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Part 1 주식 수익률 및 시황
1. 주가 가져오기
1-1 코스피 회사 주가
1-2 코스닥 회사 주가
1-3 핵심 요약
2. 평가액, 손익, 수익률 계산하기
2-1 종목코드와 주가
2-2 평균 구매가와 보유수
2-3 수익률
2-4 평가액 및 손익
2-5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서식 적용
2-6 핵심 요약
3. 종목 시황 가져오기
3-1 등락률
3-2 거래량
3-3 1년 주가 차트
3-4 기간별 수익률
3-5 핵심 요약
4. 종목 추가 정보 가져오기
4-1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추가 정보
4-2 핵심 요약
5. 계좌 수익률 계산하기
5-1 자산(평가액)
5-2 투자원금
5-3 투자손익과 수익률
5-4 투자 비율 차트
5-5 핵심 요약
6. 투자 노트 및 배당 수익률 계산하기
6-1 투자 노트
6-2 배당 수익률
6-3 투자원금
6-3 핵심 요약
Part 2 재무 정보 및 적정주가
7. 재무 정보 개요
7-1 손익계산서
7-2 재무상태표
7-3 현금흐름표
7-4 핵심 요약
8. 재무 정보 가져오기
8-1 재무 정보 웹사이트
8-2 웹크롤링 - IMPORTHTML
8-2 웹크롤링 - IMPORTXML
8-3 핵심 요약
9. 재무 정보 정리하기
9-1 재무 정보 웹크롤링
9-2 손익계산서
9-3 재무상태표
9-4 현금흐름표
9-5 재무지표
9-6 핵심 요약
10. PER로 적정주가 계산하기
10-1 계산식
10-2 적정주가 계산
10-3 핵심 요약
11. PBR로 적정주가 계산하기
11-1 계산식
11-2 적정주가 계산
11-3 핵심 요약
12. 배당으로 적정주가 계산하기
12-1 계산식
12-2 적정주가 계산
12-3 핵심 요약
13. S-RIM으로 적정주가 계산하기
13-1 계산식
13-2 적정주가 계산
13-3 핵심 요약
마무리
본 책에서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자동화된 주식 투자 노트를 작성하고 재무 정보 분석 및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감에 의존한 투자가 아니라 자신만의 투자 전략으로 조금씩 발전하는 투자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파트 1에서는 아래 항목으로 구성된 자동 계좌 관리 및 투자 노트 작성 방법을 설명한다.
파트 2에서는 주식 투자 시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하는(하지만 잘 확인 안 하는) 회사의 재무 정보를 자동으로 가져오는 방법과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복리 계산기 소프트웨어 무료 다운로드
Hi Guys! I'm just looking for 복리 계산기 소프트웨어 무료 다운로드 , does anybody have any idea where I can download it for free?
4 answers
Answer from Gator54
15 days ago, 361
You can download it here: 복리 계산기 소프트웨어 무료 다운로드 . To get a free trial you have to register. The process is quick and easy!
The link was confirmed.
Everything is great, thanks!
Answer from Gator54
15 days ago, 163
If you like my answer please click "Like"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Answer from MrCyclone
15 days ago, 145
Great, that's exactly what I've just searched.
Answer from CleverBOT
Robot 8 days ago, 85
Since there was no activity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in the topic for 7 days, the topic was closed. To continue the conversation, create a new question.
Does anyone know where to download civillisation 5 for free?
Minecraft Free and Full Version Download?
Where can I download F1 2010 for free?
Can I download music from Andrea Berg for free?
Where can I download Nero7 for free (full version)?
Where is the easiest way to download net music for free?
Ask Us
Analyze
Offers
Partnership
Company
Privacy Policy
Our mission is to allow millions of people to help each other. Anonymous & Fast!
DMCA Notice
This site respect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content creators, whether their work is affiliated with our site or not. If you have reason to suspect that you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ve been infringed in any way that connects to our site, we strongly advise that you contact our copyright agent with a complaint as soon as possible. We take all violations of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of 1998 extremely seriously. In order to ensure your complaint remains legitimate under the DCMA, please ensure your copyright complaint contains all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 A signature, electronic or physical, of an individual who has been authorized to represent you, the copyright holder
- Clear identification of the copyrighted item(s) in question,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the work(s) infringing on the copyright holder’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Contact information for you, the copyright holder, that we can use to contact you, including your full name, telephone number, physical address and e-mail address
- A written letter stating that you, the copyright holder, “in good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faith believes that the use of the material in the manner complained of is not authorized by the copyright owner, its agent or the law”
- A statement that the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is accurate», and «under penalty of perjury, the complaining party is authorized to act on behalf of the owner of an exclusive right that is allegedly infringed»
The statement of complaint that you provide us, containing all of the above information, should be sent to our Designated Copyright Agent by post, fax or email to one of the respective contact addresses below:
PLEASE REMEMBER THAT IF YOU CHOOSE TO MISREPRESENT ANY OF THE DETAILS REGARDING AN ALLEGED COPYRIGHT INFRINGEMENT, YOU WILL BE SUBJECT TO SERIOUS CIVIL PENALTIES UNDER FEDERAL LAW, INCLUDING ANY MONETARY DAMAGES, COURT COSTS AND LAWYERS FEES ACCRUED BY US, AND ANY COPYRIGHT HOLDERS OR COPYRIGHT HOLDER’S LICENSEES WHO ARE INJURED IN ANY CAPACITY FOLLOWING OUR RELIANCE ON THE VERACITY OF YOUR REPRESENTATION. YOU COULD ALSO BE CRIMINALLY PROSECUTED FOR ACTS OF PERJURY. Do not take anything outlined in this document as formal legal advice. For further information on the details required to lodge a formal DMCA notification, please refer to 17 U.S.C. 512(c)(3).
복리의 마법 -주식 수익률 계산
초, 중학교 때 수학이나, 경제를 배울 때 배운 개념 "복리와 단리" 그 당시에는 아 그런 게 있구나 하고 넘어갔습니다.
(그 당시 더 잘 배워 뒀어야 하는 건데. 이래서 어릴 때부터 경제 교육이 중요한가 봅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여러 전문가들이 복리, 복리를 외칩니다.
오늘은 복리에 대해 공부해보려 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붙는 이자이지만, 복리는 '원금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 입니다.
따라서 복리 계산이 이자가 훨씬 많이 붙게 됩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복리와 단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복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반해, 단리는 일정하게 증가합니다.
아무리 저축, 투자의 수익률이 높아도 기간이 짧으면 얻게 되는 수익이 적습니다.
시간이 곧 엄청난 무기 입니다. 이것이 바로 하루빨리 재테크(투자, 저축)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일반 직장인은 본업이 있기에 전업 투자자들처럼 하루 종일 종목 분석을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당장의 수익을 내야 한다는 압박도 없습니다.
외국인, 기관 투자자에 비해 우리의 강점은 바로 시간 입니다.
이런 복리의 마법을 누리기 위해서는 1. 하루빨리 시작하고 2. 길게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우리는 부자가 되기 위해 조급함을 갖습니다.
하루 빨리 부자가 되고 싶어 급등주에 관심 갖으며, 수익률이 높은 투자에 관심을 갖습니다.
하지만 평범한 우리가 비범한 재능, 엄청난 초기 자본이 있지 않는 한 빠른 시간 안에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이런 복리의 마법을 잘 안다면 마음이 편한 안전한 방법으로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의 중요성을 알고, 절약하는 습관을 갖으며 꾸준함, 성실함이 있으면 됩니다.
이런 복리의 마법을 주식 투자 수익률로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은 모두 수정 가능합니다.)
초기 자본금을 $1000 정도로 잡고 이자율을 10%
투자기간 20년 연복리, 꾸준히 넣을 금액은 매월 $300으로 설정해 보았습니다.
수익률은 약간 행복 회로를 돌려 보았습니다. 미국 S&P 500 연평균 수익률이 약 7% 내외라고 합니다.
(강세장도 있고 약세장도 있었겠죠 ) 일단 전 좋은 시장지수와 우량주를 투자했다는 가정을 하고.
수익률 10%로 계산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미래 자산 가치는 $222,205 정도가 됩니다. 그냥 계산하기 쉽게 $1가 1000원이라고 환산하면.
자그마치 2억이 넘는 돈이 됩니다.
미래 자산 가치 중 쌓인 이자(수익)는 $149,205에 다다릅니다.
초기 자본 $1000에 20년간 납입한 금액은 총 $73,000원인데
복리의 마법으로 총수익이 $222,205라는 어마 무시한 금액이 됩니다.
신기하지 않나요? 전 눈으로 봐도 믿을 수 없어 몇 번이나 표를 다시 확인했습니다.
이자가 얼마나 불어나는지 그래프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초록색이 내가 납입한 금액이고, 주황색이 이자입니다.
12년 차까지는 초록색과 주황색의 크기가 비슷비슷한 것으로 보이지만 13년 차가 넘어가는 순간
이자가 납입한 금액을 넘어서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조건으로 30년을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이자가 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투자 초기 자본이 없다고 생각하고, 매월 30만 원씩 수익률 10%일 때의 결과 값입니다.
기간이 늘어날수록 엄청난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
투자기간 | 투입금액 | 총금액 | 수익률 |
10년 | 36,00,000 | 63,112,203 | 75.3% |
20년 | 72,000,000 | 226,809,002 | 215% |
30년 | 108,000,000 | 651,396,340 | 503.1% |
저명한 투자자들이 장기투자를 권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돈이 돈을 벌어다 주는 구조를 잘 이해하며 실행해야 합니다.
복리를 공부하며 저는 장기투자자의 마인드 셋을 하며 오늘도 열심히 모으고 불려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여러분도 여러분 상황에 맞게 행복 회로를 돌려보시기를 바랍니다.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Compound Interest Calculator - The Calculator Site
Find out how much compound interest you could earn on your savings, and discover how your money could grow over time
[손안의 금융비서③-3]알아두면 편한 증권 앱, 뭐가 있을까?
MTS와 HTS 화면에 나오는 매매시 예상수익과 예상수익률은 사실 세금과 수수료를 반영한 결과가 아니다. 따라서 이것만으로는 자신이 거래를 했을 때 돈을 벌지, 잃을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이런 투자자들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앱이 있다.
CG maniax의 '주식수익률 계산기'와 LONGKEE.COM의 '수익률 계산기'가 그것이다. 증권사마다 다른 매매시 거래 수수료와 세금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자동으로 실질 수익률과 수익금액을 계산해 준다. 아쉽게도 둘다 유료 앱만 있다. 가격은 1.99달러.
◆모든 증권사 보고서는 내게 물어봐! : 분석보고서 통합 조회 앱
대부분의 증권사 MTS는 자사 리서치센터의 분석보고서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특정 종목이나 증시에 대한 여러 증권사의 의견을 한꺼번에 보고 비교하고 싶을 때가 많다.
개별 종목과 산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한눈에 보고 참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이 있다. 증권정보 제공업체인 와이즈에프앤의 '와이즈리포트', 그리고 fn가이드의 'FnResearch'가 그것이다.
두 앱은 보고서들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해 놓았다. 투자의견(상향·하향), 기업, 산업 등으로 나눠져 있어 목적별로 리포트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조회수 높은 순으로 정렬해 보는 것도 가능하다.
보고서 외에 상장기업들의 깊숙한 재무정보까지 보여주기도 한다(와이즈리포트). 관심종목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보고서가 올라올 때마다 알려준다.
둘 다 무료앱이다. 하지만 둘 다 다운로드는 무료지만 정보를 읽으려면 유료 회원으로 가입해야 해 진입장벽이 있다. 다만 와이즈리포트는 무료회원 가입 당일을 포함해 3일간 무료로 볼 수 있어 '맛보기'가 가능하다.
◆주식투자도 연습하자! : 모의투자 앱
주식투자가 처음이라 겁난다고? 모의투자를 통해 주식시장과 친분을 터보는 것도 좋겠다.
실제 MTS와 같은 환경에서 자신의 투자실력을 검증하고 싶다면 모의투자 앱을 이용해보자. 미래에셋증권의 '모의투자 엠-스톡(M-Stock)'이 있다. 미래에셋증권 계좌가 없더라도, 홈페이지 가입만 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미래에셋증권 HTS인 F1과 모의투자를 연동할 수도 있다.
◆내 손안의 증권포털…증권포털 앱
국내 최대 증권 포털사이트인 '팍스넷'을 모바일 환경에 맞게 압축한 앱이 있으니, 바로 '유팍스증권'이다. 이 앱은 관심종목을 클릭하면 팍스넷 토론방으로 이동한다. 토론방에서 다른 투자자들과 활발히 의견을 나눌 수 있다.
사전에 미리 설정해 놓으면 관심종목의 시세, 보유종목의 수익률도 알 수 있다. 여러 매체들의 자본시장 관련 뉴스도 무료로 볼 수 있다.
◆전자공시도 스마트하게! : 금감원 전자공시 앱
투자자들이 꼭 찾아봐야하는 필수 정보루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다. 상장사들의 중요한 경영상 정보는 반드시 공시로 알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금융감독원 모바일 전자공시(mDart)를 개발해 서비스하고 있다.
모바일 전자공시에서도 모든 공시정보를 다 조회할 수 있다. 정기공시, 주요사항보고, 발행공시 등 유형별로도 조회가 가능하다. 회사명, 검색기간, 공시유형, 보고서유형, 제출인명 등 세부조건에 따른 상세검색 기능도 있다.
[주식기초]주가수익률 Price to Earnings Ratio – PER
주식투자에 있어 현재 주가의 가치를 책정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중의 하나가 주가수익률[PER / price-to-earnings ratio]입니다.
주가수익률[PER]은 주당수익[EPS] 대비 현재주가를 대입하여 기업의 가치가 어느정도 수준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수치입니다.
Key Points
1. 주가수익률[PER]은 기업의 주당수익[EPS]대비 현재의 주가를 비교한 수치이다.
2. PER이 높다면 이는 해당 기업이 고평가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의미로는 투자자들이 해당기업의 향후 성장가능성을 높게 기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순수익이 없는 기업은 주가수익을 계산할 수 없다.
4. PER은 후행 주가수익률[Trailing PER]과 선행[Forward PER]로 나뉜다.
5. PER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가치를 분석할수 있고 다른 기업과는 PEG로 함께 비교한다.
주가수익률[P/E Ratio] 공식과 기본
PER은 투자자가 해당 기업이 만들어내는 수익에 맞게 주가가 책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써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수익률 P/E Ratio = 현재 주가[Market value per share] / 주당수익[Earnings per share]
간단하게 현재주가를 기업 어닝실적 보고에 나오는 EPS로 나누면 그것이 PER입니다. 다만 어닝보고는 분기별로 나오기 때문에 1년치 어닝을 계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1분기 아마존의 어닝[EPS]가 $5.01로 발표가 되었는데 현재 [5/6일기준] 주가가 $2,335이면 PER은 466배가 되는것이 아니라 1년치인 12개월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후행 EPS를 보기때문에 EPS[12개월 후행 주당순이익 / TTM]는 20.94로 바뀝니다.
그럼 아마존의 순이익대비 현재 주가는 111.59배의 가치를 보이고 있는것입니다.
주가수익률[PER] 이해하기
문제는 PER만 보고서는 대체 현재 이 기업의 가치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기준을 찾을수가 없다는것입니다.
어떤 기업은 PER이 20배가 되면 고평가 기준으로 볼수도 있고 아마존과 같이 매해 매출이 급격하게 늘고 성장이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이루어지는 기업들은 투자자에 따라 100배도 싸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보는 방법은 해당 기업이 어떤 수준의 주가수익률을 기록했는지 평균을 보는 것이 한 방법입니다. PER도 10년기준과 30년기준으로 볼수도 있는데 장기적인 PER을 보고 현재 PER을 확인함으로써 현재의 PER이 역사적인 평균과 비교하여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 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S&P500도 역사적으로 그리고 비지니스 사이클적으로 PER이 저평가 된 적도 고평가 된 적도 있었는데 1949년의 경우 PER이 6배인적도 있었고 2009년은 120배가 된 적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S&P500의 현재 밸류에이션을 평가할때 10년 평균, 15년 평균과 비교하여 PER을 보는것입니다. 참고로 롱텀기준으로 S&P500의 PER은 15배정도가 평균치입니다. [현재 20배]
선행 주가수익률[Forward P/E Ratio]
PER은 선행[Forward PER]과 후행[Trailing PER]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선행 주가수익률[Forward P/E Ratio]는 지금까지 보고된 실제 어닝을 토대로 주가수익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 해당 기업의 예상 수익으로 현재 주가의 밸류에이션을 책정하는 방법 입니다.
주가가 이전의 어닝이나 실적보다는 미래의 가치에 더 많은 점수를 준다는 점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주가수익률입니다. 또한 현재의 주가수익률[Trailing PER]과 미래의 주가수익률[Forward PER]을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주가가 고평가가 되었는지 혹은 저평가가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예상수익을 근거로 하기때문에 기업의 가이던스가 틀리거나 예상치 못한 이벤트 혹은 매출상승/감소가 있을경우 PER을 구하는 기본값 자체가 완전히 무너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후행 주가수익률[Trailing P/E Ratio]
선행 주가수익률[Forward P/E Ratio]와는 반대로 후행 주가수익률[Trailing P/E Ratio]은 이미 확인된 12개월동안의 어닝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현재의 수익을 근거로한 가장 정확한 주가수익 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선행 주가수익률이 좀 더 공격적인 투자자가 예상어닝의 위험을 감수하고 보는 주가 밸류에이션이라면 후행 주가수익률은 보수적인 투자자들이 이미 나온 어닝을 보고 팩트만을 보는 밸류에이션 측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난 어닝이 미래의 어닝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두가지를 함께 보는것이 중요합니다.
주가수익률 보고 밸류에이션 분석하기
평균기록과 비교
위의 예시대로 PER자체로는 현재의 주가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알기가 쉽지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이 어떤 수준의 가치를 지금까지 보여왔는지 장기적인 수준의 PER, 즉 5년 평균, 10년평균, 15년평균을 확인하여 현재의 가치와 대조하여 밸류에이션을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측정합니다.
선행 PER와 후행 PER을 비교
후행PER은 지난 1년까지의 수익을 토대로 주가을 계산하고 선행PER은 기업이 예상하는 수익을 토대로 주가를 계산하기 때문에 이 둘을 비교하면 현재의 가치가 어느정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행PER이 후행PER보다 낮다면 이는 두가지를 의미하는데 하나는 시장이 향후 기업의 수익이 더 늘어날것을 기대한다는 것이 되기도 하고 현재 주가가 미래가치보다는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선행PER이 후행PER보다 높다면 시장이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것을 기대한다는 의미가 되기도 하고 현재 주가가 상대적으로 고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아마존의 선행PER와 후행PER 비교
같은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섹터의 경쟁자들과 비교
부동산에서 집의 가치를 평가할때 같은 동네의 같은 스펙을 지닌 집의 최근 매매가를 확인하여 비교합니다.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섹터의 비슷한 수준의 경쟁기업과의 PER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기업이 동섹터에서 경쟁자들과 비교하여 어느정도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는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기업이 독보적인 수준의 성장을 보일경우에는 조금 다른 얘기일 수 있습니다.
PER과 PEG 비교분석
일반적으로 PER이 높으면 그 기업의 가치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미가 되기도 하고 시장이 보는 수익이 높아질것으로 기대한다는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같은 섹터의 경쟁기업을 비교할때 PER을 보고 높은 기업은 고평가, 낮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PER의 비교는 시장이 판단하는 기업들의 성장가능성이 모두 다르다는데에 허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되는 분석방법으로 주가이익증가율[Price Earnings to Growth ratio]와 비교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PEG는 주가수익률[PER]에 어닝성장률[EPS Growth]을 나눠서 해당 기업의 주가이익증가율을 계산하는 수치입니다.
주가이익증가율[PEG] = 주가수익률[PER] / 어닝성장률[EPS Growth]
주가수익률이 단순히 순이익과 현재의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주가를 비교해 만든 수치라면 PEG는 기업의 어닝성장률을 함께 분석하여 미래 성장가능성도 수치화하는 분석방법 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당이익 증가율이 10%이고 예상 PER이 10배라면 해당 기업의 주가이익증가율[PEG]는 1이 됩니다. 하지만 증가율이 두배인 20%로 뛰어버리면 PEG는 0.5로 줄어듭니다. 따라서 PEG는 낮을수록 더 저평가되어 있는것으로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두 기업이 있는데 A라는 기업은 PER이 20배이고 B라는 기업은 18배입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B가 상대적으로 A보다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이익증가율[PEG]을 함께 보면 다를 수 있습니다.
분석수치 | A 기업 | B 기업 |
주가수익률[PER] | 20x | 18x |
주가이익증가율[PEG] | 0.5 | 1 |
단순히 PER만 보면 A라는 기업이 B보다 더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이익증가율을 보면 A라는 기업은 B라는 기업보다 두배나 되는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A라는 기업의 PER이 주식 수익률 계산하는 법 사실상 B라는 기업보다 이익증가율로 봤을때 훨씬 저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다른의미로는 향후 A라는 기업의 PER이 더 높게 형성이 될수 있다는 것을 시장이 기대한다는 의미[주가상승]가 되기도 하는것입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