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김성수 에기평 PD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사진=AP연합뉴스

미국 달러화 가치가 20여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지구촌 곳곳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부채 위기가 고조하고 있는 신흥국의 경우 세계적 고물가 현상과 경기침체 전망이 겹치면서 연쇄적인 국가부도 도미노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주요 6개 통화(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스털링,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 주는 달러인덱스(DXY)는 108.06을 기록하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올해 들어서만 10% 이상 올랐고, 108 선에 오른 것은 2002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이에 비해 주요 통화인 달러 대비 일본 엔화 가치는 2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상태고 유로당 달러 환율도 20년 만에 1대 1 밑으로 떨어졌다.

기축통화인 달러의 가치가 단기간에 급변하면서 전 세계 경제에도 부작용이 잇따르고 있다. 달러로 돈을 빌린 정부나 기업이 이자나 원금 상환 부담이 크게 불어 재정 운영,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자국 통화 가치 하락은 또 수입 비용을 늘려 생산자와 소비자의 물가 상승을 이끄는 등 무역, 물가, 외채, 자본시장 등 여러 부문에서 신흥국에 악재로 작용한다.

달러로 갚아야 하는 외채 비중이 높은 국가는 부도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채권자에게 달러로 이자를 지불하는 것은 자국 통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는 아르헨티나, 터키와 같은 나라에 특히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달러화 강세 여파로 지난달 말 기준 다수의 신흥국 통화 가치가 올해 초에 비해 5% 이상 하락했다. 라오스(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25.5%), 터키(-21.4%), 아르헨티나(-17.7%), 이집트(-16.4%) 등 일부 국가는 하락폭이 특히 컸다.

마힌다 야파 아베이와르데나 스리랑카 국회의장이 15일(현지시간) 수도 콜롬보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콜롬보=AFP연합뉴스

이미 쓰러진 국가도 있다. 스리랑카는 지난 5월 510억달러(약 67조5750억원) 규모의 국가채무를 감당하지 못하고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다. 주력 산업인 관광 부문의 붕괴와 지나친 감세 등 정책 실패가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스리랑카는 식량과 연료를 수입할 외화가 없어 국민이 극심한 생활고를 겪고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대통령은 해외로 도피했다.

신흥국의 연쇄 국가부도 사태 우려도 커진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스리랑카 외에 디폴트에 가장 취약한 5개국으로 엘살바도르,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가나, 이집트, 튀니지, 파키스탄을 꼽았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이와 관련해 “신흥시장 국가의 30%, 저소득국의 60%가 채무 곤경에 빠졌거나 빠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IMF의 구제금융을 받는 나라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부채 급증과 물가 폭등, 외환보유액 감소 등으로 경제위기에 처한 파키스탄은 지난 5월 말 외화 절약을 위해 자동차 등 비필수 사치품의 수입을 금지했고 IMF에서 11억7000만달러(1조5502억원)를 추가로 지원받기로 합의했다.

국제통화기금(IMF). AP연합뉴스

앞서 네팔은 외화 부족이 심각해지자 자동차와 술, 담배, 다이아몬드 등 비필수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방글라데시는 외환보유액 부족에 따라 IMF와 40억∼45억달러(5조3000억∼5조9625억원) 규모의 구제금융 협상에 나섰다.

신흥국은 선진국의 통화긴축 여파로 차입 비용이 늘어나는 등 자금조달 환경이 나빠지고 외채 상환 부담은 커지는 이중고에 직면했다. 국제금융협회(IIF)가 20개 신흥국을 조사한 결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달러 표시 부채 비율은 올해 1분기 평균 24.6%로 2019년 말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신흥국 채권·주식 시장에서는 6월에 40억달러가 순유출되는 등 넉 달 연속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지난 13일 “달러화 강세와 함께 이미 신흥시장에서 투자금이 유출되고 있다”며 추가 유출을 걱정했다.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이 원인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 글로벌 기업도 달러화 강세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NYT는 “세계 주요 증시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애플과 다른 기술 대기업들은 몇 주 뒤 재무제표를 발표할 때 달러 강세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며 “애플 매출의 60% 이상은 해외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투자업체 이토로 시장전문가 벤 레이들러는 달러 가치 상승 때문에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의 이익이 5%, 약 1000억달러(132조5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는 주된 이유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전 세계 어느 중앙은행보다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최근 들어 물가 상승을 억제해야 한다며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연준이 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것이 기정사실화됐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P연합뉴스

긴축에 따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증시와 채권시장에서 투자금이 달러로 환전돼 미국으로 들어가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덕분에 달러는 금값이 급락하는 상황에도 계속 치솟아 최고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경기 부진, 유럽의 에너지난, 일본의 엔저 전략,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전략에 따른 공급 차질, 글로벌 인플레이션 지속에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는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카맥샤 트리베디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골드만삭스 시장조사그룹 공동 책임자는 NYT에 “현재로서는 달러가 가장 먼저 거래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워렌버핏처럼 가치투자하기 by 최준철

이 책은 서울대 투자연구회 출신 저자들이 체험하고 증명한 가치투자의 방법론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투자에 입문하는 초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치투자의 정의, 가치주 발굴법, 매수 매도 타이밍, 테마 투자 전략 등을 보여주며 한국형 가치투자의 방법을 제시한다.

A theory of adaptation linda hutcheon ebook login Project decisions the art and science ebook collection You are attempting to access this page via a webhosting account scripted access to public pages is not allowed. you are accessing the web via a proxy. if you are using a public proxy, you may wish to switch to another or disable it. if you believe your isp is using a transparent proxy, please let us know. you or someone on your network is running a bot to crawl our site. please contact your network administrator if you believe this to be the case. Rachel vincent the stars never rise epub file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김성수
    • 승인 2022.07.14 15:43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김성수 에기평 PD

      ▲김성수 에기평 PD

      [이투뉴스/김성수]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석유대체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우리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일상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에너지다. 바이오에너지의 원료는 주로 에너지작물, 목질계 바이오매스, 유기성 폐기물 등 대부분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매스(biomass)는 열과 전기, 가스를 생산하고 바이오연료(biofuel)는 수송용 경유와 발전용 중유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재생에너지 보급은 주민 반대와 계통 부족, 그리고 좁은 국토에 많은 토지를 점유해야 하는 수용성 한계로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태양광, 풍력은 변동성 전원(VRE)으로 전력계통의 관성 저하, 출력제한 등 전기품질과 신뢰도 위험을 증가시킨다.

      바이오에너지는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할 대안에너지로 평가받고 있다. 환경보호,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인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열과 전력, 가스를 공급하거나 운송을 위한 연료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유연성은 에너지전환 따른 전원믹스의 합리적 구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는 기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과 최종 사용자 설비를 사용할 수 있고, 물성개선(drop-in)을 거친 바이오연료는 기존의 오일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유통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유럽연합(EU)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으면서 화석연료 수입 의존(러시아에서 가스 40%, 원유 25%가량 수입)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한 조치를 시행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절약을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의 핵심적 수단으로 채택했다. 특히 바이오에너지는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가격이 안정적이고 재생에너지의 계절적 변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을 정책 우선순위에 반영하기로 하였다.

      2020년 기준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서 바이오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31.5%(389만toe, 석유환산톤)였다. 2019년부터 1위 자리를 내주기는 했지만 여전히 태양광(415만toe) 다음으로 점유율이 높다. 전력만 놓고 보더라도 9.9TWh 생산으로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43.1TWh)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에너지의 이론적 잠재량이 2900만toe인 점을 감안하면 약 13%의 이용률로 가용 잠재량이 매우 높은 편이다.

      에너지원별로는 그동안 큰 비중을 차지하던 목재펠릿이나 우드 칩 등의 고체연료의 비중은 점차 낮아지고 수송용 경유에 혼합하는 바이오디젤의의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재생연료혼합의무화(RFS)의 단계적 상향(2022년 3.5%→2030년 8.0%, 잠정)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국제적으로도 전통적인 요리와 난방 등에 사용하는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바이오가스와 바이오연료와 같은 현대적 이용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체 수송에너지의 약 3.5% 점유하고 있는 바이오연료는 가솔린 혼합 바이오에탄올(국내 미도입) 비중이 가장 높다. 그다음으로 경유에 혼합하는 바이오디젤의 비중이 25.7%이다. 수송용 바이오연료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약 5% 정도 생산량이 감소했음에도 차세대 연료인 수첨바이오연료(HVO, Hydrotreated Vegetable Oil)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는 2011년에 비해 36% 증가한 95억 리터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문이다. HVO는 식물성 유지(콩기름, 팜유 등)를 수소화 반응으로 전환하여 얻어지는 디젤과 유사한 연료이다.

      ▲바이오에너지 공급 예측 (출처-Net Zero by 2050 (IEA 2021))

      ▲바이오에너지 공급 예측 (출처-Net Zero by 2050 (IEA 2021))

      ▲바이오연료 생산 전망 (출처-GSR 2022 (REN21))

      ▲바이오연료 생산 전망 (출처-GSR 2022 (REN21))

      HVO는 기존 바이오디젤의 제조방식(FAME,에스테르화)과는 달리 기존 물질의 분자결합에 수소(H2) 첨가로 산소를 제거하여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연료 생산이 가능하다. 주로 클린디젤이나 항공유(bio jet), 플라스틱 대체 원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원료로 각종 에너지원과 화학소재를 생산하는 화이트바이오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높은 바이오연료이다.

      특히 항공유는 전기화가 가장 어려운 분야로 친환경 연료의 개발이 필요이다. 최근 EU 국가를 중심으로 친환경 지속가능한 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를 혼합하는 규정을 제정하였다. 혼합비율은 2025년 2%에서부터 시작하여 2050년 63%까지 혼합비율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혼합의무를 항공사가 아닌 급유 공항(EU발 모든 항공기)에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50년 항공 분야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의 대부분이 SAF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 다음으로는 친환경 합성연료(녹색 수소를 기반으로 한 Power to Liquid, PtL), 전기화와 효율 향상, 그리고 항공교통 관리 최적화를 통해 달성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을 두고 글로벌 정유, 석유화학기업은 물론 국내기업 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핀란드 네스테오일(Neste Oil)이 가장 큰 바이오에너지 제조업체로 에너지밀도가 높은 순수 탄화수소 제조 기술(NEXBTL)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다국적 정유사인 BP, 쉘, 엑슨모빌, 쉐브론 등도 바이오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기업들도 글로벌 선진사와의 기술제휴 등을 통해 시장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에너지를 둘러싼 논쟁은 여전하다. 산림벌채와 경작지 파괴, 팜유의 환경성 논란, 목재 이용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부정 등의 다양한 이슈가 그것이다. 바이오연료는 에너지작물(에탄올의 경우 옥수수와 사탕수수, 바이오디젤의 경우 팜유 등) 재배를 위한 넓은 면적의 경작지가 필요하다. 과도한 바이오 작물(Crop based feedstocks, 1세대 원료) 생산은 식량과의 경합, 토지이용의 변화에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따른 환경과 생태계 변화 등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특성화된 에너지작물의 재배가 필요하다.

      목재 부산물 등(2세대 원료)을 이용하는 바이오매스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에서 탄소흡수와 배출의 상호작용으로 탄소중립을 인정(이중 산정 금지원칙)하고, 녹색산업 분류 그린택소노미(Green Taxonomy)에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BE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적용으로 전 과정에 대한 순 마이너스(Net negative) 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EU, 미국(EPA)에서도 바이오에너지가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 기준(Sustainability criteria)을 제정하였다. 이 기준은 경작, 가공, 수송 등을 모두 포함한 생애주기(LCA)를 고려한 지속 가능 요건을 설정해 이를 충족하는 바이오에너지만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있다.

      최근 이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해수나 담수에서 수생 재배된 조류(藻類, Algae)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원료(3세대 원료)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단세포인 미세조류는 대기나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와 물,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삼기 때문에 대규모 경작지가 필요 없고, 탄소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미세조류는 바이오에너지의 가장 큰 장애물인 친환경 바이오 원료 부족을 극복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광물화,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섬유 등 바이오 리파이너리 분야로의 폭넓은 범위 확장도 가능하다.

      정부에서도 정유, 석유화학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 전략으로 2023년부터 미세조류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친환경 바이오 원료 생산 기술개발(개발기간 4년, 정부지원금 185억원, 잠정)에 본격 착수한다.

      ▲차세대 친환경 바이오 원료 생산 R&D 계획

      ▲차세대 친환경 바이오 원료 생산 R&D 계획

      또한 가축분뇨 등을 고체연료로 제조하는 기술개발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가축분뇨의 농경지 살포 등으로 토양의 양분수지가 OECD국가 중 질소 1위, 인 2위를 나타내고 있다. 수질오염과 악취의 주요 비점오염원이기도 하다.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한 고체연료는 국내 바이오 혼소발전(유연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제도화 연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목재펠릿의 수입 대체로 국내 바이오매스 산업 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밖에도 목재, 가축분뇨 등을 산소가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없는 환경에서 350℃ 이상으로 열분해반응 공정을 이용하야 만드는 바이오 차(bio-char) 생산도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 차 내 탄소는 안정된 형태로 배열되고 반영구적으로 저장(고정)되어 온실가스 감축(바이오 차 1t≒2tCO2eq 감축)에 기여한다. 생산된 바이오 차는 농가에 토양개량제, 고체연료, 축사 깔 집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향후 바이오에너지 부문에서 예상되는 큰 변화는 3세대 바이오매스의 성장과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기술혁신이다. 바이오에너지는 이제는 버려지는 에너지가 아니라 산업혁신을 이끌어갈 가치산업으로 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표준에 맞추어 온실가스 감축, 생물다양성 보호, 자원순환 등에 기여하는 한편, 식량 경합성이나 토지용도 변경 등이 없는 방향으로 이용되도록 기술개발과 지원정책(RPS, RFS)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통해 2050 탄소중립 이행 수단을 확보하고, 기술경쟁력으로 바탕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성장전략을 새롭게 짜야 한다.

      김성수 에너지기술평가원 신재생에너지융합PD

      김성수

      3차외부필자일때 프로필사진 노출x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