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가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투자의 중심을 잡아줄 나침반과 같은 책
베스트 애널리스트가 설명하는 정통 기술적 분석에 관한 안내서
기술적 분석 1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2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3 캔들차트분석 4 이동평균선분석 5
Presentation on theme: "기술적 분석 1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2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3 캔들차트분석 4 이동평균선분석 5"— Presentation transcript:
2 기술적 분석 1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2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3 캔들차트분석 4 이동평균선분석 5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3 캔들차트분석 4 이동평균선분석 5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6 기술적 분석의 한계 제7장 기술적 분석 2
3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기술적 분석의 의의 기술적 분석의 장점
기술적 분석 :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정형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주가변화의 추세를 찾아내고 미래주가를 예측하는 방법 기술적 분석은 차트분석(chart analysis)이라고도 함 → 주식의 매매시점 파악에 유용한 정보 제공 기술적 분석의 장점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에 비하여 용이하고 기술적 분석의 장점 간단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음 기술적 분석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을 반영하므로 기본적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 제7장 기술적 분석 3
4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기술적 분석의 가정 ■ 주가 움직임에는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 주가는 추세를 가지고 움직인다
■ 추세 및 주가 행태는 반복된다 제7장 기술적 분석 4
5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기본적 분석 :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산업, 그리고 기업의 경영 요인 및 재무요인 등 기본적인 사항을 분석하여 주식의 내재가치를 산정하고 이를 시장가치와 비교함으로써 합리적인 투자판단 자료를 제공하는 분석방법 기술적 분석 : 주식의 매매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과거의 시세 흐름과 패턴을 파악해서 정형화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방법 공통점 :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은 비효율적인 시장을 전제로 증권을 개별적으로 분석 차이점 기술적 분석은 주가가 이론적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에 기초한 분석방법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에 비하여 논리적인 면에서 빈약 기본적 분석은 기술적 분석에 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됨 기본적 분석은 내재가치를 추정하여 증권의 과대(과소)평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반면 기술적 분석은 주가의 동향을 미리 감지하여 매매시점 선정에 유용 제7장 기술적 분석 5
6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다우이론 다우이론(Dow theory) 주식가격의 변동을 이용하여 주식시장의 추세를 예측하는 방법
찰스 다우(Charles Dow)에 의해 주장된 이론으로서, 기술적 분석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분석방법 다우이론은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게 된 계기로 널리 알려짐 주가변동의 유형 단기변동(daily fluctuations) : 매일매일의 주가 움직임 중기변동(secondary movements) : 몇 개월 동안 형성되는 주가의 추세 장기변동(primary trends) : 주변동이라고도 하며, 여러 해에 걸친 증권시장의 흐름 ※ 강세시장(bull market)이나 약세시장(bear market)은 주가의 장기변동에 기초 제7장 기술적 분석 6
7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다우이론(계속)
다우이론의 활용 : 주가의 단기변동보다는 중기변동을 중심으로 미래 주가의 장기추세 및 주식시장의 변화 방향을 예측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고점이 바로 직전의 최고점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장기추세는 하락국면으로 전환 기술적 분석의 장점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저점이 바로 직전의 최저점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장기추세는 상승국면으로 전환 ※ 다우이론은 불임점(abortive point)을 활용하여 미래 증권시장의 장기변동 및 시장의 추세를 예측하는 데 이용 제7장 기술적 분석 7
8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론 : 장기간의 주가흐름 속에서 주가 변동은 일정한 법칙하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인다는 이론. 주가의 순환파동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주가 예측에 유용 엘리어트 파동 주가의 움직임 : 상승추세선을 이루는 5개의 파동과 하락추세선을 이루는 3개의 파동으로 구성 → 주기(cycle) 충격파동(impulse wave) : 주된 추세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 → 1, 3, 5, a, c 파동(5개) 조정파동(corrective wave) : 주된 추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 → 2, 4, b 파동(3개) 낮은 등급의 주기는 한 등급 높은 주기의 1번 및 2번 파동을 구성 → 큰 파동은 수많은 작은 파동으로 구성되며, 수많은 작은 파동은 큰 파동을 구성 제7장 기술적 분석 8
9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제7장 기술적 분석 9
10 캔들차트분석 캔들의 구조 캔들(candle)의 형태 : 직사각형의 몸통(real body)과 몸통 위·아래의 가는 선인
그림자(shadow), 즉 꼬리로 구성 직사각형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 사이의 범위를 나타내며, 그림자는 장중 고가와 저가를 나타냄 → 캔들은 시가, 종가, 고가, 저가의 네 가지 가격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 몸통 위에 있는 그림자를 윗그림자(upper shadow)라 하며, 몸통 아래에 있는 그림자를 아랫그림자(lower shadow) 캔들의 유형 양선(white candle) :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양봉이라 하며, 적색 또는 흰색으로 표시 음선(black candle) : 종가가 시가보다 낮은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음봉이라 하며, 청색 또는 흑색으로 표시 ※ 캔들은 다양한 기간별 주가를 대상으로 적용 : 일봉은 일별 주가를 대상으로 하며, 주봉은 주별 주가, 월봉은 월별 주가를 반영 제7장 기술적 분석 10
11 캔들차트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11
12 캔들차트분석 캔들의 변형된 형태로서 몸통이 매우 작고 캔들을 구성하는 네 가지 가격 중 두 가지 또는 세 가지가 같거나 비슷한 경우를 나타낸 것 캔들의 구조 : 도지 제7장 기술적 분석 12
13 캔들차트분석 캔들차트를 이용한 기초적 분석에서는 주로 1-2개의 캔들을 이용한 분석에 해당하나, 이후 소개할 패턴분석에서는 3개 이상의 캔들을 대상으로 함 캔들차트를 이용한 기초적 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13
14 캔들차트분석 캔들차트를 이용한 기초적 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14
15 캔들차트분석 캔들차트를 이용한 기초적 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15
16 캔들차트분석 캔들차트를 이용한 기초적 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16
17 캔들차트분석 캔들차트를 이용한 패턴 분석 전환형 패턴 : 시세의 방향이 바뀌고 있다는 신호를 파악하는 데 유용
- 헤드 앤 쇼울더형, 이중천장형, 원형천장형 등 지속형 패턴 : 시세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신호를 파악하는 기술적 분석의 장점 데 유용 - 삼각형, 깃발형, 패넌트형 등 제7장 기술적 분석 17
18 캔들차트분석 전환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18
19 캔들차트분석 전환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19
20 캔들차트분석 전환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20
21 캔들차트분석 전환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21
22 캔들차트분석 지속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22
23 캔들차트분석 지속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23
24 캔들차트분석 지속형 패턴 제7장 기술적 분석 24
25 이동평균선분석 이동평균선의 의의 여기서 MAt : t시점에서 N일간의 이동평균값
이동평균선분석(moving average line analysis) : 일정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주가흐름을 확인하고, 이것이 현재주가의 진행방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주가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 이동평균선의 의의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line) : 일정기간 동안 형성된 주가들의 평균값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나타낸 것 이동평균값 여기서 MAt : t시점에서 N일간의 이동평균값 Pt-k : t-k시점에서의 주가 (k=0, 1, …, N-1) 제7장 기술적 분석 25
26 이동평균선분석 이동평균선의 특징 이동평균선은 주가가 연속적으로 변동하는 상황에서 주가의 흐름을 일관성 있게 제시할 뿐만 아니라 주가의 추세를 하나의 대표되는 값으로 나타냄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5일과 20일 이동평균선은 단기, 60일 이동평균선은 중기, 120일 또는 200일 이동평균선은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분류 이동평균선에는 기간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어 기간별로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님 단기 이동평균선은 중·장기 이동평균선에 비하여 시장가격에 민감하므로 후행성(time lag)을 줄일 수 있으나 추세반영에 있어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 지님 이동평균선분석에서는 한 종류의 이동평균선만을 사용하기보다는, 단기, 중기, 장기이동평균선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제7장 기술적 분석 26
27 이동평균선분석 이동편균선을 이용한 매매기법 지지선과 저항선 분석
지지선 : 가격하락을 주도하던 매도세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매수세가 강해져 추가 하락을 저지해 주는 시장가격 수준 (주가흐름에서 나타난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직선) 저항선 : 지지선의 반대개념으로 시장가격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하여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수준(주가흐름에서 나타난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직선) 저항선은 하락추세에서, 지지선은 상승추세에서 형성되며 이러한 저항선과 지지선은 추세선의 역할도 함 기존의 저항선 및 지지선 돌파시 추세전환의 신호로 볼 수 있음(기존의 저항선은 지지선, 기존의 지지선은 저항선의 역할을 함) 제7장 기술적 분석 27
28 이동평균선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28
29 이동평균선분석 제7장 기술적 분석 29
30 이동평균선분석 배열도 분석 정배열 전환 : 주가상승 추세로 전환 매수신호 역배열 전환 : 주가하락 추세로 전환 매도신호
제7장 기술적 분석 30
31 이동평균선분석 교차 분석 골든크로스(golden cross) : 매수신호 데드크로스(dead cross) : 매도신호
제7장 기술적 분석 31
32 이동평균선분석 추세 분석 추세 : 주가의 일관된 움직임을 보이면서 고점과 저점을 형성하는 것
상승추세선 : 상승장세에서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 → 지지선 하락추세선 : 하락장세에서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선 → 저항선 제7장 기술적 분석 32
33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상대강도지수 가격변동 중 상승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그 기간의 가격변동액 중 상승액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상대강도지수 여기서 AU : 일정기간 동안 주가상승액의 평균 AD : 일정기간 동안 주가하락액의 평균 RSI의 의미 일반적인 해석 RSI ↑ → 강세시장, RSI ↓ 기술적 분석의 장점 → 약세시장 초과매수(매도) 판단 RSI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 과다매수, RSI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 과다매도 상태 RSI를 이용한 일반적인 매매기법 상대강도지수 > 70 → 매도신호, 상대강도지수 < 30 → 매수신호 제7장 기술적 분석 33
34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제7장 기술적 분석 34
35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투자심리도 일정기간을 대상으로 주식의 인기, 즉 과열 및 침체의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 투자심리도
투자심리도를 이용한 매매기법 투자심리도 > 75% → 매도시점, 투자심리도 < 25% → 매입시점 ※ 대용기법 : 투자심리도가 75% 이상에서 그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을 매도시점으로, 25% 이하에서 그 이상으로 올라가는 시점을 매입시점으로 선정 제7장 기술적 분석 35
36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제7장 기술적 분석 36
37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이격도 당일의 주가수준과 이동평균선간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 주가로 나눈 비율 투자심리도 이격도를 이용한 매매기법 이격도 계산시 사용된 이동평균선의 유형과 주식가격의 추세에 따라 달리 적용 단기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는 경우 상승추세 : 98% 이하 → 매수신호, 106% 이상 → 매도신호 하락추세 : 92% 이하 → 매수신호, 102% 이상 → 매도신호 장기 이동평균선을 사용할 경우 상승추세 : 98% 이하 → 매수신호, 110% 이상 → 매도신호 하락추세 : 88% 이하 → 매수신호, 104% 이상 → 매도신호 기술적 분석의 장점 ※ 실제 주식투자에서 이격도는 주식종목에 따라 사용상 차이가 있으므로 종목별로 매매시점을 위한 이격도 수준을 찾는 것이 중요함 제7장 기술적 분석 37
38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제7장 기술적 분석 38
39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필터기법 필터기법 : 주식가격이 일정기간 동안 최저가격에서 일정비율 이상으로 상승하면 매입하고, 반대로 최고가격에서 일정비율 이하로 기술적 분석의 장점 하락하면 자동적으로 매도하는 투자기법 필터(filter) : 주식의 매입과 매도를 결정하는 일정한 비율의 상승폭 혹은 하락폭(금액 혹은 비율로 표현) 필터기법의 장, 단점 필터기법은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분석이 용이하고 투자시점을 간단히 포착 가능할 수 있음 필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이 없고 주관적인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단점 제7장 기술적 분석 39
40 기타의 기술적 분석지표 제7장 기술적 분석 40
41 기술적 분석의 한계점 ■ 주가가 반복된다는 기술적 분석의 가정의 한계 ■ 상이한 분석결과로 인한 혼선 초래
과거의 주가흐름은 단지 그 당시의 경제상황, 산업특성, 기업가치,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흐름이 일정한 변동을 갖고 되풀이된다는 주장은 비현실적 ■ 상이한 분석결과로 인한 혼선 초래 동일한 주가 변화 양상을 기초로 분석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시점이 주가 변동의 시작점인가 하는 해석이 분석자마다 다를 수 있음 동일한 기술적 분석기법을 사용하더라도 분석자에 따라 다른 투자전략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혼란 초래 ■ 주가 변동원인에 대한 분석이 곤란 주가의 내재가치를 무시하고 주가의 단기적 변동에 집착하기 때문에 주가가 변동하는 원인을 파악할 수 없음 제7장 기술적 분석 41
42 사례연구 증시 과열 여부와 관련된 속설 주식투자 손실 키우는 10가지 실수 차트분석이 필요한 이유 사례연구 7-1
사례연구 7-2 차트분석이 필요한 이유 사례연구 7-3 제7장 기술적 분석 42
기술적 분석의 장점
오늘은 상장된 기업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방법인
기술적 분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술적 분석
출처-pixabay
주식시장을 접근하는 방법에는 크게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 랜덤워크 이론 이 있습니다. 그중 기술적 분석은 내재가치 결정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요인들보다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 흐름을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주가 자체, 거래활동 등을 도표화하여 과거의 일정한 패턴이나 추세를 찾아내고 이를 이용해 주가 변동을 예측합니다.
기술적 분석의 장점은, 기본적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까지 분석할 수 있으며 주가의 변화 방향을 예측함으로써 매매시점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2. 장기추세의 진행과정
다우 이론의 장기추세의 진행과정
장기추세란 경제계열의 규칙적, 장기적 변동을 나타내며 추세의 강도는 성장률의 속도에 달려있습니다.
위의 국면별 특징을 표로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주추세의 구분 | 특징 | |
매집국면 | 장래전망 어두움, 전문가 매입, 거래량 점차 증가 | |
상승국면 | 경기호조, 일반인 관심고조, 주가 상승, 거래량 증가 | |
과열국면 | 경기호조, 증권시장 과열, 적극매입 | |
분산국면 | 전문가 수익실현, 주가의 소폭 하락에도 거래량 증가 | |
공포국면 | 경기 나쁨, 주가 수직하락, 거래량 급감 | |
침체국면 | 투매현상 발생, 시간 경과에 따라 주가 낙폭 작아짐 |
3. 다우 이론의 활용과 한계
그랜빌은 강세시장과 약세시장에서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는 서로 반대의 생각을 가진다고 말합니다.
일반투자자는 강세시장의 제1, 2국면(매집, 상승 국면)과 약세시장의 제3국면(침체국면)에서 공포심을 가지고, 강세시장의 제3국면(과열국면)과 약세시장의 제1, 2국면(매집, 상승국면)에서는 확신을 갖는 반면 전문투자자는 그 반대의 투자 패턴을 가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다우 이론은 한계가 있는데 주추세와 중기추세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들뿐더러 추세전환의 확인이 느리고 증권의 위험에 대하여 아무런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점들이 있습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의 공통점
분석하는 대상이 다르지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의 공통점은 투자 수익을 얻을 수 기술적 분석의 장점 있는 주식을 찾는 것입니다.
기본적 분석에서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식(=투자 가치가 있는 주식)을 찾는 방법은 책이나 관련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실제 투자에 적용해서 수익을 얻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다만, 기본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퀀트 전략 백테스팅 결과를 보면 누적 수익률은 우수합니다.
단, 수익률 대비 MDD까지 기술적 분석의 장점 고려하면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도 마찬가지로 특징이 다른 기술적 지표를 이용해서 백테스팅을 해보면 누적 수익률 자체는 기본적 분석만큼 우수합니다. 단, 이것도 마찬가지로 수익률 대비 MDD까지 고려하면 쉬운 투자방법은 아닙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함께 사용한 전략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다른 공통점은 주가에 대한 판단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어떤 투자자는 현재 주가가 싸다고 매수하고 또 다른 투자자는 현재 주가가 비싸다고 매수합니다.
기본적 분석에서는 고평가 또는 저평가라고 하면 현재 주가에 대한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합니다.
기술적 분석은 주가의 상대적인 고점과 저점을 보면서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합니다.
매매 당시에는 투자에 대한 승률이나 손익비를 확신할 수 없지만 나름의 원칙에 따라 매매를 하는 경우 수익을 얻는 것 같습니다. 다만, 투자자의 역량에 따라 수익률 차이만 있는 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승률과 손익비는 투자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유지 혹은 지속성인 것 같습니다.
어떤 전략이든 모든 구간에서 언제나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투자 대가들은 분산을 강조하는데 이는 종목에 대한 분산뿐만 아니라 자금, 시간, 투자 대상에 대한 분산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시장에는 다양한 투자자가 있을텐데 기술적 분석을 이용하더라도 투자자의 투자 기준에 따라 주가의 상대적인 가치는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데이트레이더에게는 하루의 수익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시계열을 보는 기준이 다를 뿐 하루의 거래 시간을 틱 또는 분단위로 나눠서 나름의 원칙에 따라 매매를 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반해, 중장기 투자자는 하루 하루의 주가보다는 그 이상의 주기에서 주가의 흐름을 중요시 하는 것 같습니다.
때로는 데이트레이더와 중장기 투자자의 매매 타이밍이 동일한 날도 있겠지만 시계열 관점에서 보면 동일한 날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현물만 거래하는 투자자와 현물과 헷지거래를 하는 투자자가 보는 현재 주가에 대한 평가 기준은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술적 분석으로 삼성전자를 보면 투자자에 따라 현재 주가의 상대적인 가치는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상대적인 고점과 저점을 이용한 자동추세선으로 고점과 저점을 평가하는 기준을 달리 해서 추세선이 작성된 것입니다.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추세는 변하기 때문에 투자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다소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주가의 단기, 중기, 장기 추세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고 부족한 부분은 기술적 분석 지표를 활용하면 좀 더 정확하게(?) 주가의 추세를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 일간에서 차트 패턴 중 하나인 “상향후퇴”가 나올 가능이 있습니다. 물론, 추세가 확정되기 전에 섣불리 판단할 수 없지만 주가, 모멘텀, 추세, 상대강도,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계산해보면 “상향후퇴”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기술적분석] 1. 기술적 분석의 성능시험을 시작하며.
기술적 분석은 필자의 철학과는 다소 상충되는 면이 있다. 원인과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주가 차트로 기술적 지표를 만들어내므로, 주가 차트는 원인 제공자가 되고 기술적 지표는 그에 따른 결과물 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 차트가 좋으면 당연히 기술적 지표도 좋아진다. 그러나 반대로 현재의 기술적 지표가 좋다고 앞으로의 주가 차트가 좋아진다고 할 수 있는가? 기술적 지표를 잘 분석하면 주가 차트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이 간다.
기술적 분석의 역사를 돌이켜 보니 1800년대 후반부터 지금 까지 무려 1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지금도 끊임없이 새로운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투자자들이 기술적 분석을 사용하고 있다 (필자도 처음에는 기술적 분석으로 시작하였다). 만약 기술적 분석이 잘 맞지 않는다면 왜 이렇게 오랫동안,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기술적 분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일까? 의문이 가시질 않는다.
금융공학의 역사는 이 보다는 짧다. 시작점이 어디부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마코비츠 (1953) 시절부터로 봐야할지 블랙숄즈 (1973) 시점으로 봐야할지, 또는 월가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한 1980년대부터로 봐야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충 50년 정도로 본다면 기술적 분석 역사의 절반도 채 안 된다. 그럼 금융공학은 시장을 잘 예측하고 있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시계열 분석이나 확률미적분에서도 시장을 예측하는 데는 전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단지 금융현상에 대해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여 확률적으로 최선의 결론을 내보고자 노력하고 있을 뿐이다.
기술적 분석은 추세나 심리 등을 통해 시장의 움직임을 분석한다. 반면에 금융공학은, 주가는 예측할 수 없는 랜덤워크(Random Walk)라고 미리 가정해 놓고, 확률, 가능성 등을 따져서 시장의 움직임을 분석한다. 둘 다 시장의 현재 상태는 잘 분석하고 있지만, 앞으로의 움직임은 제대로 예측해내지 못한다. 시장의 미래는 아직 결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도구로도 미리 볼 수가 없기 때문인 것 같다.
심리적으로 안정된 투자를 하기위해서는 기술적 분석에 대한 의문을 해소해 볼 필요가 있다. 기술적 분석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무조건 비판하는 자세도 바람직하지 않고, 남들이 모두 이용하므로 무조건 따라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우선은 기술적 분석의 특성들을 확인해 보고, 금융공학에서 도입한 기하브라운운동 (Geometric Brownian Motion)에 의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Monte Carlo Simulation) 기법에 의해 하나하나 성능을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성능시험을 하다보면 분명 기술적 분석의 장점도 발견하게 될 것이고, 허점도 발견할 것이다. 받아들일 부분이 있다면 받아들이고, 허점을 가려낼 줄 안다면, 기술적 분석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부터 시간 날 때마다 기술적 분석기법 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해보고, 시장 수익률과 비교해보는 방식으로 각각의 성능을 측정해 볼 예정이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1년 단위로 5,000번 씩 수행하여 5,000년 간 특정한 기술적 분석으로 기계적인 투자를 했을 때 시장수익률을 초과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 그런 게 있다면, 어떤 것이 성능이 가장 좋은지 확인해 볼 예정이다. 물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실제 시장과는 큰 괴리가 있다. 과거 주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능시험을 해 볼 수도 있겠지만, 종목을 선택하는데 아무래도 주관적 요인이 개입될 것 같아 가장 객관적으로 보이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기술적 분석의 장점
투자의 중심을 잡아줄 나침반, 투자자를 위한 교과서
[차트의 기술]에서 저자는 국내외의 다양한 투자 사례와 해박한 동서양의 인문지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최근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에 이어 제3의 분석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심리적 분석법을 그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어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있다. 특히 행동재무학과 행동과학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실제 차트를 추가하여 과거와 현재 자료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출판사서평
기술적 분석 분야의 베스트셀러 [차트의 기술] 개정 증보판
투자가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투자의 중심을 잡아줄 나침반과 같은 책
베스트 애널리스트가 설명하는 정통 기술적 분석에 관한 안내서
인생법칙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에는 승자와 패자가 있다.
승자와 패자로 갈리는 그 차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시장의 언어를 배웠느냐, 배우지 못했느냐에 달려 있다.
기술적 분석은 대표적인 시장언어이다.
최근 몇 년간 주식시장은 유럽의 재정위기 장기화, 글로벌 경기부진 심화 등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6년 전 이 책이 나왔던 시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시장이 전개되고 있다. 투자자들이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주식시장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금씩 진화해오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객관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하여 시장이 보여주는 신호를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훌륭한 투자자가 될 것이다.
[차트의 기술]에서 저자는 국내외의 다양한 투자 사례와 해박한 동서양의 인문지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최근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에 이어 제3의 분석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심리적 분석법을 그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어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있다. 특히 행동재무학과 행동과학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실제 차트를 추가하여 과거와 현재 자료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시골의사가 추천한 기술적 분석의 교과서
“이 책은 분명히 한국 기술적 분석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투자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좋은 교과서이다.”
-시골의사 박경철
주식시장에서도 인생법칙과 마찬가지로 승자와 패자가 있다. 흥미로운 것은 주식시장이 인간본성과는 정반대로 움직일 때가 많다는 것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시장언어를 배워야 한다. 즉 주식시장의 언어는 바로 기술적 분석인 것이다.
기술적 분석의 장점은 시장의 순환적 특성을 알아내어 여러 가지 분석도구 중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자유롭고 세심하게 선택하여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주식 투자에서 기술적 분석의 장점 ‘큰 그림’을 그림으로써 모든 시장을 분석하고 전반적으로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뛰어난 감을 얻을 수 있고, 하나의 결과만 좇음으로써 발생하는 ‘좁은 시각’을 피할 수 있다. 주식이나 시장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것이 바로 기술적 분석이다.
[차트의 기술]에는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모든 분석도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차트의 작성과 선을 이용한 분석, 추세, 이동평균선 그리고 패턴 분석과 지표 분석, 캔들차트까지 기술적 분석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가 기술적 분석은 누구나 할 수 있고, 실제로 잘하고 있다는 착각 속에 빠져 있다. 그러나 현실에선 제대로 된 투자 안내서의 부재 속에 오늘도 많은 투자자가 주식시장이라는 전쟁터에 거의 무방비로 나서고 있다. 이에 [차트의 기술]은 투자가들 안전하게 지켜주고 투자의 중심을 잡아줄 나침반과 같은 책이다. 베스트 애널리스트가 설명하고 있는 이 책 [차트의 기술]은 기술적 분석에 대한 모든 개념 설명에서부터 마지막에는 매매전략과 매매원칙을 소개하고 있어 정통 기술적 분석에 관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기술적 분석의 명인들의 투자법과 역사를 섭렵한다
기술적 분석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다우이론과 기술적 분석의 핵심인 엘리어트 파동이론, 그리고 일목균형표를 보여주며 각각의 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과 매매 전략까지 저자의 경험에 의한 폭넓은 지식과 실전 사례를 통해 핵심만을 알려주고 있다.
20여 년간 현장에서의 실제 경험과 분석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적 분석에 관한 이론을 실제 사례로 풀어내고 있다. 곳곳에서 국내외의 다양한 투자 사례와 해박한 기술적 분석의 장점 동서양의 인문지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적 분석의 역사와 명인들의 투자법을 적절히 설명을 하고 있다.
제3의 분석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심리적 분석법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사람들은 군중과 같은 행동을 하면서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동일시한다. 군중 속에 있으면 개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는 드러나지 않고 안전하다고 여기게 된다. 이러한 군중심리에 따른 행동은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증권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가격 변화에 반응하는 인간의 심리 변화는 나름대로 일정한 법칙을 갖고 움직인다. 군중의 행동양식에 대해 1923년 에드윈 르페브르가 발표한 [어느 주식 투자자의 회상]은 역발상 사고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알렉산더 엘더는 [심리투자 법칙]을 통해 주식 투자에서 개인과 집단의 심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차트의 기술]에서는 최근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에 이어 제3의 분석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심리적 분석법을 그 사례를 통하여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있다. 투자심리 분석과 주가 사이클의 형태, 역발상 분석의 개념과 주요지표, 가격과 감정의 한계 사이클 등 인간의 심리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심리적 기술적 분석의 장점 분석을 이용하면 정확한 매매 타이밍을 잡을 수는 없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시간의 흐름을 크게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 즉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함으로써 뒤늦은 시장 참여로 인한 손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행동재무학과 행동과학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함으로써 주식 투자에 필요한 모든 분석 방법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분명 한국 기술적 분석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며, 투자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좋은 교과서이다.
과거 우리나라에는 너도나도 기술적 분석의 대가를 지칭하는 시절이 있었다. '급등주', '대박주'라는 말이 예사로 쓰이고, ‘그것을 알려주마’라고 말하는 어설픈 전문가들이 넘쳐났다. 하지만 솔직히 나는 그 점이 너무 안타깝고도 두려웠다. 아무리 어두운 세상이지만 이래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제도권/비제도권에서 자칭 ‘고수’, ‘대가’를 칭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났고 인터뷰하고 따져보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 중에 그 누구도 내게 진정성을 보여준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이 책의 필자는 달랐다. 그는 우리나라 1위 증권사에서 차분하게 공부했고, 긴 시간 동안 내공을 쌓았다. '낭중지추'라는 말이 있다. 그는 쉽게 말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그의 실력이 감춰지지는 않았다. 나는 그를 안 지 오래되고 이 혼탁한 시장에서 신뢰하는 몇 안 되는 전문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나와 오랫동안 교유하면서 시장을 이야기했고, 서로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러면서 나는 그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었고 지금도 그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경청하고 있다. ‘장자’에 등장하는 ‘포정’처럼 그의 칼은 조용히 틈새를 갈랐고 십년이 지나도 날이 무뎌지는 법이 없었다, 그래서 나는 그를 만날 때마다 책을 한 권 쓰시라고 권했다. 내가 알고 있는 그의 능력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그가 내 권유를 받아들여서 책을 쓴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지금 그의 책에 대한 서문을 쓰면서 행복하다. 이 책은 분명히 한국 기술적 분석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그의 성격상 섹시하고 화끈한 대박의 황금률을 주장하지 않지만, 투자가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좋은 교과서를 한 권 냈다는 생각이다. 이 책은 새겨두면 좋을 책이다. 다만 그가 알려주고자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소를 잡는 방법인데 이 칼로 손을 베는 독자가 있다면 곤란하다. 독자들은 이 책을 두고 자기의 생각을 보태고 연마해서 시장을 이해하는 좋은 도구로 사용하는 현명함이 필요하고, 그렇다면 이 책의 저자와 독자 모두가 행복한 경험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박경철 / 시골의사
기술적 분석은 투자의 세계에서는 나침판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자칫 투자가를 엉뚱한 곳으로 오도하기 쉬운 것이기도 하다. 제대로 된 기술적 분석에 대한 책이 나와야 할 시점에 투자의 길을 가는 사람들에게 소중한 책이 나와 기쁘다.
- 하태형 / 수원대 금융공학대학원장
금융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시장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일이 될 것이다. 저자는 오랜 동안 젊음을 바쳐 증권사에 근무하면서 갈고 닦은 이론가로서의 진면목을 이 책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이번 작업이 투자가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해줄 것으로 믿는다.
- 원희룡 / 전 한나라당 사무총장
언젠가 한 번은 이런 책이 나올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제도권의 정통파 이론가의 ‘기술적 분석’ 책이어서 기대가 컸는데 대단한 정성이 담긴 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투자이론의 역사와 각종 기술적 분석의 도구들을 섭렵할 수 있을 것이다.
- 장광익 / 매일경제신문 기자
1994년 대우증권에 입사,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에서 시황분석(기술적 분석), 스몰캡, 추천사_ 시골의사 박경철
개정판을 내면서
들어가는 글
part 1 기술적 분석에 대하여
01.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일까?
02. 기술적 분석의 기본 가정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주가는 추세를 이루며 움직인다
-역사는 되풀이된다
03. 기술적 분석에 대한 비판
-자기 성취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과연 과거 자료의 분석으로 미래의 예측이 가능한가?
-랜덤워크이론(Random Walk Theory)
04. 기술적 분석의 유용성
-가격 변동을 알 수 있는 시각화된 역사적 기록
-위험한 바다의 항해지도 : 가격 변동의 불안전성 판단에 용이하다
-과거 사건과 가격 움직임을 비교·분석
-시장과 기간 선택의 신축성
-손익의 관리도구
-차트를 신봉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차트는 여전히 유용
05. 기술적 분석의 흐름 및 기술적 분석가들
-최근 기술적 분석의 흐름
-기술적 분석가들
part 2 차트의 작성과 선
01. 차트의 종류
-바차트
-캔들차트
02. 지지선과 저항선
-지지와 저항
-지지선과 저항선
03. 선을 이용한 기타 분석법
-피보나치선과 되돌림 비율
피보나치 팬 / 피보나치 아크 / 피보나치 시간대 / 피보나치 되돌림
-갠(Gann) 이론
part 3 추세란 무엇인가
01. 추세의 기본 개념
02. 추세선
-상승 추세선과 하락 추세선
-추세선 그리기
-추세의 중요성에 대하여
-추세선의 이용과 돌파 시 대응법
03. 추세대(Channel Line)
part 4 이동평균선
01. 이동평균선의 개념과 장단점
02. 이동평균선의 특징과 종류
-5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120일 이동평균선
03.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방법
-방향성 분석
-배열도 분석
-지지선 분석
-저항선 분석
-크로스 분석
-밀집도 분석
-연관성 분석
04.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시점의 포착
-그랜빌(J.E.Granville)의 8법칙
매수의 4법칙 / 매도의 4법칙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이격도(Disparity)
05.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 전략
-한 가지 이동평균선을 이용할 때
-두 가지 이동평균선을 이용할 때
-세 가지 이동평균선을 이용할 때
part 5 패턴 분석 : 반전형(Reversal Pattern)
01. 패턴 분석에 대하여
02. 반전 패턴에 대한 점검
-직전 추세의 필요성
-중요한 추세선의 돌파
-패턴이 클수록 가격움직임의 가능성도 커진다
-천장형과 바닥형의 차이
-거래량은 상승 추세에서 더욱 중요하다
03. 머리어깨형(Head & Shoulders Top Reversal)
-머리어깨형의 구성 및 목표가격
왼쪽어깨 / 머리 / 오른쪽어깨 / 목선
-머리어깨형의 형성 과정
-머리어깨형의 거래량과 목표치
04. 역머리어깨형(Head & Shoulders Bottom)
-머리어깨형과 역머리어깨형의 차이점과 유사점
-목선의 기울기
-복합 머리어깨형(Complex Head nd Shoulder)
-분석 시 유의할 사항
05. 3중 천장형과 3중 바닥형(Triple Top and Bottom)
06. 2중 천장형과 2중 바닥형(Double Tops and Bottoms Pattern)
07. 원형 천장 및 원형 바닥형(Rounding Top and Bottoms)
08. V자형 및 역V자형(Spike형)
part 6 패턴 분석 : 지속형(Continuation Pattern)
01. 지속형 패턴(Continuation Pattern)에 대하여
02. 삼각형 패턴(Triangle Pattern)
-삼각형 패턴의 종류
-대칭삼각형(Symmetric Triangle)
대칭삼각형의 형성 / 대칭삼각형의 완성과 추세 복귀 / 거래량 추이 / 가격 목표치 설정 / 대칭삼각형은 중립적
-상승 삼각형과 하락 삼각형(The Ascending and Descending Triangles)
-확산형 패턴(Broading Formation)
-다이아몬드형
03. 깃발형(Flags)과 페넌트형(Pennants)
04. 쐐기형(Wedge Pattern)
05. 직사각형(Rectangle Pattern)
06. 스윙패턴(Swing Measured or Measured Move)
07. 갭(GAP)
-갭(Gap)이란 무엇인가
-가격갭의 4가지 형태
보통갭 / 돌파갭 / 진행갭 / 소모갭
-섬꼴반전(Island reversal)
-가격갭을 이용한 매매원칙
part 7 캔들차트(Chandle Chart)에 대하여
01. 캔들 차트의 유래
02. 캔들차트의 작성과 구조
-기본 형태
-상승 반전 패턴
-상승 지속 패턴
-하락 지속 패턴
-하락 반전 패턴
part 8 지표 분석
01. 지표 분석의 개념
02. 지표 분석의 장점과 단점
03. 추세지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계산방법 / 해석 / 볼린저밴드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파라볼릭 SAR(Parabolic Stop And Reverse)
계산방법 / 해석 / 파라볼릭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04. 오실레이터
-오실레이터에 대하여
기준선 교차 / 과매수와 과매도 / 디버전스에 대한 이해 / 오실레이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계산방법 / 해석 / MACD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RSI(Relative Strength Index) : 상대강도지수
계산방법 / 해석 / RSI의 투자 전략 기술적 분석의 장점 및 주의사항
-CCI(Commodity Channel Index)
계산방법 / 해석 / CCI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스토캐스틱(Stochastics)
계산방법 / 해석 / 스토캐스틱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ADR(Advaced Decline Ratio) : 등락비율
계산방법 / 해석 / ADR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VR(Volume Ratio) : 거래량 비율 분석
계산방법 / 해석 / VR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 방향운동지수
계산방법 / 해석 / DMI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 평균방향운동지수
계산방법 / 해석 / ADX의 투자 전략 및 주의사항
-지표 응용 : ADVR
part 9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01. 다우이론(Dow Theory)
-다우이론에 의한 대공황 예측
-다우이론의 기본 원리
-주(장기)추세 진행 과정
강세시장의 3국면 / 약세시장의 3국면
-다우이론에 대한 비판
02. 엘리어트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역사
-엘리어트 파동이론과 다우이론
-‘암흑의 월요일’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엘리어트 파동의 3가지 측면
-패턴 분석
패턴의 기본 형태 / 파동의 구분 / 각 파동의 특징 / 추진파의 확장과 변형 / 조정파동
-기타 파동의 형태 분석
파동의 구분방법 / 파동 변화의 법칙 / 추세대 / 4파의 지지 역할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매매 전략
1파에서의 매매 전략 / 2파에서의 매매 전략 / 3파에서의 매매 전략 / 4파에서의 매매 전략 / 5파에서의 매매 전략
-조정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a파에서의 매매 전략 / b파에서의 매매 전략 / c파에서의 매매 전략
-비율 분석
몇 가지 일반적인 파동비율 / 조정비율
-시간 분석
-주식 분석 외 파동이론의 적용과 한계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계승자 로버트 프렉터
part 10 일목균형표에 대한 이해
01. 일목균형표란 무엇인가
02. 엘리어트 파동이론과 일목균형표의 차이
03. 일목균형표의 구성 요소
-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1 기술적 분석의 장점
-선행스팬 2
04. 일목균형표의 구성 요소와 매매신호
-전환선과 기준선의 관계
-기준선 방향의 중요성
-후행스팬의 역전과 호전
-구름대의 역할
-일목균형표에서의 매수 국면 진행 과정
05. 일목균형표 시간론
-기본수치
-대등수치
-변화일 예측
-변화일 예측 시 주의점
06. 일목균형표 파동론
-파동의 결정방법
-기본파동
-중간파동
07. 일목균형표 가격폭 관측론
-V계산치
-N계산치
-E계산치
-NT계산치
-한정 가격폭
-S구성점
-배반치
-가격폭 계산의 활용법
08. 일목균형표 형보론
09. 금융시장에서의 일목균형표 적용
-일목균형표에 의한 원/달러 분석
10. 일목균형표를 마치며
part 11 투자심리 분석과 주가 사이클의 형태
01. 투기의 역사, 군중심리 그리고 주식시장
02. 심리적 분석의 개념과 역사
03. 심리적 분석의 장단점
04. 역발상 분석
-역발상 분석의 개념
-역발상 분석의 전제조건
-역발상 분석을 위한 주요 지표
VIX와 VXN / 루비니지수 / 미국 유명 투자기관의 역발상 지표
05. 행동과학이론과 인간심리
-임계거리
-관성의 함정
-집합적인 도주 현상(패닉 현상)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하이에나
-물리적인 시간
-신체의 변화
-코쿠닝(Cocooning)
06. 행동재무학(Behavioral Finance)
07. 주가 사이클의 형태
-가격과 감정의 한계 사이클
-충격의 영향
-조정의 형태
-투자자의 감정과 가격 변동
part 12 기술적 분석에 대한 기타 점검사항
01. 증권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동물과 기술적 분석가
02. 주식 투자를 위해서 눈여겨봐야 할 현상들
-거리 경제학(Street Economics)
-달콤한 식품과 불황지표
-대선과 주가와의 상관관계
-스포츠 징크스와 주가
슈퍼볼 징크스 / 일본과 한국의 프로야구 우승팀 효과
-한국과 미국 증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계절적 흐름
03. 시장 내 분석과 시장 간 분석(Intermarket Analysis)
04. 주가 사이클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조지 소로스의 자기 암시이론
-경기순환 4국면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이론
05. 주가의 움직임에 따른 심리 변화
06.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의 점검사항
07. 유용한 기술적 분석 사이트와 기술적 체크 리스트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