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제안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Facebook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на Facebook. Если вам интересны новости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на Facebook сегодня!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창업, 사업계획서, 투자/상품제안서, 홈페이지, 발표자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실제 투자받은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잘 만든 사업계획서를 참조하는 것이 사업계획서를 만드는데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사업계획서 작성법, 내용 구성, 흐름 등을 참고하시기에 적합합니다. 가시성 있는 문서 작성에 대한 노하우가 담겨있습니다.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정부지원사업, 아이디어는 있는데 문서로 만들자니 막막하신가요?" "합격했던 투자 제안서 자료들을 보고싶은데 어디서 구해야 할 지 모르시겠다구요?"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창업도약패키지, 디딤돌창업과제, 재도전 성공패키지 등 다양한 정부지원 과제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상품입니다.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정부지원사업, 아이디어는 있는데 문서로 만들자니 막막하신가요?" "합격했던 자료들을 보고싶은데 어디서 구해야 할 지 모르시겠다구요?" 예비창업패키지, 투자 제안서 초기창업패키지, 창업도약패키지, 디딤돌창업과제, 재도전 성공패키지 등 다양한 정부지원 과제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상품입니다.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 Wix 윅스 홈페이지, 파워포인트 제작전문업체 - 스타트업에이치알디

"실제 투자받은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잘 만든 사업계획서를 참조하는 것이 사업계획서를 만드는데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샘플자료가 왜 필요한가요?
1. 내용 구성 및 기획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2. 일반적인 사항을 내 회사에 맞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 제안스토리는 어떤 구조로 만들어야 할까?

투자 제안에 있어서 제안스토리의 첫단계인 비즈라인은 사업을 한눈에 보여주고, 시선을 잡는 첫인상을 만든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인상 깊은 시작이 정말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전부는 아닙니다. 투자제안의 상세 내용까지 계속해서 관심을 끌고 가야 합니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나 제안스토리의 구조를 잘 세우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어떻게 하면 보다 쉽게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을까요?

스토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투자제안서(IR deck)의 기본 골격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을 알아야 응용이 되니까요. 투자제안서(IR deck 또는 사업계획서)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관련 도서나 블로그 등을 통해 전문적인 의견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면서 잘 정리된 것은 세쿼이아 캐피탈에서 투자 제안서 제공하는 비즈니스 플랜 가이드(https://www.sequoiacap.com/article/writing-a-business-plan/) 입니다. 10가지로 된 투자제안의 골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pany purpose Start here: define your company in 투자 제안서 a single declarative sentence. This is harder than it looks. It’s easy to get caught up listing features instead of communicating your mission.

Problem Describe the pain of your customer. How is this addressed today and what are the shortcomings to current solutions.

Solution Explain your eureka moment. Why is your value prop unique and compelling? Why will it endure? And where does it go from here?

Why now? The best companies almost always have a clear why now? Nature hates a vacuum—so why hasn’t your solution been built before now?

Market potential Identify your customer and your market. Some of the best companies invent their own markets.

Competition / alternatives Who are your direct and indirect 투자 제안서 competitors. Show that you have a plan to win.

Business model How do you intend to thrive?

Team Tell the story of your founders and key team members.

Financials If you have any, please include.

Vision If all goes well, what will you have built in five years?

투자제안서(IR deck)에 들어가야 할 필수 내용을 10가지로 간단히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을 추가해야 하는 지도 비교적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지요. 많은 투자 제안서 전문가들이 이 가이드를 기반으로 일부 사항의 아이디어를 넣고 빼면서 자신만의 가이드를 만들어 코칭이나 안내를 하기도 합니다. 그만큼 핵심적인 목록을 이야기해야 할 순서에 따라 잘 정리해 놓았다는 반증이겠지요. 우리도 보통 세쿼이아 캐피탈의 가이드를 기초로 한 투자제안서(IR deck) 작성 가이드를 따로 만들어서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이 들 겁니다. 이 가이드가 심플해 보이긴 하지만 다른 사업계획 목차와 별다르게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 가이드에 맞춰 쓰다 보면 뭔가 어색해서 억지로 끼워 맞추듯 써야 하는 부분이 생기기도 하고, 항목에 없는 이야기를 넣어야 할 때도 나옵니다. 가이드는 가이드일 뿐이니 자신의 사업이나 상황에 맞춰 응용해서 쓰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가이드에 맞춰도 또다시 응용해야 한다면 어려운건 마찬가지가 되어 버립니다. 또다시 투자제안서(IR deck)의 스토리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에 대한 답을 찾기는 미궁에 빠져 버리는 셈입니다.

시선스토리랩은 투자를 위한 제안스토리를 보다 쉽게 구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쉽게 투자 제안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그 투자 제안스토리 구조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먼저 짚고 가야할 세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1. 투자 제안스토리의 목적

투자제안서(IR deck)에 제안스토리가 필요한 이유는, 앞서 누누이 강조한 바와 같이, 투자자가 여러분의 사업을 쉽게 이해하고, 인상 깊게 기억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2. 투자 제안스토리의 핵심

투자 제안스토리는 투자자가 원하는 것을 색다르게 보여주기 위한 장치입니다. 비즈라인에서 가장 첫번째 꼽았던 요소가 아이러니였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투자 제안스토리에도 반전이 꼭 필요하고, 그 반전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어 당기게 될 것입니다.

3. 투자 제안스토리의 관점

투자 제안스토리는 솔직한 진심이 담겨 투자 제안서 있어야 합니다. 어떤 꾸며진 스토리도 솔직한 진심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스파크랩스 데모데이 13의 피날레를 장식한 스탠딩톨의 강선영대표는 척추측만증 환자인 자신의 경험 토대로 한 창업스토리를 솔직히 소회함으로써 인상깊고 감동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한 바 있습니다. 데모데이 당시 소개를 맡은 스파크랩스의 이한주파트너는 “창업자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한 스토리에 감동했고, 창업 이유가 너무 명확했기 때문에 망설임 없이 선정했다”고 말했습니다. 특별한 사람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깊은 고민으로 만들어진 모든 사업은 빛나는 스토리가 존재합니다. 지금은 우선 솔직히 써야 한다는 것만 기억하고,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투자 제안서

창업일보는 투자유치를 앞둔 스타트업, 벤처기업, 중소기업 기타 예비 창업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IR 용 사업계획서 잘 쓰는 7가지 방법'에 대해 무료 에세이 강좌를 실시합니다. 따라서 강의용 화법이 녹아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강의는 아래 순서로 진행됩니다. 오늘은 [6강]투자제안은 어떻게 하나?입니다.

[편집자 주]

[1강] 투자자들이 좋아하는 IR이란?
[2강] IR 구성 짜는 방법 및 발표요령 / IR에 들어가야 할 내용
[3강] IR자료 및 사업계획서 작성의 핵심포인트는 뭘까?
[4강] 시장 및 수익모델 발표요령
[5강] 경쟁사 설명하는 방법
[6강] 투자제안은 어떻게 하나?
[7강] 전략적인 회사소개 방법

[특강A]“우리회사는 얼마짜리일까?” [기업가치평가하는 방법]
[특강B] 기업가치 분석과 지분율 계산하기

IR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제안 단계는 투자금액과 투자조건 등 투자자와의 결정적인 협상단계입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까지 이 과정을 위해 달려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 실행여부가 여기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투자제안은 IR의 본질적인 요소, 즉 투자제안 내용이나 투자유치후 재무예측에 대한 내용을 담아 설명하면 됩니다.

이를 쉬운 말로 정리하면 아래에 대한 답변입니다.

“왜 투자를 받으려고 하는가?”
“투자 제안서 필요한 금액은 얼마인가?”
“투자를 받은 후 이 돈을 어디에, 얼마나, 어떻게 쓸 것인가?”

등에 대한 답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은 아래 3가지 정도로 정리해 두면 좋습니다.

▶계획적인 마일스톤(milestone)을 제시할 것

“올해 하반기까지는 매출액을 얼마를 달성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마케팅, 판촉 등의 비용으로 얼마가 지출될 것이며, 이에 필요한 직원도 몇 명 뽑을 것이므로 때문에 얼마가 필요하다”는 식의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일 어느 정도 규모있는 투자를 받는다면 최소 3년 정도의 재무계획을 밝히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회사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투자자에게 제안해야 합니다.

본인 생각에 우리회사가 이만큼은 되겠지? 하고 막연하게 지레짐작은 금물입니다. 정확한 데이터를 에누리 없는 가치평가가 필요합니다.

기업가치평가에 대해서는 [특강] 부분에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성]과 [절박성]입니다.

투자역시 일종의 협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한마디로 거래라는 것이지요. 거래에는 투명성과 믿음이 전제돼야 합니다. 허위로 자료를 제작하거나 허황된 비전을 강권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투자자들은 해당분야의 권위자입니다. 그들은 얼마나 많은 기업들을 만나봤겠습니까?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믿음을 보여줘야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사업에 대한 절박성도 보여줘야 합니다. 이 돈을 받아도 되고, 받지 않아도 그만이라는 식의 태도는 현재 거론되고 있는 투자계약도 성사되기 어렵겠지만 앞으로도 힘들 것이 분명합니다. 왜냐하면 투자자들간에도 네트워킹이 형성되어 있어 거만하거나 절박성이 보이지 않는 사업가에게 투자할 사람은 없거든요.

투자 제안서





처음 써보는 투자제안서. 한번도 써보지 않아 어떻게 써 나가야 할지 모르시겠다면 꼭 한번 참고하시고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업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바로 ‘투자’입니다. 물론, 투자란 것이 시간이나 능력, 정성에 대한 투자일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대부분이 사업에서 필요한 자본에 대한 투자를 말합니다.

투자제안서를 작성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부분은 바로 ‘내가 왜 이 투자를 제안하는가?’에 대한 부분과, ‘상대방이 왜 이 사업에 투자를 해야하는가?’라는 부분입니다.

투자를 제안하는 이유는 바로 자사 사업의 정체성과 비전이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을 말하며, 상대방이 이 사업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그 비전에 공감을 하고 그로 인해 직접적인 이익이 생긴다는 것을 확신시켜주어야 합니다.


투자제안서를 작성할 때에는, 상대방에게 우리 회사에 대한 내용과 우리 사업에 대한 내용, 기대되는 이익과 효과에 대해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 비즈니스에서는 항상 시간과 효율을 중요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안서의 첫 부분에 딱 한페이지로 제안서의 핵심부분을 알아볼 수 있는 요약 내용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러분이 원하는 투자자가 해당 사업분야에 대해서는 지식이 없는 경우도 충분히 있습니다.

원페이지 요약본을 통해 그 내용들의 핵심을 알려주는 동시에 제안서에 대한 상대방의 흥미와 관심을 끌게 된다면, 그 제안서는 더 효과적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1. 회사소개

어떠한 사람과 함께 일을 할 때에는 먼저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상대방은 누구인지, 어디 소속이고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알아야 하는 것과 같이 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회사소개는 회사의 개요와 연혁 등 회사이름, 대표자명, 사업자번호나 사업장위치 등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내용부터 진행중인 주요 사업내용들을 보여주고 이후에 회사와 이 사업들의 비전에 대하여 말해줍니다.

연혁을 적을 때에는 연도별로 정리를 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들을 연혁에 너무 많이 채워 넣는다면 마치, 내실은 없지만 몸집만 늘리기 위해 두서없이 나열한 것 같아 보이고 그 전달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번 사업과 투자에 관련한 내용을 위주로 적어나가도록 합니다.

비전은 회사의 목표와 방향성을 말해주며 행동에 대한 부분도 알려줍니다. 명확한 비전을 전달하여 상대방이 투자에 대한 이유를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일차원적으로는 이익을 남기려고 투자한다는 것이 당연하지만 왜 하필 이 사업에 투자를 해서 이익을 남길지에 대한 이유를 말해주는 첫 단계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2. 사업소개

본격적인 제안의 시작입니다. 투자를 받고 싶은 사업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 부분이 됩니다.

[ 사업개요 ]
사업에 대한 내용설명, 사업의 동기나 배경, 사업의 목표 등을 보여줍니다.

[ 상황분석 ]
사업의 사업성에 대한 부분입니다. 사업성은 사업을 하기에 적합한지 그 가치성을 따지는 것입니다. 철저한 상황분석으로 사업성을 증명해 내야 합니다.

해당시장의 규모나 성장, 소비자의 수요, 시장 내에서의 경쟁력 등을 객관적인 자료로 분석해 가능성 있고 가치가 있음을 논리적으로 증명해내야 합니다.

[ 수익모델 ]
해당 사업이 어떠한 구조로 매출을 내고 이익을 내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줍니다. 수익모델은 투자했을 때 어떤 방식으로 나온 수익이 발생하는지를 설명해 주는 부분이 됩니다 .

3. 사업운영전략

이제 사업진행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 이야기 할 차례입니다.

[ 개발 / 운영 계획 ]
이 단계에서는 정확한 제품, 기술, 아이템에 대한 개발계획과 운영계획이 들어갑니다.

[ 조직 / 인원 운용 ]
사업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부서와 팀이 어떤 역할을 하는 몇 명의 인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지에 대한 계획입니다.

[ 일정계획 ]
시간에 따라서 사업추진을 어떤 식으로 해나갈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일정을 구분할 때, 단기적인 계획과 장기적인 구분으로 나눌 수 있고 상대적인 일정에 따라 연도별, 분기별, 월별, 주별 등 세세하게 시간계획도 함께 구상하시면 좋습니다.

일정계획은 구체적 목표와 함께, 목표달성을 위한 중간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완료하는 내용과 시간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 마케팅전략 ]
해당 사업의 모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분량에 따라 광고계획이나 프로모션계획 등을 나누어도 좋습니다. 각 분야별로 시기와 방법들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으로 효과를 극대화 시킬 방안을 제시하는 부분입니다.

4. 투자수익계획

여기서부터는 정말 투자자들만을 위한 공간입니다. 투자자들이 기억해야 할 부분이고 직접적인 금액이나 조건이 오가는 부분이므로 신경 쓰셔야 합니다.

[ 투자유치 개요 ]
투자유치 대상과 그 금액, 유치방법과 회수방법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 지분 및 수익 배분 ]
투자금에 따른 지분의 배정이 어떻게 되는지를 말해주고, 그 지분에 따라 어떤 식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 수익배분 방식들을 알려줍니다.

[ 투자수익전망 ]
앞서서 말했던 부분들을 통해서 다시 한번 사업성을 이야기 해주고, 기간이나 상황에 따라 예상되는 수익을 말해주는데 이때, 내용을 도식화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하고 두드러지는 성과들은 더욱 부각시켜 투자를 설득해야 합니다.

[ 자금활용계획 ]
투자금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여 사업을 진행할 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물론,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시만 투자자에게는 자신의 자본이 어떤 식으로 운용되는지 알게 된다면 더욱 신뢰가 가능해집니다.

[ 재무제표 및 손익계산 ]
돈계산은 철저하게! 측정 해야하는 모든 비용의 항목의 재무제표와 예상 손익에 대하여 계산해 알려주어야 투자에 공감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투자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을 신경 써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사업에 대한 이해목적이 뚜렷하고 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있다면 어렵지않게 투자유치도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 제안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뉴스앤잡
  • 승인 2021.03.22 10:02
  • 댓글 0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 및 투자제안서의 작성원칙과 주안점! IR 등 직접적인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제안서를 작성하거나 또는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를 작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과 원칙별 세부적인 유의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투자유치의 성공확률에 보다 더 근접할 수 있는 투자제안서와 투자유치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작성 시 주요 유의하여야 할 주안점은 무엇이며, 중요 원칙들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컨셉과 방향을 잡고서 투자제안서나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경영능력이 투자결정의 주요 요인이다.

얼마전 '사람이 먼저다'라는 한 대통령 후보의 선거캠페인 문구처럼 투자유치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에서도 마찬가지다. 인사노무, 생산, 재무, 마케팅 이러한 경영의 하부시스템을 움직이고 방향을 잡는 것은 기계가 아닌 바로 CEO 및 경영진 그리고 기술진이다. 이러한 경영진들의 특화되고 전문화된 경영능력과 경험, 식견, 태도, 경영관, 인생관, 조직관 등 모든 부분이 투자를 하고자하는 잠재 투자자들에게는 사실상 중요한 평가요소가 된다. 아무리 시장성과 기술성, 수익성이 높게 예상되더라도 경영자로서의 능력과 태도가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영능력을 주의깊게 강조해야하는 점은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나, IR 등을 통한 투자제안서 작성시 중요한 원칙 중에 하나이다.

■ 투자 대상기업의 사업 특수성을 선호한다.

즉,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남들과 비슷하거나 치열한 경쟁상품군에서 그저 특이할 만한 사업아이템이 아니라면 투자자들은 큰 관심을 처음부터 보이지 않는다. 특이할 만한 사업아이템이란 경쟁속에서도 남다른 특화되고 차별화된 점이 있거나 아니면 경쟁이 아직 없거나 덜한 잠재시장을 가진 블루오션 사업아이템을 말한다.

따라서 투자대상기업의 사업 아이템이 남다른 시장 및 산업구조와 전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업특수성과 경쟁우위를 강조할 수 있도록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 등)를 작성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원칙이자 핵심내용의 하나이다.

■ 계획사업이 시장 지향적이어야 한다.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은 자사의 추진 사업의 시장규모와 전망, 기술수준 및 트렌드 등을 고려하면서 나름대로의 지속가능한 시장 포지셔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근거가 없거나 막연히 희망적인 낙관만 열거된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는 다른 부분 또는 전체 기업의 이미지와 신뢰를 흐리게 할 수 있다.

■ 투자유치 사업계획서(투자제안서)의 수치는 객관적이여야 한다.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반 다른 투자대안들보다 투자에 따른 기대수익률(투자수익률)이 높아야 한다.그렇다고 재무추정치를 장밋빛으로 물들게 해서는 안된다. 실현가능한 계획을 통한 매출액과 이익 등의 재무수치들을 누가 보더라도 타당성있고 객관적으로 나타내야 한다.

가능하다면 매출 및 이익,손익 등의 산출 및 계산근거를 명기하는 등 투자자들에게 깊은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의 중요한 작성상의 원칙이다.

■ 투자 및 회수방법은 전략적으로 한다.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주머니에서 투자한 금액이 어떤 용도로, 언제 사용되는지 궁금해 한다.그리고 더 중요시 하는 것은 투자 및 회수는 향후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이 그들에게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다. 주식,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코스닥, Buy-back, 자본 및 이익잉여금의 결산 이익배당(무상주, 주식배당) 등 방법이 아주 구체적이지 않더라도 그 윤곽이 어느 정도 분명히 되어 있는것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유의하여 IR 투자제안서 및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