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화학·철강 실적 하향세 뚜렷…반도체도 ‘안갯속’
엘지(LG)디스플레이가 2분기에 영업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기 하락세가 주요 기업 실적에서도 뚜렷하게 보여진다. 하반기엔 반도체 쪽까지도 상황이 나빠질 예상되며, 일부 그룹들이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거나 투자를 줄이고 있다.
27일 주요 기업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살펴보면, 전자·화학·철강 업종에서 내림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엘지디스플레이는 이날 2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5조6073억원의 매출을 올려 488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업체가 분기 기준으로 영업손실을 낸 것은 2020년 2분기(-5170억원) 이후 2년 만이다.
하반기엔 상황이 더 안좋아질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2분기 티브이 전세계 출하량은 4517만대로, 처음으로 분기 출하량이 4600만대 이하로 줄었다고 밝혔다. 또한 하반기에는 수요 감소가 이어지고, 엘시디(LCD) 패널 공급 과잉률이 최근 5년 동안 가장 높은 35%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가격이 더 가파르게 떨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김영우 에스케이(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비대면 수요 증가 효과가 끝나고 정상화하는 과정”이라며 “하반기에도 수요 감소에 따른 실적 하향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그동안 좋았던 반도체도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에스케이(SK)하이닉스는 2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13조8110억원의 매출을 올려 4조192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4%와 56% 증가했으나 회사 경영진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노종원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에스케이하이닉스 사장은 “하반기에는 실질적인 수요 위축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고, 메모리 수요 전망도 당초 예상 대비 상당한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내년에는 투자 지출을 상당폭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에스케이하이닉스는 단기 수요가 많은데 수요가 줄면 실적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며 “수요가 계속 줄어들 전망이라 실적도 이와 연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도 파운드리사업 분야는 견조하지만, 반도체 수요가 줄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엘지전자 등 전자 업종도 ‘코로나 특수’가 끝나가는 상황이다. 이 달 초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잠정치 발표에서 매출은 77조원, 영업이익은 14조원이라고 밝혔다. 전년 동기보다는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늘었지만, 3분기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던 매출 증가세는 꺾였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과 가전 부문에서 실적이 떨어졌고, 반도체가 그나마 선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마저 부진해질 경우 실적이 더욱 주춤해질 수 있다. 엘지전자 2분기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영업이익은 7917억원(잠정치)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줄었다. 수요 감소로 하반기에는 더 줄 것으로 증권가는 예상한다.
화학·철강 업종도 부진하다. 엘지화학은 이날 2분기 영업이익이 878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9% 줄었다고 공시했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롯데케미칼은 지난 3월 약속한 중간 배당을 4개월 만에 취소했다. 영업이익이 급감해서다. 석유화학 업계 관계자는 “유가 상승으로 석유화학 제품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이 올랐다”며 “보릿고개가 연말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아예 ‘비상경영’을 선언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요 위축·비용 상승·공급망 위기 등 복합적인 경제 충격을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변종만 엔에이치(HN)투자증권 분석가는 “6월부터 철강 가격이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며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하반기에 상반기 대비 20∼30%의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나마 자동차 업종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양새다. 현대차 2분기 매출은 35조9999억원, 영업이익은 2조97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58% 증가했다. 구자용 현대차 아이아르(IR) 담당(전무)은 “올해 전기차 시장은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생산 차질로 누적된 내수시장을 포함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자동차 대기수요는 여전히 증가세를 지속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 4일 딴 민 미얀마 상무장관이 청와대를 예방해 박근혜 대통령을 접견했다. 당시 청와대는 ‘아웅 산 수 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이 집권한 이후 가장 고위급 인사의 방문’이라고 크게 홍보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도움이 시급한 미얀마의 장관급 인사는 자주 한국을 찾는 편이었다.
오히려 특이한 인물은 딴 민 장관의 일정을 사실상 총괄한 김호범(44·가명)이라는 젊은 미얀마 교민이었다. 청와대 행사에 미얀마 측 인사로 참석한 그는 이튿날 양국 통상 관련 장관을 자신의 서울사무소 개소식에 부르는 등 위세를 과시했다. 그가 바로 최순실의 미얀마 핵심 인맥으로, 논란이 된 ‘미얀마 K타운’ 사업을 설계한 장본인이다.
미얀마 K타운 사업이 특검 수사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이유는 최씨가 자신의 존재가 폭로되기 직전까지 가장 애착을 보인 프로젝트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설문 수정 등을 처벌하는 데 형사법적 논란이 있다면 이 사안에서는 알선수재죄라는 뚜렷한 혐의가 포착됐다.
실제 최씨는 조카 장시호에게 “대대손손 물려줄 집안의 자산”이라고 말하며 이 사업에 전력을 기울였다. 주미얀마 한국대사를 자기 입맛에 맞는 인사로 갈아치운 것도 모자라 정부의 정부개발원조(ODA) 자금을 집행하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이사장직까지도 관련 사업(전시, 컨벤션) 전문가를 앉혔을 정도다. 심지어 김씨가 운영하는 MITS KOREA(미얀마 검사 및 검수 서비스)의 지분 15%를 직접 챙기고 이후 상장 계획까지 갖고 있었다. 이 때문에 최씨 주위에서는 ‘독일에서 이루지 못한 부동산 대박의 기운을 미얀마에서 느꼈기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때문’이란 해석도 나왔다.
K타운 사업의 핵심은 부동산
2011년 본격적으로 개혁·개방에 나선 미얀마는 한국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아시아 신흥국 가운데 하나다. 2014년 본격화된 코이카의 3대 무상협력사업 규모만 해도 미얀마개발연구소(2000만 달러), 새마을운동(2200만 달러), 구제역방지시스템(600만 달러) 등 총 550억 원에 이른다. 이 밖에도 각종 정부 산하기관이 유·무상으로 지원하는 액수도 상당하다는 평가.
미얀마 K타운 사업은 ODA 자금 6000만 달러(약 760억 원)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를 활용해 미얀마 수도 양곤에 사무실 및 각종 대형전시가 가능한 복합 컨벤션센터를 짓는 프로젝트다. 유례없이 빠르게 추진돼 늦어도 지난해 하반기 박 대통령의 미얀마 순방과 동시에 본격화됐어야 할 사업이었다. 이를 위해 청와대와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가 긴밀히 움직였다.
검찰과 특검의 수사 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계획은 2015년 10월 등기를 마친 가칭 ‘한류문화재단’, 즉 사단법인 미르의 설립과 무관치 않았다. 최씨는 케이팝(K-pop)과 케이푸드(K-food), 케이스포츠(K-sports) 등 이른바 한류문화를 공연하고 전시하기 위해 독자적인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청와대 및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미얀마 교민인 김씨다. 그의 아버지는 미얀마에서 25년 이상 사업과 선교활동을 병행하며 군사정부 시절 관료들과 적잖은 인맥을 형성했다.
미얀마 양곤의 부동산은 2011년 이후 ‘미쳤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비싼 것으로 유명하다. 시내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평범한 단독주택의 거래 가격이 50억 원 이상인 것은 물론, 임대료도 천문학적으로 높아 모 국제기구의 사무실 월세가 1억 원을 넘어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최씨도 “양곤의 부동산 가격이 압구정과 비슷하다”며 크게 놀랐다는 후문이다.
세계 최빈국 가운데 하나인 미얀마의 비정상적인 부동산 가격은 30년 이상 지속된 군부독재의 유산 때문이다. 즉 개혁·개방으로 수요는 폭증했지만 토지 상당수를 군인과 정부가 독점해 허가권을 비싸게 팔고 있는 것. 결국 미얀마에서 큰돈을 벌려면 공무원과 손잡고 부동산개발에 나서는 것이 최선이고, 이 과정에서 대사관이나 코이카 등의 도움을 받으면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발탁된 김씨는 인맥을 활용해 양곤 인근 약 10만㎡(3만 평) 규모의 상무부 유휴 대지를 섭외함으로써 최씨의 환심을 산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김씨를 소개한 장본인은 관세청 공무원. 커피와 중고차의 수출입을 위해 관세청을 드나들던 김씨를 고영태에게 연결해준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미얀마 K타운 사업에서 걸림돌은 김씨의 인맥이나 경험이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활용할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가 섭외해온 양곤 인근 상무부 유휴 대지는 컨벤션센터로 활용하기에는 도심에서 16km나 떨어진 평범한 주택가였다. 이백순 전 주미얀마 한국대사는 “도심은커녕 부도심도 아니라서 컨벤션센터 대지로는 부적절했다”고 기억했다.
최씨가 직접 고른 삼성 출신의 유재경 주미얀마 한국대사와 김인식 코이카 이사장 모두 전임자와 엇비슷한 평가를 내리면서 사업은 기약 없이 미뤄지게 된다. 청와대의 하명을 받고 지난해 7월 14일 미얀마로 떠난 김 이사장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킨텍스 사장 출신답게 꼼꼼하게 사업성을 평가해 해당 대지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내용을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청와대와 산자부에 보고한 것. 이에 발끈한 최씨가 자신의 미얀마 측근들을 대동해 현지답사에 나선 배경이 됐다. 결국 산자부의 재검토 지시를 받은 코이카가 9월 초 다시 현장을 방문한 뒤 최종적으로 ‘불가’ 입장을 천명하면서 미얀마 K타운 사업은 기세가 꺾이고 만다.
“최순실이 브로커에게 당했다”
미얀마 사정에 밝은 한 코이카 관계자는 “최씨 일당은 땅을 개발해 얻는 수익에만 신경 썼겠지만, 그 건물에서 생활해야 할 실무자 처지에선 어려운 문제였을 것”이라고 답했다. 상식적으로 판단하면 투자가 불가능했다는 얘기다. 현지 사정은 모른 채 비선 실세의 사적 인맥에 속은 청와대와 산자부만 몸이 달아 대통령의 미얀마 추가 방문까지 추진한 셈이다.
관세청 직원이 고씨에게 소개했다는 김씨의 이력도 미스터리하다. 그가 대외적으로 사용한 미얀마 상무부 산하 무역진흥국(Myanmar Trade Promotion Center)의 서울사무소장(관장)이라는 공직 직함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씨가 하는 무역 사업의 근거는 1990년대 미얀마 상무부 산하에 세워진 MITS라는 합작법인이다. 서방의 금수조치가 계속되던 군사정부 시절 자국의 수출입 행정을 간소화하고자 만든 것이지만, 실제로는 사문화된 조직. 그는 아버지의 인맥을 활용해 이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기업의 한국지사 권한을 얻어 2014년 1월 한국에 MITS KOREA란 회사를 세웠다.
문제는 그가 미얀마 정부와 인연을 앞세워 마치 “허가권을 독점해 선적 전 화물 검사는 물론, 통관과 세관 업무까지 가능하다”는 식으로 우리 정부기관에 접근한 것. 당시 코트라 양곤지사에서 일하던 한 관계자는 “당시 김씨의 과대홍보로 여러 기업으로부터 항의를 받은 바 있다”며 “실상 김씨의 사업은 일반적인 수출입 서비스와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무역 전문가들도 입을 모아 “특정 국가의 인증 및 통관과 관련된 사안을 일개 주식회사가, 그것도 해외에서 진행하는 사례는 없다”면서 의구심을 나타냈다. 양곤에서 유명 건설업체를 운영하는 교민 K씨 역시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는 상무장관을 팔아 국내서 장사한 사례”라면서 “그런 사람에게 속는 한국 정부가 우스운 모양새가 됐다”고 촌평했다.
미얀마 교민사회에서는 ‘비선 실세가 평범한 미얀마 브로커에게 당했다’는 말이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회자되고 있다. 현재 김씨는 특검 조사를 마치고 미국으로 거처를 옮겼다. 서울에서 마치 미얀마 정부기관처럼 포장돼 있던 김씨의 ‘미얀마 무역센터’ 역시 문을 닫았다.
주식시장구조에 대한 규제
우리와 달리 미국에서는 주식시장의 규모에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걸맞게 주식이 거래되는 경로도 다양하다. 정식 거래소만도 13개가 존재하고 브로커-딜러로 규제되는 인터넷시장에서는 물론이고 장외에서 딜러를 통한 거래도 가능해서 같은 주식이 여러 곳에서 거래될 수 있다. 이런 복수 시장의 존재는 시장 간의 경쟁을 통한 효율 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시장분할에 따른 가격발견기능의 저하라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런 사정 때문인지 미국에서는 법학 쪽에서도 전부터 주식거래의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오늘은 미국의 주식시장구조의 연혁, 현상, 개선논의에 대해서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최신 문헌을 소개한다. Paul G. Mahoney, Equity Market Structure Regulation: Time to Start Over (2020) 저자는 버지니아 로스쿨 교수로 이름만 오래 전부터 알고 있을 뿐 한 번도 만난 일이 없는 증권법학자이다.
저자에 따르면 미국의 주식시장구조가 이렇게 복잡하게 발전한 것은 규제당국의 체계적인 설계에 따른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의 시대적 수요에 대처해온 결과였다. 현재의 시장구조를 결정지은 가장 중요한 계기는 2005년 제정된 Regulation NMS였다. Regulation NMS에 따른 체제는 세 가지 원칙에 입각한 것이었다. ➀거래소들은 최선의 호가를 중앙의 증권정보관리기구(securities information processor)에 전달함으로써 브로커들이 최선의 가격을 찾는 것을 촉진해야 한다. ➁각 거래조직은 그 정보관리기구가 제시한 최선의 가격보다 불리한 가격으로 거래를 체결시켜서는 아니 된다. ➂모든 거래소는 모든 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은 다른 거래소에서도 거래가 가능하다. 이 원칙들의 목표는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연결된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말하자면 시장을 분할함으로써 경쟁을 촉발하고 시장을 연결함으로써 유동성과 가격발견기능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시도는 거래소의 수를 증가시켰지만 기대했던 경쟁과 혁신 대신 오히려 사회적으로 과도한 스피드 경쟁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미국 재무부와 SEC를 중심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저자는 보다 근본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보고 Regulation NMS를 폐지하는 대신 다음 ➀발행회사에 의한 거래장소 선택, ➁거래소 자치, ➂규제의 일관성이란 세 가지 원칙을 채택할 것을 주장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II장에서 현재의 시장구조가 형성된 과정을 서술하고 III장에서는 상호경쟁적이면서도 상호연결된 시장을 형성하는데 실패한 Regulation NMS의 결함에 대해서 살펴본 후 IV장에서는 저자가 주장하는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LabVIEW와 산업용 IoT 연결을 위한 실무 가이드
이 백서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어플리케이션용 클라우드 기반 개발 플랫폼에 연결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통신 프로토콜을 소개합니다. 또한 Amazon Web Services, IBM Bluemix, PTC ThingWorx 및 Microsoft Azure와 같은 가장 일반적인 IoT 클라우드 개발 플랫폼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LabVIEW 개방형 그래픽 개발 환경을 통해 CompactRIO와 같은 NI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러한 클라우드 플랫폼에 연결하는 방법도 알아보십시오.
- 세상을 변화시키는 IoT
- MQTT
- AMQP
- DDS
- Amazon AWS IoT
- Bluemix용 IBM Watson IoT
- PTC ThingWorx
- Microsoft Azure IoT Suite
세상을 변화시키는 IoT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세상에 나오면서 향후 10년 안에 세계 경제는 크게 변화할 것입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파괴적이고 혁신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호텔(Airbnb)과 택시(Uber)와 같은 소비자 부문에서 이미 경험했듯이 많은 산업과 부문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이니셔티브 등 업계에서도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또는 IIoT(산업용 IoT)에서는 기존 기술의 통합과 더 나은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산업, 기계, 제품, 사람은 모두 디지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1개의 수량으로 맞춤형 제품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지능형 소프트웨어는 엔터프라이즈 IT 시스템을 운영 환경, 기기, 디바이스, 센서와 가장 연결 가능한브로커 연결하여 생산 흐름을 제어하고 최적화합니다.
그림 1 – 산업용 IoT의 일반적인 아키텍처: 지능형 에지 노드가 센서, 액추에이터 및 디바이스를 IT 시스템에 연결
연결 비용이 감소하면서 처리 디바이스 및 센서의 IIoT 도입이 엄청나게 증가했습니다. 센서 데이터는 CompactRIO 또는 PXI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과 같은 스마트 에지 장치로 기기 가까이에서 캡처되고 사전 처리될 수 있습니다. 에지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고·모니터링하며·분석하거나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는 가상세계(IT 클라우드 플랫폼)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IIoT의 가치는 디바이스의 연결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기업이 실현하는 것에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과 해당 서비스가 이러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IoT 솔루션을 구현할 때 중요한 여러 가지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표준화, 상호 운용성, 빅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가 그것입니다. 이러한 과제를 인식하고 보안에 각별히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안은 모든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IIoT 디바이스에서는 강력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최신 보안 패치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CompactRIO의 보안 모범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NI에서 최신 보안 정보를 받으시려면 ni.com/support/security를 방문하십시오. 모든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은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강력한 인증 및 승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암호화도 사용합니다. 대다수는 감사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로컬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 리소스를 제공하는 유연한 방법입니다.
그림 2 - 클라우드 컴퓨팅 요소의 개요(이미지 출처: Sam Johnston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loud_computing.svg)
아래 표는 자주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 가지 서비스 레벨을 보여줍니다.
완전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제공자는 전체 플랫폼을 실행하고 관리합니다. 예: Gmail, Salesforce.com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실행 시간과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해야 합니다. 예: IBM Bluemix, Microsoft Azure, AWS IoT
서버 하드웨어,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기능과 같은 기본 구성요소를 제공합니다. OS 및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예: Amazon EC2(Amazon에서 제공하는 가상 시스템), IBM SoftLayer
클라우드는 모든 서비스가 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는 보안 환경에서 실행되며 다른 사용자와 서버를 공유할 수 있는 공용 클라우드로 또는 사용자 조직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온프레미스 또는 오프프레미스 방식으로 실행되는 사설 클라우드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는 일부가 온프레미스에 있고 다른 서비스가 클라우드에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도 배포할 수 있습니다.
IoT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를 연결합니다. Wi-Fi, 이더넷, 셀룰러 및 LoRaWAN과 같은 프로토콜은 모두 통신 프로토콜로 이러한 수준의 연결을 제공합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은 어플리케이션별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해 통신 프로토콜 위에 위치합니다.
다양한 표준이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간의 통신을 처리합니다. 어플리케이션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IoT 프로토콜이 개발되었고 이로 인한 혼란이 자주 발생합니다. 프로토콜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IoT 플랫폼에는 전용 IoT 솔루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범용 솔루션을 제공하려면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의 상호 운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NI 임베디드 시스템은 개방적이고 유연하므로 우수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NI Linux Real-Time OS, LabVIEW 그래픽 및 Eclipse C 프로그래밍 환경 지원, 활기찬 에코시스템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Linux 패키지를 통해 실현됩니다.
상위 레벨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는 세 가지 주요 사용 사례가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또는 M2M), 디바이스 대 서버(D2S) 및 서버 대 서버(S2S) 통신입니다. IoT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은 다양한 레벨의 실시간 동작 및 기타 특성을 지녔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개요를 확인하십시오.
영화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
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영화관 /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정유진 기자 = 여름 영화 '빅4'라 부를 수 있는 대형 배급사 텐트폴 영화들이 연이어 개봉을 했거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첫번째 작품이었던 최동훈 감독의 영화 '외계+인' 1부가 지난 20일 개봉했다. 일주일 뒤인 지난 27일부터는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한산: 용의 출현'(감독 김한민)이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이어 송강호, 이병헌, 전도연 등 멀티캐스팅이 돋보이는 '비상선언'(감독 한재림)이 오는 8월3일, 배우 이정재의 상업 영화 데뷔작 '헌트'가 8월10일 각각 개봉을 앞뒀다.
메이저 영화 4편의 흥행 성적을 예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전에도 영화의 흥행을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지만,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겪은 이후의 흥행 성적은 더욱 예측이 어려워졌다는 얘기가 나온다. 특히 지난 5월 '범죄도시2'의 천만 관객 돌파 이래로 극장가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범죄도시2'의 흥행은 기대 이상의 성과였다. '범죄도시2'는 배우 마동석 주연의 프랜차이즈 영화로 2017년 나와 688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한 '범죄도시'의 후속 작품이다. '범죄도시2' 이전 극장은 관객이 들지 않아 처참한 수준이었다. 흥행작이라고 할만한 작품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같은 마블 영화들이 전부였고, 한국 영화는 가뭄에 콩 나듯 개봉해 손익분기점을 겨우 넘기는 수준의 흥행만을 이뤄냈다. 하지만 '범죄도시2'는 개봉 직후 고르게 호평을 받았고, 영화가 개봉한 후에는 관객들 사이에서 유쾌한 내용에 대한 입소문이 나며 무려 3년 만에 천만 관객 돌파를 이뤄냈다.
'브로커'와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외계+인' 1부 등 '범죄도시2' 이후로 차례로 개봉한 기대작들이 다소 아쉬운 성적을 내고 있는 점도 기존의 예상을 뒤엎는 결과다. 칸 영화제 수상작인 '브로커'와 '헤어질 결심'은 29일 현재 각각 누적관객수 126만497명, 159만3794명을 동원했다. '브로커'는 손익분기점으로 추정되는 150만명을 넘기지 못했고, '헤어질 결심'은 120만명을 넘겼지만 '흥행했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성적을 냈다.
더불어 지난 5일 개봉한 '토르: 러브 앤 썬더'는 현재 270만3428명의 관객이 영화를 봤고, '외계+인' 1부는 개봉 2주차 주말 전인 지난 28일까지 117만149명을 동원했다.
'토르:러브 앤 썬더'의 성적은 두 달 앞서 개봉한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가 588만4077명과 비교할 때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외계+인' 1부의 경우 손익분기점이 730만명 가량 되지만, 개봉 일주일째 100만 관객을 동원하는 데 그쳤다. 개봉 2주차 주말의 성적 반등을 노리고 있는 중이다.
이처럼 극장가에서는 일부 영화들은 확실한 흥행에 성공하지만, 그 외 작품들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것도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
가장 큰 요인의 하나로 꼽히는 것은 관람 환경의 변화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와 티켓값 상승 등으로 인해 가장 대중적인 장소 중 하나였던 극장의 입지에 다소 변화가 생겼다. 특히 멀티플렉스 3사는 꾸준히 티켓값을 올려왔다. 올해도 이 같은 흐름은 이어졌고 CGV는 지난 4월부터,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는 7월부터 평일 2D 영화 기준 1000원씩 관람료를 인상했다.
제작사에 근무하는 영화 관계자는 "영화 한 편을 보려면 적어도 1만5000원이 든다, 비싼 요금을 지불하고 보는 만큼 확실한 재미가 있는 작품을 선호하고, 이를 위해 시간을 들여 영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가장 적합한 선택을 하려고 하는 것 같다"고 뉴스1에 밝혔다.
배급사에 근무하는 다른 영화 관계자 역시 "관객들이 극장에 가서 볼 영화를 택하기 보다는 예매해서 보는 게 보편화됐다, 팬데믹 이후에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관람작을 더 면밀하게 선택하는 것 같다"며 "이제는 리뷰도 찾아보고 입소문이 어떤지, 다른 사람들이 어떤지를 가지고 자신의 티켓값을 최대한의 효율로 찾아서 소비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영화 한 편을 본다'는 느낌보다는 '특정 콘텐츠'를 보러 가는 느낌이다"라고 생각을 알렸다.
관객들이 '볼거리'로서의 가치가 확실한 작품을 선호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톰 크루즈 주연의 '탑건: 매버릭'은 4DX와 아이맥스, 스크린X 등 특별 상영관의 상영 비중이 다른 영화보다 높았던 작품이다. CGV데이터전략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탑건: 매버릭'의 일자별 객석율은 일반관에 비해 4DX, 스크린X 등 특별 상영관이 월등히 높았다. 일반관 객석율은 16.%에 머물렀으나 4DX스크린은 64.7%, 4DX는 42.4%를 기록했다. 일부 관객들은 특별 상영관에서 관람하기 위해 'N차 관람'을 택하기도 한다.
배급사 관계자는 "요즘 관객들은 극장에서만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찾는 것 같다, 아이맥스, 4DX, 돌비 사운드라든지 하는 것들이다, 어쨌든 OTT로 재밌는 게 많아도 경험할 수 없는 경험이 극장에 있고 그런 재미에 대한 입소문이 나오면 흥행으로 연결이 되는 것 같다"고 밝혔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