 위하여 생산에 필요한 생산요소를 구분하고 장기와 단기의 기간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공급곡선의 개요
          - 기업이론의 기초
          - 생산곡선

          1. 강의주제 : 생산곡선과 비용곡선
          2. 강의목표
          - 기업의 활동을 생산곡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비용개념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기업의 활동을 비용곡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생산곡선
          - 비용개념
          - 비용곡선

          1. 강의주제 : 공급곡선 도출
          2. 강의목표
          - 한계비용과 평균비용곡선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시장가격에 따른 공급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 한계비용곡선으로부터 공급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 공급곡선의 이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평균비용과 한계비용의 관계
          - 한계비용이 공급곡선이 되는 경우
          - 공급곡선 특성 : 곡선의 이동과 탄력성

          1. 강의주제 : 이윤함수와 한계조건
          2. 강의목표
          - 기업의 이윤극대화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윤을 수입과 비용을 나타내어 이윤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 총수입과 한계수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수입과 비용의 차이인 이윤을 극대화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이윤의 개요
          - 이윤극대화와 한계개념(한계수입, 한계비용)

          이윤극대를 위한 한계조건의 이해

          1. 강의주제 : 이윤극대를 위한 한계조건의 이해
          2. 강의목표
          -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이해하기 위하여 비용곡선과 수입곡선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의 차이를 나타내는 이윤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 조건인 한계수입=한계비용(MR=MC) 조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그래프로 나타낸 이윤
          - 한계조건으로 나타낸 이윤극대화

          1. 강의주제 : 시장균형의 개념과 사회후생
          2. 강의목표
          - 시장분석에서 중요한 수요곡선 균형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균형가격과 균형거래수량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시장의 균형을 제한하는 정책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그리고 두 잉여의 합인 순사회편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수요와 공급의 균형
          -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1. 강의주제 : 시장의 유형과 완전경쟁시장
          2. 강의목표
          - 기업이 수요곡선 활동하는 시장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시장유형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시장유형
          - 완전경쟁시장

          1. 강의주제 : 완전경쟁시장에서의 단기이윤
          2. 강의목표
          - 기업의 단기이윤 극대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한계비용곡선이 기업이 공급하는 상품의 공급곡선이 된다는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이윤을 확보하지 못하여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기준과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기업의 단기이윤
          - 생산중단가격(Shut-down price)
          - 기업의 공급곡선

          1. 강의주제 : 기업의 공급곡선
          2. 강의목표
          -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단기 이윤극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기업 공급곡선 도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완전경쟁시장에서 한계비용이 공급곡선이 되는 경제적 논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수요곡선 단기 이윤극대화 요약
          - 공급곡선 도출
          - 장기조정

          [중간고사]
          - 시험범위 : 1주차 ~ 7주차
          - 문항 수 : 총 25문항 (객관식 20문항 / 주관식 5문항)
          - 시험시간 : 60분 (장애인 90분)
          - 시험응시방법 : 범용공인인증서 로그인 → 온라인 강의실 → 과목명 → 시험방 → 시험응시
          - 성적공개 : 이의신청 기간에 한해 1회 공개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과 평가

          1. 강의주제 :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과 평가
          2. 강의목표
          - 시장에서 단기적으로 최적선택의 결과가 장기적으로 어떠한 조정이 발생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 기업이 정상이윤을 얻는 장기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평가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장기조정
          - 장기균형
          - 완전경쟁시장의 평가

          1. 강의주제 : 불완전경쟁시장 - 독점시장
          2. 강의목표
          - 완전경쟁시장과는 다른 불완전 경쟁시장을 설명할 수 있다.
          - 불완전경쟁시장의 원인, 기업의 행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독점기업과 독점시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독점 기업의 행태에 따른 독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불완전경쟁의 발생원인
          - 독점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한계수입곡선
          - 독점 시장의 균형과 경제적 효과

          1. 강의주제 : 독점시장의 평가와 정책
          2. 강의목표
          - 완전경쟁시장의 성과와 비교하여 독점시장의 비효율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독점시장에 대한 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 규제, 경쟁촉진정책, 소비자보호 정책 등 반독점 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 과점시장과 독점적 경쟁시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독점시장의 비효율성
          - 반독점 정책(Antitrust Policy)
          - 과점시장(Oligopoly)
          -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1. 강의주제 : 국민소득의 측정
          2. 강의목표
          - 개별 소비자와 기업들이 선택하고 행동하여 나타난 결과를 묶어 국민 경제 전체 관점에서 분석하는 거시경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고, 거시경제의 주요 변수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거시경제의 기초개념 중에서 국민소득과 국민소득의 측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지출과 소득
          - 국민소득을 측정하는 방법
          - 국내총생산(GDP)

          1. 강의주제 :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
          2. 강의목표
          - 물가지수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소비자 물가지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물가지수의 의미와 중요성
          -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의 계산

          1. 강의주제 : 생산과 성장
          2. 강의목표
          - 생산과 성장의 기본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생산성의 결정변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생산과 성장의 기본원리
          - 생산성의 결정 변수
          - 생산함수
          -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정부정책

          1. 강의주제 : 금융제도, 저축과 투자
          2. 강의목표
          - 금융제도와 금융시장의 기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금융시장을 통하여 저축과 투자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국민소득계정과 저축-투자 균형을 설명할 수 있다.
          - 저축과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금융제도, 금융시장과 수요곡선 금융중개기관
          - 국민소득계정과 저축-투자 균형
          - 국민저축, 민간저축, 정부저축
          - 대부자금시장
          - 저축과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정책

          1. 강의주제 : 개방경제의 기초
          2. 강의목표
          - 개방경제의 기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자본거래에 있어, 저축/투자/순수출/순자본유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국제거래의 가격인 실질환율과 명목환율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개방경제를 배우는 이유
          - 폐쇄경제와 개방경제
          - 한 국가의 수출, 수입,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 자본 거래 : 순자본유출
          - 순수출과 순자본유출
          - 저축, 투자, 순수출, 순자본유출 사이의 관계
          - 국제거래의 가격 :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1. 강의주제 : 실업
          2. 강의목표
          - 실업률의 의미와 실업통계의 한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실업 발생의 원인 등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실업과 실업률
          - 실업률의 정의
          - 실업통계는 얼마나 정확한가?
          - 실업은 왜 발생할까?
          - 자연실업률

          1. 강의주제 : 화폐와 통화량
          2. 강의목표
          - 화폐의 정의 및 기능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협의 및 광의의 통화와 통화량 측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화폐의 정의와 기능
          - 화폐의 종류
          - 화폐정의의 두 가지 기준
          - 동전에서 지폐, 예금까지
          - 화폐와 통화량
          - 협의의 통화[M1]
          - 광의의 통화[M2]

          1. 강의주제 : 통화제도
          2. 강의목표
          - 통화제도와 통화량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통화량 조절의 한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 통화승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한국은행의 기능
          - 공개시장조작에 의한 통화량 조절
          - 통화량 조절의 다른 방법
          - 콜시장과 공개시장조작
          - 통화량 조절의 한계
          - 미국의 중앙은행 :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1. 강의주제 : 통화량의 증가와 인플레이션
          2. 강의목표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 화폐수요의 결정변수 및 화폐수량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원인
          -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 화폐수량설
          - 화폐수량 방정식

          1. 강의주제 : 경기변동이란?
          2. 강의목표
          - 경제활동 수준의 변동을 의미하는 경기변동의 특징과 경기변동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거시경제의 변동과 균형을 설명하는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
          - Keynes – Hicks의 IS-LM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경기변동의 정의
          -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을 설명하는 두 가지 변수
          - 총수요-총공급 모형

          1. 강의주제 : 총수요
          2. 강의목표
          - 총수요곡선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소비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요곡선의 우하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요곡선의 이동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총수요곡선 도출의 개요
          - 총수요곡선의 우햐향 이유
          - 총수요곡선의 이동

          1. 강의주제 : 총공급
          2. 강의목표
          - 장단기 총공급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단기 총공급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장기총공급곡선
          - 단기총공급곡선

          1. 강의주제 : 통화정책과 총수요
          2. 강의목표
          - 통화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화폐수요이론의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 화폐공급의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 화폐시장과 총수요곡선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통화정책
          - 유통성 선호이론
          - 화폐시장의 균형
          - 화폐시장과 총수요곡선
          - 통화량 변동과 총수요곡선

          1. 강의주제 : 재정정책과 총수요
          2. 강의목표
          - 재정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정부지출의 승수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정부의 재정정책이 민간부문의 투자를 밀어내는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 세금의 변화가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재정정책
          - 정부지출의 수요곡선 변화
          - 세금의 변화

          1. 강의주제 : 인플레이션과 실업
          2. 강의목표
          - 거시경제의 주요 관심변수인 인플레이션과 실업을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요관리정책 및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총수요, 총공급, 그리고 필립스 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거시경제학의 주요 쟁점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의세부내용
          -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Phillips Curve
          - 필립스 곡선과 총수요-총공급 모형
          - 장기 필립스 곡선
          - 자연실업률
          - 거시경제학의 쟁점

          [기말고사]
          - 시험범위 : 9주차 ~ 14주차
          - 문항 수 : 총 25문항 (객관식 20문항 / 주관식 5문항)
          - 시험시간 : 60분 (장애인 90분)
          - 시험응시방법 : 범용공인인증서 로그인 → 온라인 강의실 → 과목명 → 시험방 → 시험응시
          - 성적공개 : 이의신청 기간에 한해 1회 공개
          - 강의평가 후 최종성적 열람 가능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