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에 미치다
메이투, 비트코인·이더리움에 453억원 투자
- 최예지 기자([email protected])
- | 登録 : 2021-03-08 14:21
- | 修正 : 2021-03-08 14:21
--> サイズ 印刷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이 코너를 통해 아주경제 중국본부에서는 매일 독자들이 중국증시에서 궁금해할 만한 종목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중국 비트코인에 미치다 증시가 전체적으로 힘을 못 쓰고 있는 가운데 중국 뷰티 관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기업인 메이투(美圖)의 주가가 나 홀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8일 홍콩 증시에 상장된 메이투는 이날 오후 1시5분(현지시간) 전 거래일보다 4.06% 상승한 2.820홍콩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장중 한때 주가가 14% 이상 치솟기도 했다. 시가총액(시총)은 122억6700만 홍콩달러(약 1조7888억원)로 집계됐다.
최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규모 투자한 것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메이투는 지난 5일 공개시장을 통해 2210만 달러(약 250억원)에 1만5000개의 비트코인에 미치다 이더리움을, 1790만 달러(약 203억원)를 투자해 379.12개 비트코인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메이투는 "이사회가 최근 승인한 가상화폐 투자 계획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며 "가상화폐 업계는 초기 단계로, 가격이 지금보다 더 오를 여력이 있는 데다 가상화폐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했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이사회의 승인에 따라 최대 1억 달러를 들여 가상화폐에 투자할 수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메이투는 기술 혁신에 맞춰 변화하고자 한다며 "이번 투자도 메이투가 향후 블록체인 시장에 뛰어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전했다.
메이투는 사진을 찍으면 필터를 통해 이를 보정해주는 동시에 화장한 사진으로 바꿔주거나 사진을 그림으로 바꿔주는 등의 기능을 가진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앱)인 '뷰티캠'을 개발한 업체로 한국에서도 잘 알려져있다. 이외 현재 산하에는 사진 보정 앱인 메이투슈슈(美圖秀秀), 셀카앱 카메라 메이옌샹지(美顏相機),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동영상앱 메이파이(美拍) 등 여러 앱도 운영되고 있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인 블록스트림(Blockstream) CEO인 아담 백(Adam Back)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는 비트코인(BTC)에 훨씬 못 미친다”라고 비난했다.
지난 24일(현지 시각) 암호화폐 전문 매체인 데일리 호는 아담 백 CEO가 최근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정치적이지 않고, 통제권을 갖는 사람이 없으며, 익명성을 가진 돈이다. 이는 CBDC와 명확히 구별되는 점이다. CBDC는 은행 계좌, 현금, 스테이블코인보다 안 좋다고 생각하며, 비트코인보다는 훨씬 더 나쁘다”라고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이어서 그는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나며 금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또 린디효과(Lindy effect, 생존해 온 기간이 긴 기술·사상·기업 등의 기대수명이 더 길어지는 효과)가 누적되며 비트코인의 보급은 가속화되고, 인지도는 쌓여갈 것이다. 더욱 많은 금융기관이 비트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밀레니얼 세대가 부를 상속받으면 그들은 금보다 비트코인에 자산을 할당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분석을 내놓았다.
반면 지난 15일 블록체인 해외 송금 프로젝트인 리플(Ripple)이 발표한 ‘리플 뉴 밸류 리포트’는 글로버 주요 금융업계 리더 중 약 70%가 CBDC는 법정화폐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5개국 금융기관 리더 1,600명을 대상을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5%는 추후 비트코인에 미치다 4년 내 자국 CBDC가 상용화될 것이라고 전했으며 44%는 CBDC가 국가 경쟁력을 높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이들 중 43% CBDC가 지불시스템을 개선하고, 42%는 금융 혁신 촉진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향후 CBDC가 비트코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으로 떠오를지 지켜보려고 한다.
한편 지난 20일(현지 시각) 블룸버그는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총재인 고드윈 에메필레(Godwin Emefiele)와 한 인터뷰에서 현지 시중 은행들이 수수료 수익 감소를 우려해 ‘이-나리아(e-naria)’의 도입을 방해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나리아는 지난해 10월 나이지리아에서 비트코인에 미치다 공식적으로 론칭된 디지털 화폐이다.
비트코인 바닥 찍었나…추락 한달 만에 2만3000달러 회복
암호화폐 시가총액 1위인 비트코인 가격이 한 달여 만에 2만3000달러 선을 회복했다. 업계에선 암호화폐 시장이 바닥 다지기 후 반등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암호화폐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20일 비트코인에 미치다 오후 5시 기준 2만3505달러에 거래 중이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선 이날 비트코인 원화 가격이 3000만원 선을 회복했다.
최근 2만 달러 수준의 박스권에서 횡보하던 비트코인이 2만3000달러를 돌파하며 투자 심리가 살아나는 모습이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공포-탐욕 지수’ 값은 이날 68.45로 ‘탐욕(60~80)’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 5월 8일 ‘공포(20~40)’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두 달여 만에 반등했다.
미국 암호화폐 투자업계의 ‘큰손’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 디지털 대표는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관련 행사에 참석해 “암호화폐 시장이 최악의 상황을 한 차례 보냈다”면서 “비트코인은 비트코인에 미치다 거래가 쉽고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훌륭해 금보다 나은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5년 내 50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는 지금 비트코인의 투자 양상이 과거 바닥을 쳤던 시기와 비슷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현재 비트코인 시장에 유입된 달러 투자금의 80% 이상이 3개월을 넘어섰다”며 “이는 과거 약세장에서 나타난 데이터와 일치한다”면서다. 지난 2012년과 15년, 18년 하락장에서도 비트코인에 투자한 전체 달러 중 투자 기간이 3개월 이상인 투자금의 비중이 80%를 넘었을 때 비트코인이 다시 상승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FTX 소속의 너새니얼 위트모어는 트위터에서 “암호화폐는 다른 자산과 동일하게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경기 침체 가능성 같은 거시경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며 “Fed가 긴축을 멈춘 뒤에야 강세장으로 돌아설 수 있을 것”이라고 비트코인에 미치다 말했다.
블록스트림 CEO “CBDC, 비트코인에 훨씬 못 미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아담 백(Adam Back)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비트코인에 미치다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는 비트코인에 훨씬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은 정치적이지 않고, 통제권을 갖는 사람이 없으며, 익명성을 가진 돈이다. 이는 CBDC와 명확히 구별되는 점이다. CBDC는 은행 계좌, 현금, 스테이블코인보다 안 좋다고 생각하며, 비트코인보다는 훨씬 더 나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나며 금의 자리를 비트코인에 미치다 대체하고 있다. 또 린디효과(Lindy effect, 생존해 온 기간이 긴 기술·사상·기업 등의 기대수명이 더 길어지는 효과)가 누적되며 비트코인의 보급은 가속화되고, 인지도는 쌓여갈 것이다. 보다 많은 금융기관이 비트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밀레니얼 세대가 부를 상속받으면 그들은 금보다 BTC에 자산을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97% 내린 22,340.52 비트코인에 미치다 비트코인에 미치다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RELATED ARTICLESMORE FROM AUTHOR
1억 BUSD 소각
판테라캐피탈 법률고문, 미 CFTC 선임 고문으로 합류
엘살바도르, 채무불이행 우려 완화 위해 국채 환매 계획
Bitcoin
Ethereum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비트코인 따라잡는다" [코인 스캐너]
경제 2022년 07월 25일 09:10
© Reuters. "이더리움,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비트코인 따라잡는다" [코인 스캐너]
사진=뉴스1 암호화폐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가상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5일 오전 8시40분 비트코인 가격은 2만2736.58달러로 24시간 전보다 0.93% 올랐다. 7일 전보다는 8.94% 상승했다. 이더리움과 바이낸스코인(BNB)은 하루 전보다 각각 3.84%, 1.45% 올랐다.
암호화폐 투자 심리도 다소 회복됐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공포-탐욕 지수'는 지난 24일 기준 54.30으로 '중립'(40~60)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53.75)과 1주일 전(42.90)보다 소폭 올랐다. 이 지수는 업비트 원화 시장에 2021년 2월 이전 상장한 111개의 코인에 대한 투자 심리 지수다. 암호화폐 투자 심리를 0부터 100으로 나타내는데, 0에 가까울수록 '공포'로, 100에 가까울수록 '탐욕'으로 구분한다.
" 이더리움 , 비트코인과 대등해질 것"업계에선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트코인에 미치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벡 라만 디파이(DeFi·탈중앙화) 전문가는 이더리움이 기존 작업증명(PoW)인 합의 메커니즘을 지분증명(PoS)으로 변경하는 업그레이드를 통해 비트코인과 대등하게 경쟁하는 지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라만은 "이더리움은 경제적 관점은 물론 공급 쇼크 효과로 인해 비트코인에 대한 경쟁 우위를 뒤집을 기회를 잡았다"고 주장했다.
이더리움의 머지 업그레이드는 오는 9월로 예상된다. 업그레이드 비트코인에 미치다 이후 이더리움은 통화 정책을 변경하고, 네트워크를 환경 측면으로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체 공급량도 90% 가까이 줄어들게 될 전망이다.
라만은 "이번 업그레이드 비트코인에 미치다 이후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보다 더 약한 인플레이션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반감기를 통해서만 인플레이션을 감당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수수료 부담까지 더해 더 디플레이션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이더리움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탈중앙화금융 경제에서 활용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했다. 비트코인 가격의 향방은가상자산 전문매체 유투데이는 "최근 테슬라가 비트코인 보유량의 75%를 매각했다는 점과 유럽중앙은행(ECB)비트코인에 미치다 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도 다행히 시장에 비정상적인 변동성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더 큰 규모의 개인 및 기관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있어서 안정적인 랠리는 기대하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코인 가격이 반등하기 위해선 투자자들의 위험 감수 성향이 회복돼야 한다고 전했다. 비트코인에 대한 위험 감수 성향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비트코인에 미치다 기준금리 인상을 비롯한 긴축정책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밀러 타박의 매트 말리는 "암호화폐는 본질적으로 유동성 자산"이라며 "Fed의 긴축정책 속에선 지속적인 랠리를 보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TD 아메리트레이드의 숀 크루즈는 "코인 가격이 크게 오르기 전에 위험 감수 성향이 먼저 회복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현재 바닥에 근접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제네시스의 노엘 애치슨은 "SOPR(spent output profit ratio)이 1미만을 기록했다"며 "가격이 바닥에 가깝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SOPR은 비트코인을 5개월 이상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매수 가격 대비 처분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다. 1미만으로 내려가면 코인 장기보유자조차 손실로 매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