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ular camera set-up from Photonfocus
All Photonfocus camera models are based on a well thought-out modular system that allows for quick integration of both proven and new technologies. Simply select the components needed for your inspection task to get an industrial-grade 초고속 플랫폼 camera that optimally meets your requirements.
We offer standard camera models for many applications, but in certain cases standard level components are not sufficient and a specific sensor or algorithm is needed. Based on our camera development knowledge, we are open to designing a custom camera to your specifications.
With more then 20 yea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camera and CMOS sensor design, Photonfocus is a true pioneer in the field of machine vision and imaging.
Contact us and discuss your project with the modular camera experts!
초고속 통합 파일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미래를 앞당기는 5가지 트렌드
초고속 파일과 초고속 오브젝트의 통합을 추진하는 초고속 통합 파일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UFFO)에 관심을 갖는 애널리스트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퓨어스토리지는 UFFO가 스토리지의 미래라고 확신합니다.
Matt Burr is Vice President and General Manager of FlashBlade, responsible for product, market and messaging strategy.
퓨어스토리지는 최근 흥미롭고 특별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우선 FlashBlade® 팀은 매우 바쁜 시간을 보냈습니다. 퓨어스토리지는 고객들에게 Cohesity 기반의 FlashRecover™(영문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Cohesity와의 파트너십을 확장했습니다. 또한, 퓨어스토리지는 [email protected]과 협력하여(영문자료) 코로나19 극복을 지원해왔습니다. 그리고 현대적인 스토리지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인 ‘UFFO’를 선보였습니다.
초고속 통합 파일 및 오브젝트(Unified Fast File and Object, UFFO; 영문자료)는 초고속 파일 스토리지와 초고속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합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점점 더 주목하고 있는 트렌드로, 미래는 UFFO의 시대가 될 것입니다.
FlashBlade를 초고속 파일 또는 초고속 오브젝트에 사용하는 조직이 아직까지는 초고속 파일과 초고속 오브젝트 모두에 사용하는 조직보다 많지만, ‘둘 다’에 사용하는 조직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대다수의 고객들이 UFFO에 FlashBlade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이며, 업계 전반에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5가지 요소가 파일과 오브젝트를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퓨어스토리지의 경우, 한 플랫폼 내에 별도의 네임스페이스를 둡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적인 설명은 FlashBlade의 수석 아키텍트 이고르 오스트로프스키(Igor Ostrovsky)의 파일과 오브젝트 모두를 저장하는 시스템 설계(영문자료)를 참조하십시오.
각 요소는 현재 기업들이 직면한 현대적인 데이터의 도전과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 머신 생성 데이터: 머신으로 생성된 데이터가 증가하면서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한 실시간 인사이트와 상관 관계 수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초고속 플랫폼 있습니다. 그 예로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스플렁크(Splunk), 버티카(Vertica)를 들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재사용: 분석과 인공지능(이하 AI)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재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데이터를 더 많이 활용하려는 경우, 모든 잠재적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복사하는 대신 FlashBlade를 중앙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요구 사항: 기술 컴퓨팅 및 머신 러닝 환경에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요구합니다. FlashBlade의 대규모 병렬 아키텍처는 이러한 성능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 초고속 오브젝트의 확산: 성능은 모든 AI 및 분석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머신 러닝 및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우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해주는 고속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랜섬웨어 공격: 랜섬웨어가 민간 및 공공 부문 모두에게 커다란 도전과제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퓨어스토리지는 업계 최고의 데이터 보호 공급업체와 협력해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공격 발생 시 변경 불가능한 백업 데이터의 복사본으로 신속하게 복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도전과제들이 현대적인 데이터의 초고속 플랫폼 미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떤 기업은 초고속 파일 스토리지를 필요로 하고, 어떤 기업은 초고속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필요로 하며, 또 어떤 기업은 둘 다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조만간 대부분의 조직은 초고속 파일 스토리지와 초고속 오브젝트 스토리지가 모두를 필요로 하는 일련의 과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다양한 워크로드를 단일 스토리지 플랫폼에 통합하면, 현재는 물론 미래의 도전과제까지 해결하여 투자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일로를 제거하면 데이터센터(전력/공간/냉각)와 인프라 팀(전문가가 필요한 사일로 감소)에서 모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워크로드가 요구하는 다차원적인 성능을 갖춘 초고속 파일 스토리지와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모두 제공하는 단일 플랫폼, 초고속 플랫폼 그리고 아키텍처 및 관리편의성에 중점을 두는 플랫폼은 지금까지 시도된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퓨어스토리지가 잡으려고 하는 기회입니다.
IDC의 에릭 버게너(Eric Burgener)는 초고속 통합 파일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대한 최근의 한 시장 조사(영문자료)에서 FlashBlade 플랫폼에 대한 퓨어의 접근 방식을 ‘올바른 통합 초고속 플랫폼 스토리지’라고 칭했습니다. 그는 퓨어스토리지가 네이티브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는 것은 FlashBlade가 진정한 공유 스토리지 풀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이 일부 경쟁업체가 사용하는 고정적인 방법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결과물을 보면 기다릴만한 가치가 충분이 있습니다. IDC에 따르면, 퓨어스토리지의 접근 방식은 통합 스토리지에 대해 더 나은 가치 제안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든다는 것은 힘든 일이고, 하룻밤 사이에 가능하지는 않지만, 퓨어스토리지는 UFFO로 바로 이러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업계 최고의 기술 팀 덕분에 퓨어스토리지는 FlashBlade를 통해 이미 짧은 시간 내에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퓨어스토리지는 항상 고객을 중심으로 미래를 내다보며 지속적으로 스스로의 한계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UFFO는 이러한 퓨어의 사고방식을 잘 보여줍니다.
이 새로운 스토리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퓨어스토리지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여러분의 의견은 매우 중요합니다.
[팜뉴스=최선재 기자] 미국이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10년 전, 식물을 이용한 초고속 백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 사례가 소개됐다.
손은주 바이오앱 대표이사는 28일 온라인을 통해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코리아 2021’에서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이 생기거나 위험한 질병이 생겼을 때 반응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에 대한 고민 속에서 식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부 의지와 관심”이라며 “특히 미국은 2010년 다파 블루 엔제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팬데믹 발생 시 한 달 안에 얼마나 많은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지 검증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손 대표는 “국가에서 400억 정도 투자를 하면서 1000만명의 사람한테 바로 주사할 수 있는 백신 항원 원료물질을 개발하라는 것”이라며 “당시 학교보다는 기업에서는 주로 많이 참여했는데 이때 캔터키 바이오 프로세싱이란 회사도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회사는 프로젝트를 통해 GMP를 손보고 규제도 정비하고 있었다”며 “그런데 2014년 에볼라가 터지면서 결국 식물에서 생산한 에볼라 치료 항체를 정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두 사람에게 치료해서 회복됐다”고 강조했다.
손 대표는 “우리 국방부도 지금 저희와 얘기 나누고 있는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렇게 국가의 관심이 이어진다면 이른바 ‘그린 백신’을 맞는 날이 머지 않아 올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성백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사장은 “미국에서는 국방 프로젝트로 20년 전부터 기업을 지원해왔다”며 “팬데믹을 바이러스와의 전쟁이라는 국방의 개념으로 해석한 것이다. 우리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 전기차 초고속 충전소 '이피트'에 차세대 서비스 플랫폼 적용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적용한 ‘이피트(E-pit)’로 전기차 충전 생태계 성장에 앞장선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고객 편의 확대와 충전 사업자 육성을 위해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해 전국 ‘이피트’에 적용하고 충전 사업자에게 개방해 국내 충전 생태계의 질적ㆍ양적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이피트는 전기차 충전 편의성을 높이고 국내 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이 구축한 초고속 플랫폼 전기차 초고속 충전소로, 출력량 기준 국내 최고 수준인 350kW급 초고속 충전설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4월 공식 출시한 이피트는 가입 회원이 4만 명에 육박하는 등 국내 대표 전기차 충전 서비스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LG에너지솔루션, 예상 뛰어넘는 실적…2분기 실적 개선 기대" - 현대차증권
- 安 위원장 만난 현대차 정의선 “모빌리티 통해 국가혁신 기여할 것”
- 1분기에 판매된 현대차ㆍ기아 20%가 친환경차…역대 최대 비중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충전소 운영을 위한 관제 시스템 △충전사업자와 회원간 충전 중개를 위한 로밍 초고속 플랫폼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중장기적으로 국내 전기차 충전 사업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존 충전 사업자들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활용 시 서비스 개발과 운영 부담이 줄어 효율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하며, 신규 사업자들은 충전 시장 진입이 한층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이 적용된 이피트는 △회원가입 및 차량등록 절차 간소화 △블루/기아 멤버스 포인트 전환 후 사용하던 방식을 실시간 차감 방식으로 초고속 플랫폼 개선 △충전소 정보 고도화 및 고장 최소화 등으로 안정적 충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향후에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 개편해 △제휴사별 충전회원카드가 없어도 이피트 회원이면 제휴 충전소에서도 유사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 △유연한 요금제 △멤버십 패스 생성으로 충전 요금 추가 할인 혜택 △요금 지급 가능한 제휴 포인트 확대 등 고객 편의를 증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11일 안성휴게소(서울 방향)를 시작으로 15일까지 차례로 이피트 운영을 재개하며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기존 충전소에 더해 신규 개소 예정인 충전소에도 적용해 이피트만의 프리미엄 충전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이달 내 제주도 지역 최초로 ‘제주 새빌 이피트’를 개소할 예정이며 상반기 중 △마포 △판교 △광명 등 주요 도심지에 이피트를 개소하는 초고속 플랫폼 등 인구 50만 명 이상 주요 도심지에 지속해서 구축해 전기차 충전 생태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올해부터 다양한 사업자와 추가적인 제휴 모델을 개발해 초고속 충전기 확대 보급을 전면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피트는 지난해 출시 후 전기차 충전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을 개선하고 충전 인프라 확대를 견인했다”며 “신규 개발한 충전 서비스 플랫폼 출시와 지속적인 충전 인프라 확장으로 충전 생태계 질적ㆍ양적 성장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초고속 플랫폼
[인포스탁데일리=(시카고)이지선 기자] 미국의 케이블 사업자이자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회사 '차터 커뮤니케이션(CHTR)'과 '컴캐스트(CMCSA)'가 4K 스트리밍 기기와 스마트 TV를 위한 차세대 스트리밍 플랫폼을 개발을 위해 50대50 투자 합작법인을 구성했다.
컴캐스트와 차터는 커뮤니케이션은 미국 최대 국내 가정용 초고속 플랫폼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총 사용자 수는 약 2억명으로 추산된다. 컴캐스트는 자사의 플렉스 스트리밍 플랫폼을 미 전역에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컴케스트는 차터스 커뮤니케이션이 플랙스 라이선스를 제공해 차터 커뮤니케이션 고객들이 플랙스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컴케스트는 자사 스마트 텔레비젼 사업(XClass)과 프리에드 서포티드(광고 시청 후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받는)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을 합작법인과 공유하게 된다.
플렉스(FLEX), 사진=컴캐스트 홈페이지
차터 커뮤니케이션을 플랙스 허가권과 사업권을 받는 조건으로 초기 자본금 9억 달러를 제공하게 된다. 오는 2023년부터는 플렉스 작동장치 및 관련 음성 제어 리모컨도 제공할 예정이다. 플렉스는 새로 출시된 상품은 아니지만,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잠재적 사용자 수가 두배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