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거래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비트코인 가격이 3일째 강세행진을 벌이고 있다. 미국 나스닥 지수가 연일 급등하고 있는 것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은 업비트에서 한국시간 30일 오전 4시 50분 현재 3166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전일인 29일 오전 4시 30분 현재 3127만원을 기록하고 있었는데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 양상이다. 과연 3200만원대를 뚫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28일 오전 3시 33분 현재 가격이 2922만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상당히 오른 셈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27일 오전 3시 24분에는 2799만원을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26일 오전 3시 31분 현재 2905만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이는 25일 오전 4시 현재 기록한 2990만원을 밑도는 시세였다. 24일 오전 6시 14분 현재는 2964만원에 거래됐다. 23일 오전 2시 28분 현재 비트코인은 3037만원에 거래되고 22일 오전 2시 32분 현재 3008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21일 오전 3시 14분 현재 3117만원에 거래되고 20일 비슷한 시간 3039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지난 7월 1일 2483만원에 거래되며 최근 시세 중에서는 가장 약세를 기록한 바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6월 15일 처음으로 3000만원대가 깨진 후 지난 7월 20일에서야 3000만원대를 회복한 바 있다. 35일 만에 3000만원대를 회복했지만 결국 4일 만에 다시 2000만원대로 내려왔다.3분 거래
비트코인의 과거 가격을 살펴보면 지난 6월 14일 오전 3시 23분 3098만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13일 같은 시간 무렵 비트코인은 3620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6월 12일 같은 시간 3729만원, 11일 3767만원, 10일 3841만원, 9일 3840만원, 8일 3968만원, 7일엔 3973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5월 11일 4152만원, 10일 4161만원, 9일 4531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아울러 5월 8일에는 4682만원, 7일 4660만원, 6일 4718만원, 5일 5090만원에 거래됐다.
이더리움도 한국시간 30일 오전 4시 53분 현재 227만원을 기록하며 전날인 29일 오전 4시 33분 현재 가격인 227만원과 똑같다. 비트코인 상승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더리움은 최근 상승세가 비트코인보다 가팔랐다.
이더리움은 28일 3시 36분 현재 207만원에 거래되며 이틀 만에 200만원대를 회복했다. 이더리움은 27일 오전 3시 26분 현재 184만원을 기록했다.
이더리움은 26일 오전 3시 33분 현재 201만원에 거래되며 간신히 200만원대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다. 전날은 210만원에 매매되며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더리움은 24일 같은 시간 202만원에 매매되며 아직 200만원대를 지키고 있었다. 이더리움은 23일 오전 2시 31분 현재 208만원에 거래되고 22일 오전 2시 35분 현재 202만원에 매매됐다.
이더리움은 21일 오전 3시 32분 현재 206만원을 가리키며 200만원대 가격을 지키고 있었다. 이더리움은 20일 오전 2시 35분 현재 204만원에 거래되며 37일 만에 200만원대 재등정에 성공했다. 이더리움은 19일 오전 3시 07분 현재 193만원에 거래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더리움은 지난 7월 1일 133만원, 지난 6월 30일에는 145만원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6월 13일 196만원을 기록하며 200만원대가 무너진 바 있다. 12일 비슷한 시간엔 202만원을 나타내며 간신히 200만원을 지키고 있었다. 이더리움은 업비트에서 6월 11일 비슷한 시간 217만원, 10일 229만원, 9일 227만원, 8일 234만원, 7일 235만원, 6일 230만원, 5일 226만원, 4일 223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30일 업비트에서는 이더리움클래식이 1조7605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거래가 폭발했다. 압도적인 1위로서 최근에는 보기 힘든 거래금액을 기록했다. 다만 이날 오전 4시 58분의 가격이 52,000원으로 전날 29일 가격인 53,900원에 못 미치고 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전날 폭등세를 보여준 바 있다. 즉 28일 업비트에서 이더리움클래식은 가장 많은 거래대금을 동반한 채 가격도 40,300원으로 초강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보다도 30% 넘는 상승률을 나타내며 가히 폭등세를 보여준 것이다.
이더리움클래식은 27일 오전 3시 28분 현재 32,130원을 기록하며 26일 오전 3시 36분 현재 가격인 32,810원을 밑돌고 있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25일 33,950원을 기록하고 24일 비슷한 시간 33,460원에 거래되고 23일 33,730원을 기록하며 거래금액 최상단에 랭크돼 있었다.
30일 업비트에서는 비트코인의 조카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골드가 44,950원에 거래되며 3분 거래 29일 비슷한 시간 기록한 37,000원을 크게 넘어서고 있다. 즉 21%나 상승한 가격으로 역시 폭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할 수 있다. 비트코인골드는 29일에도 전날보다 10% 넘는 급등세를 연출하고 있었다.
빗썸에 상장한 페이코인은 30일 오전 5시 05분 현재 424원에 매매되며 29일 오전 4시 38분 현재 기록한 427원을 밑돌고 있다. 다른 가상화폐 가격의 급등세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3분 거래 3분 거래 있다고 할 수 있다.
페이코인은 28일 오전 3시 44분 현재 431원에 거래되며 거래금액 급증과 함께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 페이코인은 27일 오전 3시 31분에도 425원에 매매되며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은 물론 거래금액이 크게 증가해 눈길을 끌고 있었다.
페이코인은 26일 오전 3시 40분 현재 400원대가 깨진 398원을 나타내고 있었다. 페이코인은 25일 오전 4시 11분 현재 417원을 3분 거래 기록하고 있었다. 이는 24일 오전 6시 26분 현재 412원을 기록하던 것에 비해 다소 오른 시세였다. 하지만 23일 오전 2시 39분 현재 가격인 426원보다는 내렸다. 페이코인은 22일 오전 2시 41분 현재 422원에 매매됐다.
가상화폐 중독: '난 수억원을 가상화폐 중독으로 잃었다'
그는 2015년 당시 가장 인기 있었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사면서 암호화폐 세계에 처음 발을 디뎠다. 몇 년 후, 그가 산 암호화폐가 대박을 터트리면서 그는 암호화폐 거래에 깊게 중독됐다.
그는 "언제 처음 문제라고 느꼈는지 정확히 기억한다"라고 말했다.
"여태껏 모았던 돈을 조금씩 거래하는 데 썼어요. 정말 마지막으로 남은 돈까지 써가면서 제가 계속 거래를 하더라고요. 결국, 한 번의 대박으로 그때까지 잃었던 금액을 모두 만회했습니다. 정말 그 희열은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해요."
제이크는 BBC 스코틀랜드의 9시 뉴스에 암호화폐 거래에서 느끼는 쾌락과 당시 힘들었던 결혼 생활과 개인 생활의 어려움이 만나면서 빠르게 중독으로 빠져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 번 대박을 노리기 위해 자신의 돈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돈에도 손을 대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어느 날 밤 20분 만에 전 재산을 잃었다. 그는 "그때가 새벽 2시였는데 침실로 돌아가 아내 옆에 누웠다"며 "아내는 방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상상도 못 했을 것"이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제이크는 횡령죄 혐의로 기소당했다. 그는 가족들의 도움으로 150만파운드(23억원)를 갚고 지금은 중독 치료를 받고 있다.
암호화폐는 무엇인가?
사진 출처, Getty Images
암호화폐는 쉽게 온라인상의 현금이라고 할 수 있다. 은행에서 발급하는 돈이 아니다.
사람들은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으며 투자도 할 수 있다. 그 3분 거래 누구라도 원한다면 암호화폐를 살 수 있다. 다만 관련 규제가 부족해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불안정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도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
영국 금융감독원의 통계에 따르면 영국 내 수십만 명이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5월 초 최고가를 찍은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몇 주 만에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1조파운드(1570조원) 폭락했다. 최고점에서 약 절반가량 줄어든 수치다.
이렇게 시장이 불안정하다 보니 투자 수익을 내면 대박이 나지만, 손실을 보면 바닥을 치게 된다.
'도박계의 코카인'
토니 마리니는 가상화폐 중독 클리닉 상담사로 활동 중이다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거래에 중독된 사람들과 도박에 중독된 사람들은 비슷한 증상을 호소한다고 말한다.
암호화폐 투자 중독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영국의 캐슬 크레이그 병원의 암호화폐 중독 클리닉 상담사인 토니 마리니는 스코틀랜드에서 중독 문제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암호화폐 투자가 "도박계의 코카인 같다"며 중독 관련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는 "24시간 7일, 핸드폰으로 컴퓨터로 확인할 수 있고, 방에서도 계속 멈추지 않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지난 몇 년간 100명이 넘는 암호화폐 중독 환자가 이 병원에서 치료받았다. 마리니는 암호화폐 시장은 멈추지 않고 계속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시장이 굉장히 불안정하다는 것이 중독에 크게 작동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물론 암호화폐에 투자해서 수익을 본 사람들도 매우 많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암호화폐 거래로 돈을 벌었다고 말하죠. 하지만 우리는 이로 인해 돈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듣지 못합니다."
메타콩즈의 위기…내부 총질에 NFT 시세 3분의 1 토막
[서울=뉴시스] 김제이 기자 = 국내 대표 대체불가능토큰(NFT)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한 메타콩즈가 내부 불화로 시작된 폭로전이 이어지면서 논란이 불거지자 NFT 시세도 3분의 1일로 떨어졌다. 지난달 이더리움으로 체인을 이동한 메타콩즈 프로젝트는 지난달 한때 평균 판매가가 3이더리움이 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1이더리움을 간신히 넘기고 있다.
31일 글로벌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에 따르면 메타콩즈 NFT의 전날 기준 최근 일주일간 판매가격은 1.0377이더리움이다. 같은 날 이더리움 시세로 환산 시에 우리나라 돈으로 약 235만원이다. 이더리움으로 체인을 변경한 메타콩즈는 이더리움 시세가 부진했던 지난달에도 19일 기준 평균 판매가격이 3.2778이더리움(약 479만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후 서서히 가격이 내렸지만 2이더리움 안팎을 유지했던 가격은 최근 메타콩즈 프로젝트 팀 내 내홍이 알려지면서 지난 23일 0.6633이더리움(약 136만원)까지 내렸다.
![]() |
지난 29일 글로벌 NFT 오픈마켓 오픈씨(opensea)에서 판매 중인 메타콩즈 NFT들 (사진=오픈씨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
메타콩즈는 국내에서 가장 성공한 NFT 프로젝트로 평가받았지만 최근 경영 이슈와 경영진 간의 폭로전이 이어지면서 이미지 추락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메타콩즈는 국내 대표 프로필픽쳐스(PFP) NFT 프로젝트 중 하나다.
‘천재해커’로 이름을 알린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가 최고기술경영자(CTO)로 참여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해 12월 민팅(NFT 최초 발행) 후 오픈씨에서 2차 거래되며 클레이튼 계열 1위로 올라섰다. 민팅가격이 20만원대에 불과했던 메타콩즈는 올해 수천만원을 호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홀더(NFT 보유자)들이 프로젝트 운영 부진과 해킹 등의 문제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해 이강민 최고경영자(CEO)와 황현기 최고운영책임자(COO)이 프로젝트 운영에서 빠지고, 이두희 CTO의 원톱 체제 전환을 요구했다.
홀더들의 빗발치는 불만에 황현기 COO는 지난 23일 트위터를 통해 입장문을 냈지만 황 COO가 올린 내용은 이두희 CTO의 비리 폭로와 다름없었다. 이에 황 COO와 이 CTO의 내부 총질이 시작되며 진흙탕 싸움으로 번진 것이다.
폭로전의 주된 내용은 프로젝트 운영금 명목으로 ‘돈 잔치’를 3분 거래 벌였다는 것이다. 이 CTO를 포함한 운영진들이 프로젝트 자금으로 수샂억원대의 고가의 외제 자동차를 법인 차량으로 구입해 사적 용도로 사용했으며, 또 이 CTO가 이더리움 체인 이동을 먼저 제안했고 여기에 기존 체인인 클레이튼 운영사 그라운드X와의 모종의 금전 거래도 있었을 것이란 암시를 담기도 했다.
수 차례의 폭로전 이후 이강민 CEO와 황현기 COO는 사임 의사를 밝혔고 이 CTO가 대표로 있는 ‘멋쟁이사자처럼’이 메타콩즈를 인수하면서 폭로전은 마무리됐다. 멋쟁이사자처럼은 인수인계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메타콩즈 재정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국내 NFT를 대표했던 만큼 최근 이어진 폭로전이 NFT 시장 전반에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 이두희 대표가 전적으로 메타콩즈를 이끈다고 해도 바닥에 떨어진 프로젝트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선 상당한 노력이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봤다.
NFT 업계 관계자는 “이번 폭로전으로 알려진 비리들이 프로젝트 이미지를 심하게 훼손시켰다. NFT 프로젝트는 커뮤니티의 결속력이 중요한데, 메타콩즈 커뮤니티가 다시 이전처럼 운영진에 대한 강한 신뢰를 회복하려면 이두희 대표가 메타콩즈에 대한 리모델링을 하루빨리 진행해야 할 3분 거래 것 같다”고 말했다.
jskDr/keraspp
This commit does not belong to any branch on this repository, and may belong to a fork outside of the repository.
Latest commit
Git stats
Files
Failed to load latest commit information.
README.md
코딩셰프의 3분 딥러닝, 케라스맛
케라스 코드로 맛보는 딥러닝 핵심 개념!
간결하고 직관적인 인공신경망 API를 제공하는 케라스는 구글 텐서플로, 마이크로소프트 CNTK, 아마존 MXNET, OpenCL PlaidML, 시애노 등의 딥러닝 엔진에서 지원하는 인기 인공지능 툴입니다. 이 코드들은 딥러닝 인공신경망 구현에 케라스를 사용합니다. 케라스로 주요 인공신경망인 ANN, DNN, CNN, RNN, AE, GAN, UNET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신경망의 구현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이 코드의 사용자입니다.
-
, 인터파크도서,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북US 등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케라스를 이용해 딥러닝 인공신경망을 만들어 인공지능을 구현합니다. 1장은 케라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다룹니다. 2장부터는 최신 인공지능 구현 방법인 주요 인공신경망을 예제로 이용해 다룹니다. 2장~5장에서 다루는 ANN, DNN, CNN, RNN은 지도학습 방식의 인공지능입니다. 6장과 7장에서 다루는 AE와 GAN은 비지도학습 방식이고 8장의 UNET은 고급 지도학습 방법입니다. 9장은 8장까지 배운 내용을 응용하고 확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예제는 쉽게 인공지능 구현 방법을 익히고, 추후 실무에 쉽게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작성했습니다.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신경망의 개요를 알아봅니다. 그리고 인공신경망을 구현하는 케라스를 간단히 소개합니다.
케라스는 인공지능을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케라스를 설치하는 방법과 간단한 인공신경망을 구현하는 예제를 다룹니다.
2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ANN(인공신경망)
ANN(artificial neural network)은 두뇌의 신경망을 흉내 낸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ANN은 입력 계층, 은닉 계층, 출력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기술적인 한계로 은닉 계층을 한 개만 포함하여 주로 총 3개 계층으로 ANN을 구성했습니다. 이 장에서는 ANN 구성에 필요한 요소를 이해하고 예제를 살펴보며 ANN 구현 방법을 익힙니다.
3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DNN(심층신경망)
DNN(deep neural network)은 은닉 계층을 여러 개 쌓아서 만든 인공신경망입니다. 다수의 은닉 계층을 이용하는 DNN은 ANN에 비해 더 우수한 성능을 내며 적용 분야도 다양합니다. 이 장에서는 DNN의 구성에 필요한 요소를 이해하고 케라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4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CNN(합성곱신경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영상 처리에 많이 활용되는 합성곱(convolution)을 이용하는 신경망 기술입니다. 합성곱에 사용되는 필터들은 학습을 통해 이미지 내의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해냅니다. CNN은 이런 과정을 통해 기존에 수작업으로 찾던 특징점을 스스로 찾게 됩니다. 이 장에서는 CNN의 원리를 이해하고 케라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5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RNN(순환신경망)
RNN(recurrent neural 3분 거래 network)은 계층의 출력이 순환하는 인공신경망입니다. 재귀를 이용해 자기 계층의 출력 정보를 입력 신호로 다시 사용해 신경망의 성능을 높입니다. 특히 문자열, 음성 등 시계열 정보의 예측에 많이 활용됩니다. 이 장에서는 RNN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예제를 구현해봅니다.
6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AE(오토인코더)
AE(autoencoder)는 비지도학습 인공신경망입니다. 비지도학습은 레이블 정보가 없는 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거나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지도학습의 대표적인 방식인 AE의 목적은 입력 데이터의 특징점을 효율적으로 찾는 겁니다. 이 장에서는 AE의 원리를 이해하고 케라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7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GAN(생성적 적대 신경망)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은 경쟁을 통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생성적 인공신경망입니다. GAN 내부의 두 인공신경망이 상호 경쟁하면서 학습을 진행합니다. 두 신경망 중의 하나는 생성망이고 다른 하나는 판별망입니다. 이 장에서는 GAN의 개념을 소개하고 케라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8장. 케라스로 구현하는 UNET(유넷)
UNET(U-shaped network)은 저차원과 고차원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이미지의 경계를 비롯한 특징을 추출하는 인공신경망입니다. 차원 정보만 이용해 고차원으로 복원해나가는 AE와 달리 고차원 특징점도 함께 이용해 디코딩을 진행해 이미지의 특징 추출에 용이합니다. 이 장에서는 UNET의 개념을 이해하고 구현 방법을 익힙니다.
케라스를 이용하여 실제 문제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때 생기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고급 기능을 다룹니다. 종종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학습 데이터 수를 늘려주거나 기존에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재활용해야 합니다. 이 장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실전 활용을 위해 필요한 이미지 늘리기와 기존 망 재사용하기 방법을 익힙니다.
[2] NVIDIA KOREA, 「인공지능(AI)은 어떻게 발달해왔는가」, 인공지능의 역사, 2016. 3. 13, http://blogs.nvidia.co.kr/2016/03/13/history_of_ai/ (2017. 12. 4)
[4] 삼성전자, “[핫테크 3분 클래스] 딥러닝 편”, YouTube, 2016. 10. 16, https://www.youtube.com/watch?v=3jCaGDIY6VM (2017. 12. 4)
[5] Vertex.ai, “PlaidML 소개: 모든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딥러닝 (Announcing PlaidML: Open Source Deep Learning for Every Platform)”, 2017. 10. 20, http://vertex.ai/blog/announcing-plaidml (2017. 12. 4)
[8] Keras Documentation, “Keras: The Python Deep Learning library “, https://keras.io/ (2017. 12. 4)
[9] DWFOX, “Python Windows 개발 환경 구성 - anaconda python 설치”, http://dwfox.tistory.com/67 (2017. 12. 12)
[1] Schmidhuber, J. (2015). "Deep Learning in Neural Networks: An Overview". Neural Networks. 61: 85–117. arXiv:1404.7828 . doi:10.1016/j.neunet.2014.09.003. PMID 25462637.
[1] LeCun, Yann; Bengio, Yoshua; Hinton, Geoffrey (2015). "Deep learning". Nature. 521 (7553): 436–444. Bibcode:2015Natur.521..436L. doi:10.1038/nature14539. PMID 26017442.
[1] LeCun, Yann. "LeNet-5,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trieved 16 November 2013.
[2] Github.io, “CS231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3분 거래 for Visual Recognition”, http://cs231n.github.io (2017. 12. 2)
[1] Deeplearning4j (DL4J), 초보자를 위한 RNNs과 LSTM 가이드, https://deeplearning4j.org/kr/lstm
[1] The Keras Blog, Building Autoencoders in Keras, 2016. 5. 14, https://blog.keras.io/building-autoencoders-in-keras.html (2017. 12. 4)
[2] 정병기, Image denoising with Autoencoder in Keras, 2017. 3. 3, https://byeongkijeong.github.io/Keras-Autoencoder/ (2017. 12 4)
[3] 조대협,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비정상 거래 검출 모델의 구현 #1 - 신용카드 거래 데이터 분석, 2017. 9. 11, http://bcho.tistory.com/1197 (2017. 12. 4)
[1] Ian Goodfellow,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2014, https://arxiv.org/abs/1406.2661
[2] Ian Goodfellow,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t NIPS Workshop on Perturbation, Optimization, and Statistics, Montreal, 2014. (presentation)3분 거래
[1] Ronneberger, O., Fischer, P. & Brox, T.,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234–241 (Springer, 2015).
3분 거래
규제, 경기, 심리 등 여러 복합 요인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3만달러 밑으로 떨어진 가운데 시중 유통되는 비트코인의 3분의 1 이상이 3만달러 이상에서 구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3만달러 이상 가격에서 진입한 투자자들은 미실현 손실 상태이기 때문에 당분간 가격 추이를 지켜볼 것으로 보이지만, 가격이 가파르게 하락할 경우 마이너스 최소화 차원에서 대거 매도세에 동참할 수 있단 관측이다. 이들을 중심으로 패닉셀링(공포매도)이 가시화될 경우 가격이 작년 수준으로 빠르게 회귀할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된다.
가상자산 데이터업체 글래스노드가 이번주 발표한 주간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거래되고 있는 3분 거래 비트코인 중 33% 3만달러 이상 가격에서 투자된 물량으로 나타났다. 글래스노드는 “손실 상태인 보유자들을 중심으로 매도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가상자산 정보회사 인투더블록이 공개한 보유기간별 비트코인 주소비중 자료에 따르면 21일 현재 1개월 이상 1년 미만된 주소는 33%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올해가 시작되면서 3만달러를 넘었기 때문에 이중 대부분이 8개월 미만 물량으로 추정된다.
1년이상 주소 비중은 59%로 전체의 10분의 6 정도가 3만달러 미만 가격에서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아직 비트코인 가격이 2만9000달러대에서 움직이고 있어, 이중 대부분이 아직 수익 구간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가격이 하락할수록 매도 충동에 노출된 투자자들이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1개월 미만의 단기 보유 주소 비중은 8%로 한달 전(9.5%)보다 감소했다. 고점 대비 가격이 많이 내려온 상태이지만 추가 하락 가능성을 높게 보고 신규 진입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란 분석이다.
올 들어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는 기관들의 시장 진출이 동력으로 작용했는데, 최근엔 전문투자회사를 제외한 일반 기관들은 투자 3분 거래 결정에 미온적인 상태다. 가상자산에 전문투자하는 기관들도 투자 규모를 조정하는 모습이다. 미국 디지털자산 운용사인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보유물량은 21일 현재 역 65만개로 지난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대량보유자(고래)들도 가상자산 거래소에 비트코인을 보내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매도압력을 키우고 있다.
미 외환중개업체 오안다의 에드워드 모야 애널리스트는 지난 20일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당장은 극단적으로 위험한 자산”이라며 “월가가 패닉성 매도 기조에 돌입할 경우 엄청난 매도 압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이 3만달러 선 아래로 떨어지면서 모멘텀 매도는 2만8900달러 선을 3분 거래 쉽게 테스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선물 등 파생상품 거래가 확연히 감소한 것도 비트코인 가격의 정체 요인이 되고 있다. 더블록에 따르면 이날 기준 비트코인 선물거래 규모는 7980억달러로 아직 열흘 가량이 남았지만 지난달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파생상품 시장의 열기를 보여주는 미결제약정(선물·옵션 투자자가 계약거래후 반대매매하지 않는 물량) 역시 19일 기준 122억달러로 지난 5월 대비 반토막 났다. 파생거래가 줄고 현물거래 비중이 높아졌단 건 그만큼 시장에 거품이 줄고 건전한 환경이 조성됐단 걸 보여주지만, 그만큼 변동성도 줄어 가격 반등 역시 기대하기 어려워졌단 해석도 가능하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