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 주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TEL: 02-880-5567 Email: [email protected]

시장가 주문

시장가 주문이란 무엇입니까?

시장가 주문은 디지털 자산을 현재 시장에서 가장 좋은 가격으로 사고 파는 주문입니다. 즉석 거래라고도 합니다. 시장가 주문에 의해 발행되는 지시는 현재 시장 가격에 따라 즉시 거래를 실행하라는 것입니다.

예시:

1 BTC에 대한 매수 시장 주문을 하면 시스템은 현재 장부에 있는 모든 주문을 즉시 선별하고 시장가 주문 최적의 가격으로 주문을 실행합니다. 주문 가능한 최적의 가격이 10,000 USDT이고 실행 가능한 수량이면 1 BTC에 대한 주문이 즉시 10,000 USDT로 채워집니다. 주문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가격이 10,000 USDT이지만 해당 가격에 0.8 BTC만 있는 경우 주문은 10,000 USDT에 0.8 BTC로 부분적으로 채워지며 나머지 0.2 BTC는 다른 사용 가능한 주문과 일치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장가 주문은 10,000 USDT에서 0.8 BTC, 10,100 USDT에서 0.2 BTC로 채워집니다.

장점과 위험

장점: 시장 주문은 일반적으로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거나 시장에서 탈출하려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즉각적인 실행을 보장합니다.

위험: 주요 목표는 즉시 거래를 실행하는 것이므로 주문의 마지막 거래 가격이 예상 가격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에서는 편차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시장 주문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1. 사용자의 거래 요구 사항. 시장가 주문은 시장에 즉시 진입 및 탈출이 가능하지만 최종 거래 가격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주문 가격에 대한 구체적이거나 정확한 요구 사항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부적절합니다.

2. 거래 자산의 유동성. 시장가 주문의 거래 가격과 사용자의 예상 가격은 유동성이 부족한 시장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참고: 시장가 주문이 장부의 주문으로 즉시 채워질 수 있는 경우 시스템은 시장 심도에서의 거래 가격과 거래 방향의 주문 장부 가격 간의 편차가 1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10% 이내이면 주문이 실행됩니다. 10% 이상일 경우 주문이 부분적으로 취소됩니다.시장가 주문

시장가 주문은 어떻게 체결되나요?

시장가 주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시장가 주문이란 ?”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롱 포지션/매수 시장가 주문은 오더북의 베스트 최저 호가로 체결됩니다.

숏 포지션/매도 시장가 주문은 오더북의 베스트 최고 입찰가로 체결됩니다.

시장가 주문이 어떻게 체결되는지 설명하기위해, ADAUSD 호가창을 예로 들어어보겠습니다. 이 쌍의 계약 크기는 20 ADA입니다.

호가창에서 최고 매도 가격이 $2.6590이고 최고 매수 가격이 2.6589임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좋은 매도 가격은 $2.6591이고 두 번째로 좋은 매수 가격은 $2.6586입니다.

롱/시장가 주문 매수

수량이 100인 ADA/USD 매수 시장 주문을 하면 주문이 즉시 체결되고 최고 호가 $2.6590로 실행됩니다.

ADA/USD 매수/시장가 주문을 수량 300개로 하면 시장 주문이 즉시 체결되며 224개 계약은 최고 호가 $2.6590로, 나머지 76개 계약은 차순위로 $2.6591에 체결됩니다. 이는 $2.6590의 최고 매도호가에서 224개의 계약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머지는 이용 가능한 다음 최고 가격으로 체결되야합니다.

각 가격에 대한 제한된 계약 가용성으로 인해, 주문이 다른 가격으로 체결되는 경우를 슬리피지(Slippage)라고 합니다.

평균 체결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숏/매도 시장가 주문

수량이 100인 ADA/USD 시장 주문으로 매도하면 주문이 즉시 체결되고 최고 호가 $2.6590로 실행됩니다.

수량이 1500인 ADA/USD 시장 주문으로 매도하면 주문이 즉시 체결되며 1005 계약은 최고 입찰 가격 2.6589로, 나머지 495 계약은 두 번째 최고 입찰 가격인 $2.6586로 체결됩니다. 이는 최고 입찰가 $2.6589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계약이 1005개뿐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는 이용 가능한 차상위 입찰가로 체결해야합니다.

시장가주문

시장가주문(market order)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가 종목, 수량을 지정하지만,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내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하고 있는 가격 혹은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을 말한다. 마켓오더라고도 부른다.

개요 [ 편집 ]

시장가주문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가 종목, 수량을 지정하지만,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내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하고 있는 가격 혹은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을 말한다. 시장가주문은 모든 주문 중 가장 기본적인 주문이다. 특정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에는 단순하게 매수/매도 버튼만 있는 경우도 있다. [1]

시장가주문은 주문을 넣는 즉시 오더북에서 매매가 체결되는 테이커 주문이다. 매매가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수매도 주문 중 한 포지션의 주문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포지션의 주문만 들어오면 스프레드가 벌어져 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테이커 주문은 오더북에서 유동성을 감소하기 때문에 메이커 주문보다 수수료가 많고 마켓메이커에게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이 프리미엄을 엣지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액을 말한다. 마켓테이커는 포지션을 구축하거나 기존 포지션을 청산해야 할 때 합리적인 가격을 보장해줄 유동성과 신속함이 필요하다. 마켓테이커는 마켓 메이커가 제공하는 유동성에 대한 대가로 엣지를 포기하는 것을 인정한다. [2] 마켓테이커는 마켓메이커보다 매매 횟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래 비용에 대한 우려는 적다. 활발하게 거래하는 마켓테이커도 일부 있지만, 테이커의 비즈니스 특성상 마켓메이커보다 거래 횟수가 훨씬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마켓테이커는 최우선 매수 호가나 매도 호가에 거래하는데 그다지 집착하지 않지만, 유동성과 신속함을 중요시한다. 유동성과 신속함은 마켓메이커들이 지속적해서 호가하는 좁은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통해 향상된다.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서는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 [3]

시장가주문은 대형주, 선물, ETF 같은 대량 거래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나 삼성전자 같은 주식은 유동량이 매우 많아 시장가주문이 바로 이뤄지고 다시 오더북에 주문이 채워진다. 유동량과 거래량이 적은 주식에는 적합하지 않은 주문 방식이다.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오더북의 주문 자체가 적기 때문에 시장가주문이 들어오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확산한다. 스프레드가 확산하면 거래 비용이 많이 증가할 수 있어 시장가주문을 내기 전에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파악하고 주문을 내야 한다. [1]

반면 지정가주문(보통가주문)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주문 방식으로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의 가격과 시장가 주문 수량을 지정하여 매도나 매수 주문하는 형식이다.

예시 [ 편집 ]

특정 주식의 오더북에 매수 호가가 800원에 100주, 900원에 100주, 1,000원에 100주가 있고 매도 호가는 1,500원에 150주, 1,600원에 100주, 1,700원에 100주가 있을 때, 시장가주문은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므로 300주의 매도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가 매도된 뒤, 9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다시 8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주문이 완료된다. 반대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500원에 150주를 매수한 뒤, 1,600원에 100주를 매수하고 다시 1,700원에 50주를 매수하고 주문이 완료된다.

만약 주식의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매우 넓게 벌어져 있을 경우에는 큰 거래 비용을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더북의 매도 호가가 촘촘하게 있지 않고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100,000원에 100주와 같이 크게 벌어져 있을 때 시장가주문으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그리고 100,000원에 100주를 매수하여 매우 큰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s-space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9년까지 장기간의 한국주식시장 자료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주문선택행동을 분석하였다. 순수주문주도시장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지정가주문이 가진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장가주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투자자들이 지정가주문을 어떻게 사용하며, 얼마나 정보를 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첫번째 연구는 지정가 주문불균형 변수를 새로이 도입하여, 시장가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지정가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은 30분 이상 60분 이내로, 시장가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 결과는 지정가주문이 시장가주문과 비슷한 수준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이 30분 이상 60분 이내인 것은 Chordia, Roll, and Subramanyam(2005)이 제시한 강형 효율성이 달성되기까지 걸리는 시간과도 비슷하다. 이는 시장조성자가 존재하지 않는 한국주식시장의 시장효율성이 시장조성자가 존재하는 시장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문불균형을 개인, 기관, 외국인 등으로 구분하여, 실제 투자자 수준에서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은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이 짧게 나타나, 차익거래자에 의한 반대매매(countervailing trading)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외국인의 시장가 주문 지정가 주문불균형과 시장가 주문불균형의 수익률 예측력은 60분 이상 지속되었다. 이 결과는 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수준과 주문제출전략에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투자자들의 행동에 대한 시장의 반응도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인은 시장가 주문불균형과 지정가 주문불균형 모두에서 주문불균형의 지속성이 높았으며, 두 주문불균형 사이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이 자신의 거래를 시장가주문과 지정가주문으로 동시에 분할하여 제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기관도 시장가주문과 지정가주문을 함께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수익률 예측력은 외국인보다 짧았다.
경제적 이익의 관점에서 주문불균형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거래전략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거래전략에서 스프레드(spread)비용을 상회하는 거래이익을 얻지 못하였다.
두번째 연구는 Bloomfield, OHara, and Saar(2005)의 실험시장연구를 한국주식시장에 적용하였다. 투자자를 개인, 기관, 외국인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지정가 주문율과 시장가 체결율을 분석하였다.
전체기간에서 외국인은 사적정보의 가치가 높을 때 시장가 주문을이 증가하고, 사적정보의 가치가 낮을 때는 시장가 주문을이 감소하였다. 최근기간에는 사적정보가 높을수록 지정가 주문을이 감소하고, 사적정보의 가치가 낮을수록 지정가 주문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외국인 주문선택행동의 동적변화는 정보가치가 높을 때 유동성을 소비하며, 정보가치가 낮을 때는 적극적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실험시장의 정보거래자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188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youtub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TEL: 02-880-5567 Email: [email protected]

시장가 주문

1170*316

[굿초보 주식용어] #3. 주식을 주문하는 5가지 유형

지난 굿초보 주식용어 사전 [호가창] 편과 [차트] 편에서는 각각 호가창과 차트에서 볼 수 있는 주식 용어들을 모아 풀어보았는데요. 호가창도 어느 정도 알았겠다 ‘나도 그 유명한 전국민의 주식, 삼전의 주주가 되어보자’ 마음먹는 초보 개미 에디터, 그런데 막상 주문을 넣으려고 보니 단가 옆에 시장이라는 체크박스가 신경이 쓰입니다. 주문 구분을 눌러보면 더 혼란스럽습니다.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과연 무엇으로 주문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런 주문 유형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오랜만에 돌아온 굿초보 주식용어 사전, 오늘은 주식 주문 유형 용어 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지정가 주문
먼저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지정가 주문’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지정가 주문은 말 그대로 투자자가 직접 가격을 지정해 주문을 넣는 것 입니다. 지정가 주문은 일반적으로 주문 구분에 ‘보통’이라고 표시 되기도 하는데요. 삼성증권을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시장가 주문

이미지 출처 : 삼성증권 mPOP


삼성증권에서 삼성전자 매수를 선택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주문 구분에는 [보통]이라고 적혀있죠. 단가 부분에는 기본적으로 체결을 기다리고 있는 매수 주문 중 높은 금액이 자동으로 노출되기도 하지만 직접 원하는 단가와 수량을 입력해 주문을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우선 순위 체결 원칙에 따라 높은 가격의 매수 주문 또는 낮은 가격의 매도 주문이 먼저, 그다음으로 주문이 들어온 순서, 수량순으로 주문이 체결됩니다.


때문에 지정가 주문은 대응하는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없거나 수량이 없을 때는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문은 당일까지만 유효하기 때문에 장이 종료되면 미체결로 주문이 취소됩니다.


따라서 지정가 주문 시에는 현재 매수 또는 매도 계약 체결을 기다리는 다른 주문의 가격과 수량을 잘 체크해서 주문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


수량만 선택하고 단가는 시장 흐름에 맡길게요.
시장가 주문

이미지 출처: 삼성증권 mPOP

다음으로는 시장가 주문 입니다.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보이는 용어는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문 구분에서 [시장가] 주문을 선택하거나 [시장]이라고 쓰여있는 체크박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선택을 하면 단가 부분이 수정할 수 없도록 변경이 됩니다. 시장가 주문은 현재 시장가를 기준으로 주문을 넣는 것 이기 때문이죠. 방금 전 지정가가 ‘내가 원하는 금액에 계약을 체결해 줘’ 였다면, 시장가는 ‘금액은 시장 흐름에 맡길게’인 것입니다.

따라서 매수를 원한다면 현재 매도 호가 중 수량 내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 으로, 매도를 원한다면 현재 매수 호가 중에서 수량 내 가장 비싼 가격으로 즉시 체결 이 됩니다. 만약 원하는 수량만큼의 대응하는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없다면 그다음 주문 가격으로 즉시 체결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가 주문의 경우, 빠른 매수 또는 매도를 원할 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정가로 일단 주문하는데, 체결 안 되면 종가로 체결해 줘요.
조건부 지정가 주문


딱 하나 있는 월트 디즈니를 팔고 싶었던 에디터, 하지만 너무 욕심이 넘쳐 턱도 없는 단가로 지정가 매도 주문을 넣었는데요. 결국 장이 종료될 때까지 주문이 체결되지 못하고 주문이 취소되었습니다. 앞서 이렇게 지정가 주문은 체결이 되지 못하고 그대로 장이 종료되어 주문이 취소될 수 있다 고 말씀드렸죠.

조건부 지정가는 이러한 ‘지정가 주문’의 특징과 내가 원하는 가격보다 비싸게 매수 또는 싸게 매도될 수도 있다는 ‘시장가 주문’의 특징을 보완하는 주문입니다.

이미지 출처: 삼성증권 mPOP

시장가 주문과 마찬가지로 주문 구분에서 [조건부 지정가]를 선택하여 주문을 넣을 수 있고 주문 방식은 지정가 주문과 동일하게 원하는 단가와 수량을 입력 후 주문을 넣으면 됩니다.


다만 조건부 지정가 주문 은 지정가로 주문을 하되 시장이 종료될 시점까지 체결이 되지 못한다면 종가, 즉 장 종료 시의 가격에 맞춰 시장가로 체결 이 됩니다. 가능한 내가 원하는 단가에 매수 또는 매도를 하고 시장가 주문 싶다, 하지만 꼭 체결은 됐으면 좋겠다 싶을 때 사용하실 수 있겠죠.


시장가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주문할게요,
최유리 지정가 주문

다음으로는 최유리 지정가 주문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유리 지정가 주문의 정의를 알아보면 ‘주문 접수 시점에 상대 방향 매매의 최우선 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하는 유형입니다. 쉽게 풀어보자면,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가 최유리 지정가로 주문을 넣었다면 해당 시점에 매도 1호가의 가격으로 주문 이 들어가고, 매도를 원하는 투자자가 주문을 넣었다면 해당 시점에 매수 1호가의 가격으로 주문 이 들어가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문을 넣는 시점에서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매수 또는 매도 단가로 주문 이 들어가는 것이죠.시장가 주문


언뜻 보면 최유리 지정가 주문은 시장가 주문과 굉장히 흡사 합니다. 주문을 넣는 시점에 체결이 가장 빠른 단가인 시장가로 주문이 들어갈 테니까요. 그렇다면 시장가 주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 매수 1호가 7,400원, 매도 1호가 7,410원의 종목이 하나 있습니다. 매수 1호가에는 862개의 물량이, 시장가 주문 매도 1호가에는 125개의 물량이 체결을 기다리고 있네요. 이때 1,000개의 매수 주문을 넣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시장가 주문 으로 매수 주문을 넣었다면 매도 1호가인 7,410원에 125개가 매수되고 , 나머지 875개는 다음 단가인 7,420원에 매수 체결이 진행 됩니다.


반면 최유리 지정가 로 매수 주문을 넣었다면 매도 1호가인 7,410원에 마찬가지로 125개가 매수되고, 나머지 875개는 다음 단가가 아닌 7,410원에 물량으로 남게 될 것 입니다. 이것이 시장가 주문과 최유리 지정가 주문의 차이점입니다.


내가 매매하려는 방향의 1호가로 주문할게요.
최우선 지정가 주문
최우선 지정가 주문 은 최유리 지정가 주문과 반대의 경우입니다. 앞서 최유리 지정가가 ‘주문 접수 시점에 상대 방향 매매의 최우선 호가’가 단가로 주문이 들어갔다면 최우선 지정가는 ‘주문 접수 시점에 동일 방향 매매의 최우선 호가’가 단가로 주문하게 됩니다. 매수 주문이라면 매수 1호가, 매도 주문이라면 매도 1호가가 주문 단가 가 되는 것이죠.


앞서 최유리 지정가의 예시가 되었던 그 종목입니다. 이 종목을 최우선 지정가로 1,000주 매수한다고 하면 매수 1호가인 7,400원에 매수 주문이 들어갑니다. 그런데 이미 862개의 매수 주문 물량이 대기를 하고 있죠. 그래서 이 862개 매수 주문이 모두 소진된 다음에 계약이 체결될 것입니다.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까지, 주식을 주문하는 5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초보 에디터를 비롯해 많은 초보 개미들은 대부분 [보통]의 지정가 주문을 주로 이용하실 것 같은데요. 오늘 알아본 5가지 유형의 차이점을 잘 파악하여 시기적절하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굿초보의 다음 주식용어 컨텐츠에서는 본격적으로 투자하려는 회사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장가 주문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굿초보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어려운 금융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별도의 저작권 표시 또는 출처를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굿초보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굿초보 공식 제작사를 통해서 제공받고 있는 이미지는 상업적인 용도로 변형이 불가능합니다.

굿초보 매거진이 도움 되셨나요?
더 많은 분들이 볼 수 있도록 공유해 주세요.

청약 신청할 때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 9가지

특별공급? 전용면적? 분양&청약 기초 용어 사전 1.

차트를 보기 위해 알아야 할 주식 용어들!

[굿초보 주식용어] #2. 차트를 보기 위한 용어

익숙하지 않은 주식용어! 당황하지 않으려면?

[굿초보 주식용어] #1. 호가창에서 볼 수 있는 용어

[경제용어] R의 공포, D의 공포, M의 공포

㈜ 플러그월드와이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285, 5층(방배동, 한샘방배빌딩) 사업자등록번호: 114-87-17024 대표자: 정찬우 ㈜마케팅인슈 보험대리점 사업자등록번호: 114-87-23491 대리점등록번호: 제2015020003호 통신판매업 신고: 제 2017-서울마포_2181호 대표자: 윤미경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