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과 초보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헷지의 어원은 이런 방어책, (구분용)벽이라는 뜻입니다.

【한글자막】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커맨드 라인 고급 사용자로 거듭나기! 이 코스에서 배우는 커맨드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모든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전략을 사용하고, 컴퓨터를 다루는 데에 있어 여러분의 파워를 키울 수 있습니다!

Чему вы научитесь

Требования

Описание

리눅스 커맨드 라인 부트캠프!

수십 개의 커맨드를 배우고 마스터하기!

대화식 코스 : 연습프로젝트 포함!

리눅스 Command Line 부트캠프: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강의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커맨드 라인 고급 사용자로 거듭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새로운 코스, 리눅스 커맨드 라인 부트캠프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코스를 통해 수십 개의 강력한 커맨드(하단의 긴 목록 참조)를 배우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새로운 커맨드를 계속 배우고 컴퓨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코스에서 배우는 기술을 통해 여러분은 더 강력한 웹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기계 학습 엔지니어, 게임 개발자 옵션과 초보자 또는 평범한 컴퓨터 사용자가 될 수 있습니다!

기본 커맨드에 대한 경험이 있든 완전히 초심자이든 이 코스는 기술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커맨드 라인 학습은 웹 개발, 데이터 과학, 기계 학습 또는 기타 기술 분야 간의 일반적인 구분을 초월하는 드문 기술 중 하나입니다.

매일 컴퓨터로 작업하는 경우 커맨드 라인을 마스터하면 도움이 됩니다. 이 코스에서 배우는 커맨드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모든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전략을 사용하고, 컴퓨터를 다루는 데에 있어 여러분의 파워를 키울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코스를 통해 실제 세계와 직장에서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는 모든 커맨드를 정복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더욱 강력해진 여러분의 능력을 느끼세요!

리눅스 Command Line 부트캠프 커리큘럼 간단히 보기

이 코스는 다루는 내용이 많습니다. 다음은 핵심 사항에 대한 간략한 요약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을 보려면 아래로 스크롤하세요.

수십 개의 강력한 커맨드 학습 (아래의 긴 목록 참조)

큰 그림 이해하기: 모든 커맨드가 어떻게 함께 들어맞는지 이해하기

여러 커맨드를 함께 연결하여 복잡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커맨드 라인 탐색 및 리눅스 폴더 구조 마스터하기

파일 및 폴더 생성, 삭제, 이동, 복사이름 바꾸기

유닉스 파일 퍼미션 해독 및 조작

Find, locategrep과 같은 강력한 검색 커맨드 사용하기

표준 입력, 표준 출력 및 표준 오류의 리디렉션 마스터하기

사용자 정의 커맨드를 처음부터 작성하기!

쉘을 사용자 지정하기: 유용한 에일리어스를 작성하고 프롬프트를 조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배쉬 확장대체

croncronjobs를 사용하여 지루한 작업을 자동화하기

nano를 사용하여 커맨드 라인에 직접 파일 편집하기

커맨드 라인의 효율성을 높이는 키보드 단축키 마스터하기

리눅스 Command Line 부트캠프 강사 Colt Steele 의 한마디!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Colt Steele입니다. 저는 수년간 대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트캠프를 이끌었으며 수천 명의 학생들이 직업을 바꾸도록 도왔습니다. 온라인에서는 백만 명이 넘는 학생들을 가르쳤고 수십만 개의 별 5개 등급과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코스는 여러분이 배우는 기술을 연습하도록 독려하는 연습재미있는 도전으로 가득 찬 대화식 코스입니다. 여러분은 제 부트캠프 학생들이 경험하는 것과 동일한 과제 및 프로젝트를 접하게 될 것입니다. 커맨드를 계속해서 배우는 것은 끔찍할 정도로 지루한 경험일 수 있지만 이 코스를 가능한 한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 제 농담이 마음에 안 들지 모르겠지만 여러분은 결코 지루하지 않을 거에요!

P.S. 강의를 들으시고 강의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은 무엇이든 Q&A에 남기실 수 있지만, 꼭 영어로 남겨주세요. 그래야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이 코스는 터미널, 쉘, 커널, 유닉스, Unix-Like, GNU, 리눅스 배쉬와 같은 혼란스러운 기술 용어에 대한 심층 분석으로 시작합니다. 컨텍스트와 커맨드 라인 주변의 WHY, 그리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그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 일반적인 패턴과 옵션과 인수를 포함하여 모든 커맨드가 따르는 구조로 초점을 옮깁니다. 우리가 정의한 이 청사진은 나머지 코스에서 다루는 다른 모든 주제에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man, help, which type 커맨드를 사용하여 특정 커맨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리눅스 폴더 구조를 다루고 ls, pwd cd를 포함하여 컴퓨터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 필수 커맨드를 배웁니다. 여러분은 곧 전문 내비게이터가 될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touch, mkdir file 커맨드를 사용하여 커맨드 라인에서 바로 새 파일과 폴더를 만드는 방법을 배웁니다.

다음으로 Nano라는 커맨드 라인에 바로 내장된 특수 텍스트 편집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Nano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 편집하는 방법, 다양한 Nano 단축키를 익히고, Nano의 전역 설정을 구성하는 방법까지 배우게 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강력한 커맨드 rm, mv cp를 다룹니다. 개별 파일과 전체 디렉토리를 제거하고, 파일을 이동하고 이름을 바꾸고, 커맨드 라인에서 바로 파일과 폴더를 복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것들은 여러분이 알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커맨드들 중 일부입니다!

그런 다음 히스토리 커맨드 및 히스토리 확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터미널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키보드 단축키에 집중하기 위해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less, cat, tac, rev, head, tail, wc sort를 포함하여 파일 내용 조작과 관련된 수많은 커맨드를 다룹니다. 그런 다음 표준 입력, 표준 출력 표준 오류의 세 가지 표준 스트림을 다룹니다. 세 가지 스트림을 모두 리디렉션하고 데이터를 완전히 제어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다음으로 제 가장 좋아하는 주제인 파이핑으로 이동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여러 개별 커맨드를 함께 연결하여 복잡하고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또한 tr 커맨드와 tee 커맨드에 대해서도 배우게 됩니다. 거기에서 우리는 확장 대체를 사용하여 쉘의 언어를 "말하는" 법을 배웁니다. 와일드카드 문자, 물결표 확장 강력한 중괄호 확장을 사용하는 경로 이름 확장의 모든 기능을 배웁니다. 그리고 산술 확장, 커맨드 대체,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도 다룹니다.

다음으로 우리는 시스템에서 파일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커맨드인 locate find에 대해 배웁니다. 우리는 find 커맨드와 많은 멋진 옵션 및 사용 사례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이름, 크기, 타임스탬프 등으로 파일을 찾는 방법을 배웁니다. 또한 find의 exec 옵션과 xargs 커맨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bulk-edit 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그런 다음 초점을 grep 커맨드로 이동합니다. grep을 사용하여 파일 내용을 재귀적으로 검색하고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복잡한 파일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배웁니다.

다음으로 파일 퍼미션에 대한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데 시간을 할애합니다. 파일 속성을 읽고 읽기, 쓰기 및 실행 퍼미션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chmod, chown, sudo su를 포함한 커맨드를 사용하여 퍼미션을 변경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쉘 환경을 사용자 지정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사용자 지정 에일리어스를 작성하고, 쉘 변수를 사용하고, 멋진 프롬프트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그런 다음 처음부터 우리 고유의 복잡한 커맨드를 만드는 방법과 배쉬 스크립팅의 기초를 배웁니다! 끝으로 여러분은 자신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하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신비한 cron 데몬에 대해 알아봅니다. 여러분은 마지막으로 자동화되고 예약된 cronjob을 설정하는 재밌는 cron 구문을 배우게 됩니다

** 리눅스 Command Line 부트캠프 :커맨드 목록 **

옵션과 초보자

초보자들을 위한 옵션 기본입니다.

▶ 순수포지션
순수포지션(naked position)이란 기초자산인 하나의 주식을 매입 또는 공매하거나 콜옵션 1단위를 발행 혹은 매입하는 경우처럼 한가지 상품에 대해서만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의 기초증권이나 옵션을 보유 혹은 발행하는 경우는 가격변동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커버되지 않은 포지션(uncovered position)이라고도 합니다.

-순수 주식포지션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는 미래에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여 주식을 매입 보유하는
전략과 미래에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여 주식을 공매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순수 콜포지션
콜옵션을 보유한 투자자는 기초자산인 주식의 가격을 행사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만 옵션을 행사하며, 시장에서의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라면 옵션을 행사하지 않게 되므로 옵션의 가치는 0이 되는데 옵션을 처음 취득할 때 지불했던 옵션가격(프리미엄)만큼 손실을 입게 됩니다. 옵션만기일에 옵션의 행사여부는 시장가격과 행사가격을 비교함으로써만 결정되어야 하며 이미 지불된 옵션프리미엄은 고려대상이 아닙니다. 옵션프리미엄은 지불이 완료되어 옵션의 행사여부에 관계없이 회복할 수 없는 매몰비용(sunk cost)이기
때문입니다.

-순수 풋포지션
주식에 대한 풋옵션을 매입한 옵션 보유자는 만기일에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로 하락하면 풋옵션을 행사하여 '행사가격 - 만기일의 주가'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게 됩니다. 반대로 만기일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인 경우는 옵션을 행사하지 않게 되므로 옵션 자체의 가치는 0이 됩니다.

▶ 헤지포지션
헤지포지션(hedge position)이란 주식과 옵션을 결합하여 어느 한편의 손실을 보전하려는 투자전략을 의미합니다. 즉 주식보유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불리한 가격변동 위험을 옵션거래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줄이거나. 반대로 옵션포지션에서의 불리한 가격변동위험을 주식을 결합하여 줄이려는 전략을 말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헤지표시션은 보유한 주식에 대해 콜옵션을 발행하거나 풋옵션을 매입하여 주식보유에 따른 손실을 줄이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주식을 공매하고 콜옵션을 매입하거나 풋옵션을 발행함으로써 역헤지포지션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방어된 콜
현물로 주식을 보유하고 콜옵션을 발행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헤지포트폴리오 또는 방어된 콜전략
(covered call strategy)이라 부릅니다. 이 전략은 주식을 보유하는 기간 동안 주가의 움직임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될 때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보호적 풋
주식을 보유하고 풋옵션을 매입하는 전략을 보호적 풋전략(protective put strategy)이라 합니다. 방어된 콜전략의 경우와는 달리 이 경우는 손실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물론 주가가 상승할 것이 확실하다면 주식의 현물 또는 콜옵션을 보유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겠으나, 예상이 빗나가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에도 매입한 풋옵션을 통해 손실을 줄이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전략입니다.

▶ 스프레드
스프레드(spread)는 특정 기초자산에 대하여 발행된 옵션을 매입하는 동시에 만기일이나 행사가격이 다른 옵션을 동일 수량만큼 매도하는 전략을 말하는데 동일한 기초자산에 대한 콜옵션, 풋옵션 중에서 가격과 만기가 다른 옵션을 결합하는 포시젼을 말하는 것입니다.
동일한 옵션이 만기나 행사가격에 따라 다른 가격으로 거래될 때 그 가격차이를 스프레드라고 부릅니다.

-수직스프레드
수직스프레드는 가격스프레드(price spread)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만기일이 동일하며, 행사가격만 다른 옵션을 하나는 매입하고 또 하나는 발행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수직강세 스프레드는 행사가격이 높은 콜옵션을 발행하고 행사가격이 낮은 콜옵션을 매입하는 전략을 말하며, 수직약세 스프레드는 행사가격이 높은 콜옵션을 매입하고 행사가격이 낮은 콜옵션을 발행하는 전략을 말합니다.수직강세 스프레드 전략은 시장이 앞으로 강세시장으로 예측되는 경우, 즉 주가가 어느 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유리한 전략이고, 수직약세 스프레드는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이익을 일정하게 확보하는 전략이다. 콜옵션의 매입으로 가격 하락시에 생길 수 있는 손실을 콜옵션을 발행하여 보전하는 전략입니다.

-수평스프레드
수평스프레드(horizontal spread)는 동일한 옵션에 대해 행사가격은 같고 만기만 다른 옵션에 대해서 만기가 짧은 옵션은 매도하고 상대적으로 만기가 긴 옵션을 매입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대각스프레드
대각스프레드(diagonal spread)는 수직스프레드와 수평스프레드를 결합한 것으로 동일한 기초자산에 대한 옵션에 대해 옵션과 초보자 옵션과 초보자 행사가격과 만기가 모두 다른 옵션을 결합하는 전략입니다.

-나비스프레드
나비스프레드(butterfly spread)는 만기는 동일하며, 행사가격만 다른 3개의 콜옵션 또는 3개의 풋옵션을 사용한 전략입니다.
행사가격이 다른 3개의 콜옵션에 대해 행사가격이 중간이 콜옵션을 2단위 발행하고, 행사가격이 가장 높은 콜옵션과, 가장 낮은 콜옵션을 매입하는 전략을 나비스프레드라 합니다.

-기타의 스프레드 전략
(1) 레이쇼 스프레드(ratio spread)
레이쇼 스프레드는 동일한 옵션 중에서 행사가격이 다른 두 개의 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투자전략.

(2) 레이쇼 백스프레드(ration backspread)
레이쇼 백스프레드 전략은 레이쇼 스프레드 포지션과 반대의 포지선을 보유하는 전략.

(3) 콘도르(condor)
콘도르는 행사가격이 다른 네 개의 옵션을 이용하는 투자전략.

▶ 컴비네이션
컴비네이션(combination)은 동일한 기초자산에 대하여 발행된 서로 다른 형태의 옵션인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발행 또는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트래들(straddle)
동일한 기초자산에 대하여 발행된 만기일과 행사가격이 같은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매입하거나 발행하는 전략을 스트래들(straddle)이라 합니다.

-스트립과 스트랩(Strip and Strap)
스트립(strip)은 만기일과 행사가격이 동일한 풋옵션 2단위와 콜옵션 1단위를 결합한 포지션을 말하며, 스트랩(strap)은 스트립과는 반대로 콜옵션 2단위와 풋옵션 1단위로 구성한 포지션을 말합니다.

-스트랭글(Strangle)
스트랭글(strangle)은 만기일은 동일하나 행사가격이 다른 콜옵션과 풋옵션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포지션을 말하는데, 스트랭글의 매입(long strangle)하는 포지션은 행사가격이 낮은 풋옵션을 매입하고 동시에 행사가격이 높은 콜옵션을 매입하는 전략입니다.

옵션전략은 지수의 방향과 함께 지수의 변동성에 대한 예상에 근거하여 전략을 구성합니다.

▶ long call : 콜옵션매수
콜매수는 지수의 상승과 변동성의 확대가 예상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행사가격의 선택은 예상되는 지수의 상승폭에 따라 달라집니다.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레버리지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외가격 옵션을, 상승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되면 외가격보다는 등가격에 가까운 옵션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잔존만기가 짧다면 시간가치의 감소가 클 수 있으므로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되지 않는 한 외가격 옵션의 매수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long put : 풋옵션매수
풋매수는 지수의 하락과 변동성의 확대가 예상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행사가격의 선택은 예상되는 지수의 하락폭에 따라 달라집니다.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레버리지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외가격 옵션을, 하락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되면 외가격보다는 등가격에 가까운 옵션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잔존만기가 짧다면 시간가치의 감소가 클 수 있으므로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되지 않는 한 외가격 옵션의 매수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short call : 콜옵션매도
콜매도는 지수의 하락과 변동성의 축소가 예상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된다면 풋매수 전략이 더 유효합니다. 매도포지션이므로 증거금 수준이 옵션프리미엄보다 훨씬 크게 잡힙니다. 시장이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마진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콜옵션매수를 통하여 헷지할 수도 있고 적절한 손절매 수준을 미리 정해 손실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short put : 풋옵션매도
풋매도는 지수의 상승과 변동성의 축소가 예상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된다면 콜매수 전략이 더 유효합니다. 매도포지션이므로 증거금 수준이 옵션프리미엄보다 훨씬 크게 잡힙니다. 시장이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마진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풋옵션매수를 통하여 헷지할 수도 있고 적절한 손절매 수준을 미리 정해 손실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2) Volatility spread

▶ Back spread :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될 때 취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①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콜백스프레드
콜백스프레드 전략은 상대적으로 낮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고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수하는데 델타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매수수량을 매도수량보다 많게 가져갑니다. 이 전략에서 방향에 대한 예상은 크게 중요하지 않으나 지수가 상승하는 경우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이익을, 지수가 하락하는 경우 제한된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변동성이 축소되는 경우, 즉 높은 행사가격 부근에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2계약 매수

②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풋백스프레드
풋백스프레드 전략은 상대적으로 높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도하고 낮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수하는데 델타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매수수량을 매도수량보다 많게 가져갑니다. 지수가 하락하는 경우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으나 지수가 상승하는 경우 제한된 이익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변동성이 축소되는 경우, 즉 낮은 행사가격 부근에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2계약 매수

▶ Ratio (vertical) spread : 변동성의 축소가 예상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①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콜비율스프레드
콜비율스프레드 전략은 상대적으로 낮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수하고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는데 델타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매도수량을 매수수량보다 많게 가져갑니다. 콜비율스프레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행사가격 부근에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우 이익이 최대가 됩니다. 지수가 크게 상승하는 경우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지수가 크게 하락하는 경우 제한된 손실을 보게 됩니다.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2계약 매도

②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풋비율스프레드
풋비율스프레드 전략은 상대적으로 높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수하고 낮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도하는데 델타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매도수량을 매수수량보다 많게 가져갑니다. 풋비율스프레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행사가격 부근에서 지수가 횡보하는 경우 이익이 최대가 됩니다. 지수가 크게 하락하는 경우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지수가 크게 상승하는 경우 제한된 손실을 보게 됩니다.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2계약 매도

▶ Straddle : 동일한 행사가격과 만기월의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일 수량 동시에 매수 또는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지수의 방향은 고려하지 않고 변동성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예상에 근거하여 구사하는 전략입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스트래들매수
스트래들매수는 앞으로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할 것으로 예상될 때 취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방향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그 방향에 대한 포지션을 늘려서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즉 상승장으로 예측한다면 콜의 수량을, 하락장으로 예상한다면 풋의 수량을 늘려주면 됩니다. 콜옵션과 풋옵션 옵션과 초보자 모두 매수포지션이므로 시장이 예상과 달리 횡보하면 손실폭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등가격 옵션으로 구성합니다.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② shrot을 선택한 경우 : 스트래들매도
스트래들매도는 앞으로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 취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방향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그 방향에 대한 포지션을 늘려서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즉 상승장으로 예측한다면 풋의 수량을, 하락장으로 예상한다면 콜의 수량을 늘려주면 됩니다. 콜옵션과 풋옵션 모두 매도포지션이므로 시장이 예상과 달리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면 손실폭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외가격 옵션으로 구성합니다.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Strangle : 만기월이 동일한 외가격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일 수량 동시에 매수 또는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지수의 방향은 고려하지 않고 변동성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예상에 근거하여 구사하는 전략입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스트랭글매수
스트랭글매수는 스트래들매수의 경우보다 지수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더 크게 변동할 것을 예상할 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외가격 콜옵션과 풋옵션을 매수하기 때문에 전략을 구성하는데 드는 비용은 스트래들매수보다 적게 듭니다. 그러나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지 않는 경우 투자원금을 모두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스트랭글매도
스트랭글매도는 스트래들매도의 경우보다 지수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더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도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전략입니다. 외가격 콜옵션과 풋옵션을 매도하기 때문에 전략으로부터 얻는 이익은 크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지 않는 한 매도금액이 그대로 이익금액이 됩니다.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Butterfly : 변동성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예상에 근거한 전략으로 동일한 콜옵션 또는 풋옵션 3종목을 이용하여 전략을 구성합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버터플라이매수
버터플라이매수는 변동성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버터플라이매수 전략은 등간격의 행사가격이 다른 3개의 콜옵션 또는 풋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합니다. 콜옵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낮은 행사가격의 콜옵션과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수함과 동시에 가운데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는데 그 비율은 1:1:2로 구성합니다. 예상대로 지수가 가운데 행사가격 부근에서 횡보하는 경우 이익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예상과 반대로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 손실을 보게 됩니다.
(예1)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call)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2계약 매도
(예2)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옵션과 초보자 옵션과 초보자 2계약 매도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버터플라이매도
버터플라이매도는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버터플라이매도 전략은 등간격의 행사가격이 다른 3개의 콜옵션 또는 풋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합니다. 콜옵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낮은 행사가격의 콜옵션과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함과 동시에 가운데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수하는데 그 비율은 1:1:2로 구성합니다. 예상대로 지수가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경우(지수의 상승, 하락에 관계 없이) 제한된 이익을 보게 되지만 예상과 반대로 지수가 가운데 행사가격 부근에서 횡보하는 경우 손실을 보게 됩니다.
(예3)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call)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2계약 매수
(예4)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2계약 매수

▶ Time Spread : 시간가치의 감소속도 차이를 이용한 전략입니다. 동일한 행사가격의 콜옵션(또는 풋옵션)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에 서로 반대되는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입니다. 즉, 한 종목을 매수하면서 다른 한 종목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차근월물을 매수하고 최근월물을 매도한다.
(예1) 콜옵션(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call) / long(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차근월물 = 3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3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차근월물을 매도하고 최근월물을 매수한다.
(예3) 콜옵션/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call) / short(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차근월물 = 3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3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 Christmas tree : 변동성의 확대가 예상될 경우 'short'을 선택하고 변동성의 축소가 예상될 경우 'long'을 선택합니다. 해당 전략은 콜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풋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예1)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call)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0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3.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예2)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0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6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3. 행사가격이 6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옵션과 초보자 옵션과 초보자
(예3)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call)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0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3.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예4)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0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6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3. 행사가격이 6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Iron butterfly : Stradle과 Strangle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변동성의 확대를 예상하는 경우 'long'을 선택합니다. 이 전략은 Stradle을 매수함과 동시에 Strangle을 매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의 축소를 예상하는 경우 'short'을 선택합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3.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4.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3.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4.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Condor : 강세스프레드와 약세스프레드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의 확대가 예상되는 경우 'short'을 선택하고 변동성의 축소가 예상되는 경우 'long'을 선택합니다. 해당 전략은 콜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풋옵션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① long을 선택한 경우 :
(예1) 콜옵션(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long(call) / long(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2.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6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
4.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② short을 선택한 경우 :
(예2) 콜옵션(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short(call) / short(put)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2.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6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7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
3.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수 +
4.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풋옵션) 1계약 매도

3) Vertical spread

▶ Bull spread : 강세스프레드전략으로 강세장을 예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동일한 월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행사가격의 옵션을 매수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행사가격의 옵션을 매도하는데 일반적으로 매수수량과 매도수량은 같게 구성합니다. 이 전략의 최대이익은 (행사가격 차이 - 프리미엄 차이), 최대손실은 프리미엄 차이입니다. 일반적으로 콜옵션을 이용하여 전략을 구성합니다.

①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콜강세스프레드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②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풋강세스프레드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Bear spread : 약세스프레드전략으로 약세장을 예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동일한 월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행사가격의 옵션을 매도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행사가격의 옵션을 매수하는데 일반적으로 매도수량과 매수수량은 같게 구성합니다. 이 전략의 최대이익은 (행사가격 차이 - 프리미엄 차이), 최대손실은 프리미엄 차이입니다. 일반적으로 풋옵션을 이용하여 전략을 구성합니다.

① 풋옵션을 선택한 경우 : 풋약세스프레드
(예1)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풋옵션 1계약 매수

② 콜옵션을 선택한 경우 : 콜약세스프레드
(예2)
상황 : 현재 KOSPI200지수 = 75포인트, 최근월물 = 2월물
전략구성 :
1. 행사가격이 75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도 +
2. 행사가격이 80이고 만기월이 2월인 콜옵션 1계약 매수

[초보를 위한 파생상품 이야기] 2. 옵션은 뭔데?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CME 그룹의 BTC 선물 거래와 관련하여, 그리고 크리스마스를 맞아 우리의 등짝을 성히 지켜줄 선물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간단하게 다시 짚어보자면, 선물이란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거래하겠다는 데 대한 보증된 권리를 거래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했었죠.

이 선물 거래는 한번 체결되면 중간에 무르기가 안됩니다. 가격의 등락으로 인해 누구 한 사람이 고자가 되건 말건 무조건 집행해야 하는게 선물 거래의 특징입니다. 또한, 선물은 현물이라는 '기초 자산'의 변동에 영향을 받는 상품이라는 점 역시 기억해두신다면 옵션과 파생상품의 개념을 이해하시는데 보다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많은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직장인들 최고의 난제인 '오늘 점심 메뉴는 뭘 하지?'부터 '오늘은 칼퇴를 할까 눈치를 보면서 버틸까?'와 같은 것들이 있겠네요. 상품으로서의 옵션은 이 개념에서 시작합니다.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겠다는 것이 옵션의 시작입니다. 물론 예를 든 위의 질문에서야 메뉴의 결정 권리는 대부분 부장님에게 있을 것이고, 눈치를 보게 할지에 대한 결정권자 역시 마찬가지겠지만요(. )

중요한 것은, 만기일이 되었을 때 반드시 거래를 해야 하는 선물이나 스왑과는 달리 이런 권리는 포기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옵션 보유자는 이런 선택권이 있으므로, 유리할 경우에는 거래 이행을 요구하고 불리할 경우에는 옵션이라는 권리를 행사하는 것 자체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이 권리 자체는 아무런 리스크가 없다는 것이 되겠죠? 그렇기에 시장에서는 '프리미엄'이라는 가격을 붙여서 이 권리를 거래하게 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우리는 '옵션 시장'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모든 거래가 마찬가지겠지만 옵션의 거래시에는 반드시 매수자와 매도자가 1:1로 대응되어야 합니다. 1단위의 옵션을 팔면 누군가는 반드시 1단위의 옵션을 사야 하는거죠.

무조건적인 1-1 거래가 발생하는 옵션 거래는 대표적인 제로섬 게임입니다. 누군가가 100원만큼의 이득을 보면, 반드시 다른 누군가는 100원만큼의 손해를 보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물론, 아래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확률적으로는 행사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옵션 매도자가 살짝 유리합니다.

옵션은 어떤 기초자산을 얼마의 행사 가격에 만기일의 시점에 어떻게(구분) 거래하겠다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이다. 여기서 권리의 가격은 프리미엄이라 한다.

예를 들어 내년에 차를 한 대 뽑는다고 합시다. 제가 좋아하는 테슬라 S 모델로요.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당장 차를 사는 것이 아니라 옵션 거래를 한다고 가정해보죠. 여기서 차량은 '기초 자산'에 해당하게 됩니다. 사겠다는 의사표현은 옵션의 '구분'에 해당 할 것이고, 옵션과 초보자 그 가격을 5BTC 라고 하면 그 5BTC는 '행사 가격'에 해당하게 됩니다. 1년 뒤 오늘은 '만기'가 될 것이고, 그 차를 사겠다는 증서의 가격이 '프리미엄'이 됩니다.

옵션 구성의 요소 : 기초상품, 행사가격, 만기일, 거래구분, 프리미엄

이게 헷갈리신다면 '아파트 분양권'을 생각하시면 매우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분양권 자체를 거래하는 것 말이죠. 여기서 아파트 값이 기초상품이 되는거고, 분양가가 행사가격, 분양권의 가격이 프리미엄이 되는겁니다.

굳이 하나를 더 덧붙이자면, 만기일 이전에 권리 옵션과 초보자 행사가 가능한것을 '미국식 옵션'이라 하고, 만기일이 되었을 때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을 '유럽식 옵션'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기초 자산이 특정 가격이 되면 사라지는 옵션을 KO(Knock-Out) 옵션이라 부르며, 특정 가격이 되면 발생하는 옵션을 KI(Knock-In) 옵션이라고 합니다.

이 옵션은 다시 콜 옵션과 풋 옵션으로 나뉩니다.

콜 옵션(Call Option)이란 만기 시 시장가격보다 행사가격이 낮은 경우를 말합니다. 쉽게 풀자면 콜 옵션을 매수하는 사람은 현물이 지금보다 가격이 오르는것에 배팅을 하는거죠. 콜 옵션을 매도하는 사람은 그 반대겠죠. 콜 옵션을 매입한 사람이 그 옵션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면, 콜 옵션을 매도한 사람은 옵션 가격에 기초(혹은 파생) 자산을 반드시 매도해야 합니다.

여기서 콜 옵션의 수익은 (시장 가격) - (행사 가격)이 되고, 손익분기점은 그 수익이 옵션 구입 비용(프리미엄)보다 높아지는 시점이 됩니다.

풋 옵션(Put Option)이란 만기 시 시장가격보다 행사가격이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현물이 지금보다 내리는 것에 배팅한 것입니다. 위와 같이 풋 옵션 매입자가 권리를 행사하면, 반드시 매수자는 옵션 가격에 기초 자산을 매입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풋 옵션의 수익은 (행사 가격) - (시장 가격)이고, 손익분기점은 콜 옵션과 동일합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옵션을 산 사람은 자신이 손해가 된다면 어떤 경우에도 옵션 권리 행사를 취소해서 옵션 구매 가격인 프리미엄만으로 손해를 줄일 수 있지만, 옵션을 판 사람은 기초 자산의 가격이 달라지는 만큼 손해가 무제한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옵션을 파는 걸까요?

그것이 바로 옵션 가격의 조율입니다. 그 가격은 애널리스트 사이에서도 블랙박스라 불릴 정도로 복잡한 Black-Shores의 공식에 따라 정해지는데, 굳이 여기서 알아야 할 필요는 없고요. 중요한 것은 매도자는 일반적으로 기관 등 시장 정보를 잘 알거나 시장 흐름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이 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옵션 행사가를 조율하여 판매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옵션을 파는 사람들을 보고 '낙엽(옵션 매수자) 긁어 모으기', '개미핥기' 등에 비유하기도 하죠. 지지 않는 싸움을 한다고요. 물론 그러다 시장이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출렁여서 손해를 보게 된다면(=옵션이 내가격에 들어서 행사가 가능해지면). 기관이 단체로 한강 가는거죠 뭐(-_-); 일전에 언급한 11/11 옵션쇼크때도 상당수의 기관이 파산했으니까요.

위 말만 들으면 세력들이 개미를 털어먹기 위해 나온 것이 옵션같지만, 원래 이 옵션이 나오게 된 것은 기초자산의 변동을 조율하고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용도에서 나왔습니다.


헷지의 어원은 이런 방어책, (구분용)벽이라는 뜻입니다.

그런 이유로 선물 거래와 더불어 옵션 거래는 현물 시장의 변동성을 조율하고, 변동성을 대신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헷지를 위한 옵션 전략 역시 다양한데요. 자산을 구매한 뒤 함께 풋 옵션을 사는 보호 풋(Protective Put)이나, 기초 자산을 매도한 뒤 함께 콜 옵션을 사는 방비 콜(Covered Call), 그 이외에 수탁 콜, 스트랭글, 스트래들 등 다양한 전략이 있습니다.

옵션 거래는 개인이 접하기에는 생각보다 쉽지 않고, 위험성 자체도 매우 높습니다. 게다가 기초자산의 변동성을 가져오는데다 소액의 증거금만으로 몇 배나 되는 고액을 움직이는 '레버리지'라는 특유의 제도 때문에 더욱 위험하지요.

그렇기에 이상현상이 발생할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역시 강력합니다. 지난 번 BTC의 급락 역시 콜 옵션들이 실물의 급락으로 강제로 청산되면서 발생한 연쇄 마진 콜로 인해 시장에 다량의 물량이 급격히 풀려났던 데서 출발했었지요.

오늘의 메이저 암호화폐 시장은 비슷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BTC가 12,000~14,000$ 사이에서, 아시아권 프리미엄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bitFlyer를 중심으로 한 일본쪽 프리미엄이 살짝 줄어든 분위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격 변화가 서서히 프리미엄이 맞춰져 가는 과정인지, 혹은 아시아 시장의 여전한 과열을 의미하는지는 아직은 확인할 수 없기에 저는 꾸준히 시장을 지켜볼 생각입니다. 보호 풋이나 방비 콜을 편하게 할 수 없는 현재 시장에서 함부로 데이트레이딩이나 스캘핑을 하는 것은 여전히 권장드리지 않으며, 시장의 큰 변동을 본 뒤 움직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기타 앰프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기타 앰프

첫 번째 일렉트릭 기타 앰프를 찾는 초보자 기타리스트라면 다양한 옵션이 압도적입니다.우리는 당신에게 당신의 필요, 스타일 및 예산에 가장 적합한 앰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당신에게 짧은 가이드를 제공 할 것입니다.

첫 번째 단계는 필요한 것과 스타일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 장비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집에서 놀거나 밴드에서 연주하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두 번째 단계는 터치하려는 스타일이나 스타일을 식별하는 것입니다.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 어떤 오디오를 찾고 있습니까?
  • 왜곡, 위기, 깨끗한 플레이?
  • 지연, 리버브, 코러스, 트레몰로 등의 효과가 필요합니까?
  • 어떤 스타일의 음악을 연주할 것인가?, 어떤 기타리스트가 좋아하고 어떤 증폭기 또는 오디오를 사용합니까?

마지막으로 예산이 얼마입니까에 대해 생각해 보십시오. 이제 이러한 앰프 중 어느 것이 귀하의 답변, 요구 사항에 맞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일렉트릭 기타 앰프

  • 보스 카타나 50 MkII
  • 롤랜드 큐브 스트리트 EX
  • 블랙스타 실버라인 스탠다드
  • 라인 6 스파이더 V 30 MkII
  • 펜더 머스탱 I V.2
  • 복스 패스파인더 10
  • 펜더 프론트맨 10G
  • 펜더 아쿠스타소닉 15
  • 오렌지 크러시 20
  • 마샬 코드 50
  • 펜더 챔피언 20

보스 카타나 50 MkII

보스 카타나 50 MkII, 우수한 연습 디지털 모델링 기타 앰프 옵션.

보스 카타나 50 MkII는 50 와트 1 × 12 “기타 콤보 앰프입니다. 1 x 12″는 12인치 토크 스피커가 1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크기는 8”, 10 및 12″입니다. 스피커가 클수록 몸이 많을수록 앰프가 더 많이 베이스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캐비닛의 크기. 이것은 카타나 (Katana)의 좋은 점입니다.

또한, 조정 가능한 전원 제어를 통해 50와트, 25 개 또는 절반 와트 또는 절반 의 전력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것의 큰 힘, 리허설 이나 중소 규모의 리사이틀에서 밴드와 함께 재생할 수 있습니다. 차례로, 보스 카타나 50 당신에게 라디오 볼륨에서 고전적인 앰프 톤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5가지 앰프 모드: 클린, 크런치, 리드, 브라운, 어쿠스틱, 각각 변형, 다양한 모드가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디지털 모델링 앰프와 같은 상호 교환 채널과 내장 효과를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카타나는 거의 모든 음악 스타일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그것은 당신의 이웃을 방해하지 않고 밤에 헤드폰 출력과 조용한 연습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 다른 훌륭한 기능은 USB 포트로, 컴퓨터에 음악을 녹음할 수 있습니다.

카타나 50 MkII의 판매 가격은 스페인에서 EUR 259, 미국에서 USD 229입니다.

롤랜드 큐브 스트리트 EX

롤랜드 큐브 스트리트 EX,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디지털 연습 앰프 중 하나.

이것은 고전적인 실용적이고 휴대용 일렉트릭 기타 앰프 중 하나입니다. 초보자뿐만 아니라 매우 운반 가능한 앰프가 필요한 고급 기타리스트를위한 것입니다. 50와트 2 × 8인치 콤보, 즉 큰 사운드를 제공하는 8인치 스피커 2개입니다. 최대 휴대성을 위해 설계및 모니터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롤랜드 큐브 스트리트 EX 콤보 앰프는 연결하지 않고도 재생할 수 있는 배터리를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집에서, 여행, 테라스, 광장에서 또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거리에서 어디서나 재생하는 것이 완벽합니다. 50와트의 높은 힘은 어디를 가든 밴드와 함께 연주하기에 이상적입니다.

또한 음성 마이크 또는 외부 음악 플레이어에 대한 추가 입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롤랜드 스트리트 EX는 공개 주소 시스템이됩니다.또한 앰프, 내장 효과 및 튜너의 디지털 모델링 덕분에 톤과 오디오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UBE Street EX는 초보자와 고급 기타리스트 모두에게 가장 완벽한 완벽한 저렴한 일렉트릭 기타 앰프 중 하나입니다.

롤랜드 큐브 스트리트 EX의 가격은 유럽에서 EUR 517, 미국에서 USD 500입니다. 그것은 보스 카타나에 비해 높은 가격을 가지고 있지만, 배터리와이 앰프는 거리 뮤지션에 의해 높은 평가되는 독특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블랙스타 실버라인 스탠다드

블랙 스타 실버 라인 스탠다드, 초보자를위한 전 기타 앰프.

이 20 와트, 1× 10″ 콤보 스타일과 디지털 유연성과 스타일 및 설계, 제조 업체에 의해 약속 대로, 고전적인 밸브 앰프처럼 소리. 블랙스타 실버라인 스탠다드 앰프는 다재다능한 전통적인 앰프 경험을 찾는 기타리스트들에게 탁월한 선택입니다.

고급 SHARC 프로세서는 혁신적인 TVP 기술을 통해 튜브 앰프의 뉘앙스를 뛰어난 디테일로 선도합니다.6개의 선택 가능한 파워 앰프 모델과 6가지 프리앰프 옵션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실버 라인 표준은 다양한 사운드를 다룹니다.또한, USB 연결 및 스테레오 라인 출력이 장착되어 있어 스피커를 에뮬레이트하여 녹음을 쉽고 간단하게 만듭니다. 주목할 만한 한 가지 측면은 스피커가 10인치 셀레션 V-타입이라는 점입니다. 20와트는 밴드에서 연주 할 수있는 제한된 힘이다, 그래서, 드러머의 얼마나 강한에 따라 볼륨부족 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가치가있다.

블랙스타의 판매 가격은 스페인에서 410유로, 미국에서는 429달러입니다.

라인 6 스파이더 V 30 MkII

라인 6 스파이더 V 30 MkII, 초보자를위한 기타를위한 최고의 이기탈 모델링 앰프 중 하나.

라인 6 스파이더 V 30 MkII는 클래식 30 와트 1 8 “디지털 × 모델링 콤보 앰프입니다. 그것은 기능을 많이 가지고, 둘 다 단순히 연결하고 탭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또는 기타 톤의 모든 요소를 탐구하는 데 시간을 보내고자하는 사람들을 위해.

6호선은 앰프 모델링 기술의 절대 리더 중 하나입니다. 스파이더 V 30 MkII는 실험과 재생 증폭기의 200 개 이상의 모델을 가지고있다. 그것은 또한 다양한 효과와 심지어 드럼 루프배경 비트와 함께 재생할 수 있습니다 갖추고 있습니다.한 가지 주목할 점은 스파이더 V 30 MkII의 풀 레인지 스피커가 어쿠스틱 기타에도 훌륭하다는 것입니다. 8 인치에도 불구하고, 그 소리는 충분히 큰 소리. 마지막으로, 30 와트는 밴드와 함께 리허설에서 재생할 수 있지만 리사이틀을위한 마이크가 필요합니다.

6호선 스파이더 V 30 MkII의 소매가격은 미국에서 185유로, 미화 209달러입니다. 따라서, 그들은이 전기 또는 어쿠스틱 기타 앰프, 가장 저렴한 옵션 중 하나를 합니다.

펜더 머스탱 I V.2

펜더 머스탱 I V.2 기타리스트를 위한 연습 앰프.

이것은 저렴한 20 와트 1과 8″× 기타 콤보 앰프입니다. 그것은 저렴한 가격에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음악적 취향에 관해서 오픈 헤드를 가지고 많은 옵션과 가능성을 찾고 초보자 기타리스트를위한 최고의 일렉트릭 기타 앰프 중 하나입니다.

펜더 머스탱 I V.2에는 다양한 기타 오디오를 다루는 24개의 내장 사전 세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신은 현대 금속 오디오까지 깨끗한 국가 톤을 얻을 수 있습니다.그것은 재생 하고 탐구 하는 내장 된 효과 많이 있다. 음악 플레이어를 연결하는 입력과 자동 연습 세션을 위한 헤드폰 출력이 장착되어 있습니다.그것은 심지어 시간에 올 때 녹화 쉽게, 컴퓨터에 대 한 USB 연결 함께 제공. 따라서, 그것은 많은 현대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의심의 여지없이, 그것은 가정용 일렉트릭 기타 학생들을위한 최고의 앰프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밴드와 함께 연주 할 앰프를 찾고 있다면 20 와트와 8 인치 스피커가 너무 작습니다.

펜더 머스탱 I V.2의 가격은 유럽에서 132유로, 미국에서는 140달러입니다.

복스 패스파인더 10

복스 패스파인더는 기타리스트를 위한 연습 앰프입니다.

이 작은 콤보 앰프는 10 와트 1 × 6.5″는 오래된 학교 스타일의 고전입니다. 일렉트릭 기타를 연결하고 연주하기만 하면 됩니다.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복스 패스파인더 10에는 클래식한 영국 록의 훌륭한 음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여왕이나 U2와 같은 영국 밴드의 팬들에게 이상적인 깨끗한 영어 포화에 깨끗한 에서 사운드를 제공하는 깨끗한 / 오버 드라이브 스위치를 갖추고 있습니다.그것은 아무 내장 효과, 옵션과 초보자 침묵 밤 세션에 대 한 단지 헤드폰 출력을 가지고 간단한 앰프.우수하고 클래식한 복스 사운드가 돋보이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기타 앰프를 찾고 있다면 Pathfinder 10은 구입할 수 있는 최고의 초보자 일렉트릭 기타 앰프입니다.

복스 패스파인더 10의 판매 가격은 스페인에서 만 EUR 75, 미국에서 USD 90입니다.

펜더 프론트맨 10G

펜더 프론트맨 10G는 기타리스트를위한 연습 앰프.

10 와트 콤보 앰프 1 × 6″, 당신이 공간과 제한된 예산이있는 경우 매우 작은 이상적. 하지만 기억, 톤은 장소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이 앰프는 당신을 놀라게 할 것 이다. 10와트와 6″스피커를 갖춘 펜더 프론트맨 10G에는 일반 및 오버드라이브라는 두 개의 선택 가능한 채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고전적인 펜더 블랙 페이스 미학을 특징으로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기뻐할 것입니다.또한, 좋아하는 노래에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음악 플레이어에 대한 입력을 갖추고 있으며, 헤드폰 출력은 밤에 재생하고 이웃을 방해하지.

초보자를위한이 슈퍼 컴팩트 연습 앰프는 스페인에서 EUR 66의 판매 가격과 미국에서 USD 70의 판매 가격으로 목록에서 가장 저렴한 옵션입니다.

펜더 아쿠스타소닉 15

펜더 아쿠스타소닉 15,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어쿠스틱 기타 앰프 중 하나.

이 앰프는 어쿠스틱 기타 목록에 있는 유일한 앰프입니다. 15와트, 1× 6″의 콤보입니다.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할 때 증폭을 잊기 쉽습니다.펜더 아쿠스타소닉 15와 같은 어쿠스틱 콤보 앰프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다양한 볼륨에서 재생하고 증폭 연습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당신이 더 명확하고 자세히 당신이 터치하고 진행 상황을들을 수 있도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펜더 아쿠스타소닉 15에는 마이크 입력이 있어 연주 하면서 싱어송라이터에게 이상적입니다.

펜더 아쿠스타소닉 15의 가격은 스페인에서 EUR 102, 미국에서는 USD 100입니다.

오렌지 크러시 20

오렌지 크러시 20,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기타 앰프 중 하나.

오렌지 크러시 20 앰프는 20 와트, 1-× 8″콤보입니다. 영국 역사 브랜드 오렌지의 클래식한 미학을 자랑합니다. 이 앰프는 공격적인 영어 사운드를 찾고 있다면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저렴한 기타 앰프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만약 당신이 로커, 오렌지 호감 고려 20 콤보 앰프.이 초보자 기타리스트 앰프는 오디오의 전체 범위를 커버 두 개의 채널을 갖추고 있습니다. “차임”에서 분노 오렌지 왜곡에 정화. 클래식 밸브 앰프의 캐릭터와 반응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이 특징입니다.그것은 당신이 녹음 장치에 직접 연결할 수있는 CabSim 출력이 있습니다. 자신을 기록하고 싶은 사람에게 훌륭한 선택입니다.

오렌지 크러시 20의 소매 가격은 스페인에서 EUR 132, 미국에서 USD 139입니다.

마샬 코드 50

마샬 코드 50, 모든 수준의 기타리스트를위한 연습을위한 이상적인 디지털 모델링 앰프.

마샬 코드 50은 50 와트 1 12 “디지털 × 모델링 콤보 앰프입니다. 클래식 한 마샬 으르렁 거리는 것을 특징으로할뿐만 아니라 14 가지 프리앰프 모델과 원하는 방식을 결합 할 수있는 14 가지 파워 앰프 모델을 갖추고 있습니다.따라서 마샬 앰프의 전원 섹션을 통해 고전적인 펜더 장비의 프리 앰프를 결합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함 된 마샬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블루투스를 통해 모바일로 코드 50 콤보의 모든 기능을 제어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원격 제어 만들기. 초보자 연습 시장에서 최고의 저렴 한 증폭기 중 하나. 또한 50와트 파워와 12인치 스피커를 통해 리허설과 중간 연주를 조용히 할 수 있는 볼륨을 제공합니다.

마샬 코드 50의 판매 가격은 스페인에서 EUR 263 이며 북미에서 USD 299, 당신에 게 우수한 가격 및 기능 비율을 제공.

펜더 챔피언 20

펜더 챔피언 20은 20와트 1 × 8인치 앰프입니다. 이 작은 앰프는 고전적인 펜더 블랙 페이스 미학을 갖추고 있습니다.이 콤보는 모델러 -시뮬레이터 또는 에뮬레이터 – 오래되고 새로운 고전 앰프의 다양한 유형을 포괄합니다. 이 앰프는 현대 모델링 이나 디지털 앰프만큼 옵션과 초보자 복잡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매우 간단 하 고 사용 하기 간단 합니다.

펜더 챔피언 20은 내장 효과, 음악 플레이어를 연결하는 보조 입력, 가족이 자고있을 때 침묵 연습을위한 헤드폰 출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펜더 챔피언 20의 판매 가치는 유럽에서 EUR 124, 미국에서 는 130유로입니다.

모든 초보자 기타리스트를위한 앰프가 있습니다.

이 저렴한 앰프는 어떤, 초보자와 더 높은 수준의 기타리스트를 위해 연습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장에많은 우수한 초보자 앰프가 있습니다. 각 하나를 시도하고 당신이 더 나은 재생하게 느끼는 하나를 선택, 그 당신을 고무, 당신이 연주를 중지 할 수 없습니다 하나.

주식초보들을 위한 주가지수옵션거래 6가지 투자기법.

현대인이 고안해 낸 최고의 금융기법이라고 할 만큼 옵션의 투자기법은 매우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투자전략인 콜옵션 매수, 콜옵션 매도, 풋옵션 매수, 풋옵션 매도, 스트래들, 스트랭글 등 6개 전략에 대해서만 살펴보자.

주식-차트

옵션거래 투자기법 1

콜옵션 매수

콜옵션은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 이용하는 투자전략이다. 이익은 주가가 상승할수록 커지지만 최대 손실은 매수금액에 한정된다.

옵션거래 투자기법 2

콜옵션 매도

향후 주가가 하락하거나 또는 오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될 때 이용하는 투자전략이다. 매도금액만큼 이익을 보지만 예상이 빗나가 주가가 상승할 때는 상승폭이 크면 클수록 손실이 많아진다.

또한 주식(또는 선물)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매도하게 되면 주가가 하락할 경우 손실을 일부 줄일 수 있는데 이를 보증된 콜매도(Covered Call매도)라고 한다. Covered Call 매도는 주식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기관
투자가가 시장 하락 위험에 대비해서 흔히 쓰는 전략이다.

Covered Call 매도 = 주식(또는 선물) + 콜옵션 매도

옵션거래 투자기법 3

풋옵션 매수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이용하는 전략이다. 주가가 하락할수록 이익은 커지지만 반대로 주가가 예상과 달리 상승할 경우 예상손실은 옵션의 매수가액에 한정되고. 또한 보유하고 있는 주식(또는 선물)이 하락할 위험이 있을 때 풋옵션을 매수하면 주가 하락에 대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데 이를 보호적 풋매수(Protective Put 매수)라고 한다.
Protective Put 매수는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관투자가가 증시 하락에 대비해서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투자전략이다.

Protective Put 매수 = 주식(또는 선물) + 풋옵션 매수

주식-차트

옵션거래 투자기법 4

풋옵션 매도

향후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주가가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 이용하는 전략이다. 주가가 예상대로 상승하면 옵션 매도금액만큼 이익을 챙길 수 있지만 예상과 달리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하락폭이 클수록 손해도 커진다.

옵션거래 투자기법 5

스트래들 매수와 스트래들 매도

스트래들(Straddle)은 동일한 옵션 종목에서 행사 가격이 동일한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매수하거나 또는 동시에 매도하는 경우로서 흔히 양건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앞의 2010년 5월 물 시세표에서 행사 가격 225짜리 콜옵션을 3.25(162만 5,000원)에 10 계약 매수하고 동시에 행사 가격 225짜리 풋옵션을 2.96(148만 원)에 10 계약 매수하는 것이다.

스트래들 매매는 일반투자자들도 자주 이용하는데, 스트래들 매수의 경우 지수가 오르든 떨어지든 변동폭이 크기만 하면 방향이 다른 한쪽은 손해를 보더라도 방향이 같은 쪽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는 전략이다. 예를 들면 EU 탈퇴 여부를 결정하는 영국의 국민투표, 북한 핵실험,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 또는 미국과 한국의 대선 같은 국내외 대형 이벤트가 있기 전에 흔히 쓰는 투자전략이다.

옵션거래 투자기법 6

스트랭글 매수와 스트랭글 매도

스트랭글(Strangle)은 동일한 옵션 종목에서 행사 가격이 각기 다른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매수하거나 또는 동시에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앞의 2010년 5월 물 시세표에서 콜옵션은 행사 가격 232,50짜리를 0.59에 10 계약 매수하고 동시에 풋옵션은 행사 가격 222.50짜리를 2.07에 3 계약 매수하는 것을 스트랭글 매수라고 한다.

주식-차트

알아두면 좋은 주식 상식

야간에도 KOSPI200 옵션 거래가 가능합니다.

1. 계좌 개설 방법
선물옵션계좌를 개설한 투자자가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야간 옵션 거래에 대한 동의 절차를 밟으면 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