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이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미국 재무부가 공개한 북한 라자루스 집단 정보(사진=미국 재무부)

이더리움이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아볼까요?

본 콘텐츠에서 가장 유입이 많은 검색어는 "이더리움 거래방법"(으)로 전체 트래픽의 83.8%를 차지합니다. "이더리움 거래방법"(은)는 하루 평균 355개의 콘텐츠가 등록되며 경쟁강도는 아주좋음입니다.

그 외에도 이더리움 등의 키워드로 콘텐츠에 유입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키워드는 "이더리움"입니다.

본 콘텐츠는 7월26일을 기준으로 검색어 별 콘텐츠 순위에서 10위를 기록중이며 이 기록은 상위 2.8%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안녕하세요 샤크투자 입니다 반갑습니다 어 느 순간부터 코인이 많은 분들께 활성화되면서 코인 용어에 대해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러한 분들을 위한 코인 용어를 설명드리고자 하는데요 이더리움이란 무엇인지 간략하면서도 확실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잠시만 집중해 주세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이후에 개발된 블록체인 플랫폼 중에 하나로 러시아 태생 캐나다 국적의 부테린이 년 말에 작성한 백서로 시작이 되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년부터 비트코인 매거진에서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에 대한 주제로 글을 쓰기 시작하였고 블록체인을 확장할 방법을 구상해왔습니다 그러면서 년에 최종적으로 그 구상한 것들을 백서로 공개하게 된 것입니다 년 이더리움 재단을 구성한 비탈릭 부테린은 크라우드 펀딩 방식의 를 통해서 약 억 가량의 자금을 모집했습니다 그 자금을 이용해 개발팀을 구성하고 다음 해인 년에 이더리움이 전 세계에 공개됐죠 이더리움은 다양한 언어로 개발된 프로젝트로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최초로 암호화폐 시스템 비트코인이 개발되고 이것을 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후로 이 비트코인의 한계를 극복해 내고자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이용해 생겨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플랫폼의 대부분은 화폐의 저장 수단으로만 블록체인을 사용했는데요 비탈릭 부테린은 비트코인의 화폐 거래 뿐만 아니라 계약서 등을 통해 추가 정보와 프로세스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죠 많은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을 이용해 이더리움이란? 분산 네트워크 구상 및 플랫폼을 이용해 이메일 등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을 창안해냈습니다 이더리움 플랫폼에 의해서 생성된 암호화폐가 이더리움이란? 생겨나고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세대 블록체인에는 추가 되지 않았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이더리움 세대 블록체인에서 사용화되고 그 이후에는 더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을 통해 개발되고 있죠 이더리움이란 비트코인을 참조해 설계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인데요 기본적인 그 배경은 비트코인과 굉장히 흡사합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을 세대 블록체인으로 업그레이드 된 차이점이 하나 있죠 그것은 바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입니다 비트코인 플랫폼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저장이 되지 않고 비트코인을 참가자들이 보내고 받는 내용만 기록됩니다 반면에 이더리움이란 블록체인에 암호화폐인 이더와 스마트 컨트랙트가 모두 저장이 가능하죠 참가자들이 만들어내는 거래에 암호화폐 이더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정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포함돼 전달이 가능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당사자가 협의한 내용 등을 미리 프로그래밍해 전자 계약서 문서에 보관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해당 계약 조건이 모두 이더리움이란? 만족된다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됩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간단히 말하면 이더리움은 암호화폐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이더리움이란?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적용이 되는 플랫폼을 말합니다

이더리움이란?

[토크포스트 저녁 브리핑] 리플 변호사 "'SEC 위원장, 암호화폐 거래소에 비협조적. 사임해야" 外

2022-07-29 금 19:57

추천 [ 22 ]

[리플 변호사 "'SEC 위원장, 암호화폐 거래소에 비협조적. 사임해야"]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오늘 새벽 트위터를 통해 "자본시장에는 시장 무결성을 보호하고 사기 및 조작을 막기 위한 규칙이 있다. 회사가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 규정에 부합한 암호화폐 시장을 구축하면 사람들도 이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리플(XRP)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이 "겐슬러 위원장은 암호화폐 거래소와 협력하지 않는다. 그는 암호화폐를 유가증권으로 간주하며, SEC가 이에 대한 관할권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그가 직위에서 사임하도록 단합해야 한다"고 트윗했다.

[머니그램, 리플-SEC 소송 제출 증언 중 일부 내용 비공개 요청]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에 따르면, 리플(XRP)의 파트너사이자 글로벌 송금 업체 머니그램(MoneyGram)이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 제출한 증언 자료 중 일부 내용에 대해 법원에 비공개를 요청했다. 이와 관련 머니그램 측은 "증언 내용 중 머니그램의 사업 전략과 기업 운영 관련 기밀이 일부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5.02% 오른 0.이더리움이란? 37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플, 2분기 4억 달러 상당 XRP 판매.. 전분기 대비 49%↑]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XRP)이 올 2분기에 4억 800만 달러 상당의 XRP 토큰을 판매했다고 보고서에서 밝혔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 약 이더리움이란? 49% 증가한 수치고, 총 판매액은 전 세계 XRP 거래량의 0.47%를 차지했다. 또 XRP 기반 국제 송금 솔루션 ODL 거래량은 전년 대비 9배 이상 늘었다. 글로벌 거래소 XRP 거래량은 지난 1분기 968억 3000만 달러에서 올 2분기 785억 달러로 감소했다.

[바벨 파이낸스, 프랍 트레이딩으로 2.8억 달러 손실. 유동성 위기 초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입수한 구조조정 제안서 이더리움이란? 이더리움이란? 자료에 따르면, 유동성 부족으로 상품 환매 및 출금을 중단한 홍콩 소재 암호화폐 대출 업체 바벨 파이낸스가 고객 펀드와의 프랍 트레이딩(고객 예금이 아닌 자기자산이나 차입금으로 채권과 주식, 각종 파생상품 등에 투자하면서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행위) 과정에서 8,000 BTC와 56,000 ETH를 이상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안서는 "바벨 파이낸스는 프랍 트레이딩 실패로 2.8억 달러 상당의 BTC, ETH 손실을 입었다. 결론적으로 바벨 파이낸스의 프랍 트레이딩 팀의 운영 실패는 정상적인 비즈니스 범주를 벗어난다. 이는 단일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하나의 고장으로도 시스템 전체가 중단되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6월 바벨 파이낸스는 이례적인 유동성 위기를 직면했다며 상품 환매 및 출금 기능을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커뮤니티, 8월 말 ETH 2,127 달러 전망]

핀볼드에 따르면 코인마켓캡 커뮤니티가 8월 31일까지 이더리움(ETH) 가격이 2,127.98 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당 가격 예측에 참여한 커뮤니티 구성원은 약 2,685명이다. 이 예측과 별도로 약 1,218명의 구성원은 9월 30일 ETH 가격이 2,390 달러로 8월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현재 가격에 비해 약 38% 오른 수준이다. 이와 관련 핀볼드는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에 대한 CMC 커뮤니티의 기대가 크다고 진단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6.59% 오른 1,723.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베이스, 전 틴더 동남아 사업 책임자 영입]

테크 인 아시아에 따르면 코인베이스가 데이팅 앱 틴더의 전 동남아 비즈니스 책임자 줄리아노 옥타비아노스(Giuliano Octavianos)를 영입했다. 옥타비아노스는 코인베이스의 동남아 지역 사업을 담당할 예정이다. 코인베이스는 "그가 틴더에서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시장 진출과 해당 지역 사업 성장을 이끌었다"며 "옥타비아노스는 틴더 이전 블랙베리와 페이스북에서도 일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日 월렛 개발사 긴코, 금융사와 증권형 토큰 실증 연구 돌입]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일본 암호화폐 월렛 애플리케이션 업체 긴코(Ginco)가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미즈호 은행, 미즈호 신탁 은행, 미즈호 리서치&테크놀로지스와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에 대한 실증 연구에 들어간다. 이들은 여러 금융상품을 증권형 토큰으로 얼마나 발행 및 유통할 수 있는 지를 포함해 거래 활성화 방안 등을 연구할 예정이다.

[이란 합법 채굴자, 모든 지역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계약 가능]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이란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한 채굴자는 전국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해 이란 에너지부는 최근 암호화폐 채굴 규정을 수정했다. 원래 채굴업체들은 같은 지역에 위치한 재생에너지 발전소와만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한편 이란 국영 전력회사 타바니르(Tavanir)는 무면허 암호화폐 채굴자에게 부과하는 벌금을 400% 인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5월 발표에 이더리움이란? 따르면 이란 정부는 불법 채굴장 약 7000곳을 적발해 폐쇄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스웰 네트워크, 메인넷 RC 출시]

이더리움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스웰 네트워크(Swell Network)는 메인넷 RC(릴리즈 후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Runtime Verification, Peckshield, Slowmist, Certik, Chainsulting의 감사를 받았다.

[유가랩스, 미비츠 2차 판매에 5% 로열티 받는다]

유명 NFT 프로젝트 미비츠(Meebit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유가랩스는 향후 오픈씨, 룩스레어 등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미비츠 NFT의 2차 판매에 대해 5%의 로열티를 거둬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BAYC 개발사 유가랩스는 지난 3월 라바랩스로부터 크립토펑크, 미비츠 컬렉션의 지식재산권(IP)를 인수한 바 있다. 코인게코 기준 미비츠 NFT의 바닥가는 현재 5.1 ETH(약 8,763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 "이란, 절도범 손가락 절단 처벌…잔혹"

(카이로=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중동 국가 이란에서 절도범의 손가락을 자르는 잔혹한 처벌이 이뤄졌다고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가 29일(현지지삭) 주장했다.

국제앰네스티에 이더리움이란? 따르면 지난 27일 테헤란의 에빈 감옥에서 30대 후반의 이란 주민 푸야 토라비가 손가락이 절단된 후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고 밝혔다.

토라비의 손가락 절단 처벌 현장에는 다수의 이란 관리들이 있었다고 국제앰네스티는 부연했다.

이란 당국은 지난 5월에도 마취 없이 절도범의 손가락을 자르는 처벌을 한 적이 있으며, 손가락이 절단된 사람은 이후 감염과 트라우마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격리 수용돼 있다고 국제앰네스티는 주장했다.

이 밖에 최소 8명의 다른 재소자가 절단기가 설치된 에빈 교도소로 이송돼 손가락 절단 처벌 위기에 놓였다고 국제앰네스티의 중동 및 북아프리카 담당 국장인 다이애나 엘타하위가 말했다.

그는 "손가락 절단은 고문 행위로 국제법에서는 범죄로 규정돼 있다. 이런 처벌을 명령하거나 실행한 사람은 사법 절차에 따라 기소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란에서는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따라 절도범에 대해 '손가락 절단형'을 선고하는데,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최소 356건의 '손가락 절단형' 집행된 것으로 인권단체는 집계하고 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신체 절단, 채찍질, 돌팔매질 등 형벌을 금지하는 내용이 담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에 이란도 가입했다면서 이란 사법부에 비인도적인 형 집행을 중지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top

tab area

이승조대표

이상로대표

  • 국고처 프라이데이 1-2부 [홈]
  • 국고처 프라임 1-2부 [홈]
  • 국민주식고충처리반 1~5부 [홈]
  • 와우넷 스페셜 [홈, 17人] HOT
  • 특별기획 인재전쟁 국가가 나서라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3(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우:0450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서울중구 2022-0572호

Copyright© 한국경제TV. All Rights Reserved.

국제앰네스티 "이란, 절도범 손가락 절단 처벌…잔혹"


(카이로=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중동 국가 이란에서 절도범의 손가락을 자르는 잔혹한 처벌이 이뤄졌다고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가 29일(현지지삭) 주장했다.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지난 27일 테헤란의 에빈 감옥에서 30대 후반의 이란 주민 푸야 토라비가 손가락이 절단된 후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고 밝혔다.
토라비의 손가락 절단 처벌 현장에는 다수의 이란 관리들이 있었다고 국제앰네스티는 부연했다.
이란 당국은 지난 5월에도 마취 없이 절도범의 손가락을 자르는 처벌을 한 적이 있으며, 손가락이 절단된 사람은 이후 감염과 트라우마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격리 수용돼 있다고 국제앰네스티는 주장했다.
이 밖에 최소 8명의 다른 재소자가 절단기가 설치된 에빈 교도소로 이송돼 손가락 절단 처벌 위기에 놓였다고 국제앰네스티의 중동 및 북아프리카 담당 국장인 다이애나 엘타하위가 말했다.
그는 "손가락 절단은 고문 행위로 국제법에서는 범죄로 규정돼 있다. 이런 처벌을 명령하거나 실행한 사람은 사법 절차에 따라 기소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란에서는 '샤리아'(이더리움이란? 이슬람 율법)에 따라 절도범에 대해 '손가락 절단형'을 선고하는데,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최소 356건의 '손가락 절단형' 집행된 것으로 인권단체는 집계하고 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신체 절단, 채찍질, 돌팔매질 등 형벌을 금지하는 내용이 담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에 이란도 가입했다면서 이란 사법부에 비인도적인 형 집행을 중지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지난 7월 26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복수의 북한 관계 해커집단을 언급하며 정보에 대한 현상금으로 최대 1천만 달러(한화 약 130억 원)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트위터를 통해 언급된 해커 조직으로는 ‘라자루스그룹(Lazarus Group)’, ‘김수키(Kimsuky)’, ‘블로노로프(Bluenoroff)’, ‘안다리엘 (Andariel)’, ‘에이피티38(APT38)’, ‘평화의 수호자(Guardians of Peace)’ 등이 있었다.
‘라자루스그룹’의 경우 가상화폐 시장 내 악명 높은 해커집단 중 하나다. 미국 재무부는 ‘라자루스그룹’을 지난 3월 이더리움이란? 발생한 블록체인 게임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 내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하기도 했다.

미국 국무부가 북한 해커 집단에 대한 현상금을 1천만 달러로 상향했다(사진=트위터/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가 북한 해커 집단에 대한 이더리움이란? 현상금을 1천만 달러로 상향했다(사진=트위터/미국 국무부)

당시 미국 경제매체인 블룸버그는 ‘엑시인피니티’ 해킹 사건을 통해 탈취된 7,400억 원의 가상화폐 중 1,057억 원이 지난 4월 13일(현지시간) ‘라자루스그룹’과 연결된 이더리움 계좌로 옮겨졌다는 자료를 공개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재무부는 ‘라자루스그룹’의 가상화폐 계좌를 동결시키고 주소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제재를 가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인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해커들이 불법적으로 빼돌린 가상화폐의 가치가 4억 달러에 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피싱 유인과 코드 공격은 체이널리시스가 소개한 북한 해커들의 가상화폐 자금 탈취 방법이었다.

미국 재무부가 공개한 북한 라자루스 집단 정보(사진=미국 재무부)

미국 재무부가 공개한 북한 라자루스 집단 정보(사진=미국 재무부)

북한 해커들은 지난 2017년부터 현재까지 49번에 걸쳐 가상화폐 탈취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화폐 탈취 이후에는 알트코인을 이더리움으로 바꿔 합치고 이를 다시 비트코인으로 바꾸는 이더리움이란? 방법을 통해 자금 세탁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더리움의 경우 북한 해커들이 가장 많이 빼돌린 가상화폐로 전체 탈취금의 58%규모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한편 미국 재무부 산하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현재 이란 이용자들의 거래 허용 여부와 세계 4위 규모의 가상화폐 거래소인 크라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은 지난 지난 1979년 이후로 경제 제재 정책을 펼치고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