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시장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출처=KB증권]

IFC (국제금융공사) 소개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는 세계은행 그룹 (World Bank Group)을 형성하고 있는 금융기관으로서 개발도상국의 민간부문 투자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세계 최대의 개발 금융 기관 입니다 .

국제금융공사 ( IFC) 는 세계은행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국제부흥개발은행 (IBRD), 국제개발협회 (IDA) 등과 함께 민간기업들이 충분한 민간자본을 얻기 힘들 때 자본을 제공하는 역할을 비롯해 파트너에게 적합한 개발 솔루션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 IFC 는 금융 자원 , 기술 전문성 , 세계 도처에서의 경험과 혁신적 사고를 바탕으로 파트너들의 재정 , 운영 및 정치적 문제들을 풀어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아울러 파트너들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투자 조언과 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며 ,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금융 , 인프라 , 기술력 , 규제 환경 등과 같은 부문에서 직면하는 주요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또한 IFC 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제 3 자 금융을 ( 신디케이트론 , 출자 등 ) 파트너 금융기관의 참여를 통해 조달하고 있습니다 . 어려운 투자환경을 마다하지 않고 , 민간 투자은행 업무를 앞세워 기업의 참여를 주도합니다 .

국제금융공사 (IFC) 는 차별화된 운용역량을 발휘하고 , 다양한 시장 상황에서도 전문화되고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 개발도상국의 투자부문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

IFC의 경쟁력 국제금융시장

혁신: I FC 는 반세기 이상의 혁신을 추진해 왔으며 개발이 필요한 국가들의 민간부문 발전과 개발을 이끌어왔습니다.

국제금융시장

[출처=KB증권]

[출처=KB증권]

KB증권은 ‘2022년 하반기 국제금융시장 및 원자재시장 전망’ 설명회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오는 25일 오후 6시 KB증권 본사(The K-Tower) 15층에서 진행된다. 해외 선물·옵션 거래에 대한 고객들의 높은 관심에 부응하고자 최근 불투명한 국제금융시장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투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해외 선물·옵션 거래에 관심 있는 고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신청 및 참석할 수 있으며, 사전에 유선으로 신청한 선착순 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설명회 1부에서는 KB증권 리서치센터 자산배분전략부 김상훈 이사가 ‘2022년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고, 2부에서는 코리아PDS 유태원 실장의 ‘에너지 및 곡물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참석한 고객에게는 KB증권을 통해서 해외선물 거래를 할 경우, 해외선물 온라인 수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CME 지수·통화·국채 해외선물 마이크로 상품과 일반·미니 상품에 대하여 마이크로 상품의 경우 계약당 0.8달러 일반·미니 상품의 경우 계약당 2.5달러의 할인 수수료 혜택을 제공한다. 이 혜택은 신청일로부터 8월말까지 3개월간 제공한다.

이홍구 KB증권 WM영업총괄본부장은 “금리 상승과 지정학적 우려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시장 상황에서 생생한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외시장에 대한 엄선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이 기 성.

Presentation on theme: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이 기 성."—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이 기 성

국제금융시장 2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시장의 의의
국제금융시장(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이란 국제무역 또는 해외직접투자 및 간접투자, 장단기 자금의 국제적 대차거래에 의해 발생된 금융자산 및 부채를 결제하기 위해 국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메커니즘을 말함. 구체적 개념 : 미국, 유럽 등 주요 금융중심지나 거래소 추상적 개념 : 국제자금의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거래형태에 관련된 기구, 기능 및 거래내용 등을 총칭 최근에는 구체적 개념의 시장보다 세계적으로 24시간 거래가 가능해짐에 따라 추상적 개념의 시장이 그 비중을 더해가고 있음.

3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시장의 의의
국제금융은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함. 그러나 본격적인 의미의 국제금융은 1950년대 말 유로달러시장이 형성되고 미국 은행들이 유럽으로 진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음. 과거에는 국제금융시장이 국내거주자간에 자금의 대차가 이루어지는 국내금융시장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이용되어 왔음. 그러나 최근에는 각국의 금융시장이나 외환시장에서 규제가 크게 완화되고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금융시장의 글로벌화, 통합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은 거주성이나 장소적 구분을 초월하여 각국의 금융시장, 유로시장, 그리고 외환시장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거래메커니즘으로 이해되고 있음.

4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시장의 기능
국제금융시장의 기능은 크게 전통적 기능과 현대적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음. 전통적 기능 : 국가간 자금거래를 원활히 함으로써 실물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함. 따라서 국제금융의 형태도 무역결제, 무역금융, 실물투자의 자원조달을 위한 예금 및 대출 국제금융시장 등 간접금융이 주요 형태임. 현대적 기능 : 금융자산의 효율적 운용을 통한 이익창출 및 자본생산성 증대, 무역 및 투자 확대, 국제유동성 조절, 경제발전 촉진 등의 기능이 중시함. 따라서 간접금융보다 증권중심의 직접금융이 주요 형태임.

5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시장의 참가자는 크게 차입자, 투자자 및 자금중개기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음. 차입자(역할 : 국제자금의 조달) 경제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보다 저렴하게 조달하고자 참여 예 : 다국적기업, 각국의 대기업, 각국의 정부, 국제기구 등 투자자(역할 : 국제자산포트폴리오의 구성) 자산운용과정에서 저위험, 고수익 기회를 획득하고자 참여 예 : 연금기금, 상호기금, 보험회사, 일부 다국적기업 등 자금중개기관(역할 : 국제자금의 중개) 차입자와 투자자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 예 : 국제금융시장 금융중개기관(국제상업은행 및 국제투자은행), 브로커 회사(brokerage firm) 등

6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7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결제제도
국제금융시장에서의 거래가 성사되면 결제를 해야 하는데, 서로 다른 통화를 사용하는 국가간 증권거래의 지급결제는 국제증권결제와 외환결제라는 두 가지 차원을 포괄함. 증권결제는 증권거래 당사자들이 청산과정을 통해 확정된 채권채무관계를 증권을 인도(delivery)하고 대금을 지급(payment)함으로써 종결하는 것을 의미함. 국제증권결제란 증권을 외국시장에서 구매 또는 판매하거나 국내시장에서 비거주자와 거래하는 경우에서의 증권결제를 의미함. 증권결제의 종류는 증권인도와 대금지급의 동시이행 여부에 따라 동시결제(delivery versus payment : DVP)와 분리결제(free of payment)로 구분됨.

8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결제제도
국제증권결제는 증권구매자의 지급통화가 증권판매자의 수취통화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므로 외환결제를 필요로 함. 외환결제란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매도 및 매입기관간에 거래한 통화를 서로 지급함으로써 채권채무관계를 종결시키는 행위를 국제금융시장 의미함. 증권결제는 증권인도와 대금지급이라는 반대방향의 두 가지 과정간 시차가 발생하는 경우 원본위험(principal risk)이 수반됨. 또한 국제결제는 더욱 많은 경제주체와 하나 이상의 통화가 그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하고 관련된 위험도 더 클 수 있음.

9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결제제도
일반적으로 특정 증권의 결제가 가능하려면 거래 쌍방이 그 증권을 인도하거나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함. 일반적으로 국제증권거래의 경우 거래 쌍방이 서로 다른 국가에 거주하고 일방 또는 쌍방이 증권예탁장소와 다른 국가에 거주함. 국제증권결제는 증권구매자의 지급통화가 증권판매자의 수취통화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므로 외환결제를 필요로 함. 따라서 국제증권결제는 다른 국가의 결제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상이한 결제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요구하게 됨.

10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국제금융결제제도
1980년대 이후 국제적인 증권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각국 증권예탁결제기관(central securities depository)간 제휴나 연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음. 1968년에 설립된 ‘Euroclear’는 유로채의 인도 및 결제기능을 수행하는 기구임. 1970년에 설립된 CEDEL은 2000년 독일의 채권결제기관인 DBC와 합병해 ‘Clearstream’으로 변모함. 또한 최근에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중심으로 범세계적 집중결제시스템(global central counterparty)의 설립에 관한 협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이외에도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국제증권결제제도의 구축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음.

11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광의의 국제금융시장
광의의 국제금융시장은 크게 지불수단(means of payment)이 거래되는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과 신용(credit)이 거래되는 신용시장(market for credit)으로 구분함. 신용시장은 장소에 따라 국내신용시장과 좁은 의미의 국제금융시장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음. 신용시장은 기능적 측면에서 국제단기금융시장, 국제자본시장, 파생금융상품시장으로 세분함. 그러나 신용시장은 금융중개방식, 금융기관의 소재지, 금융상품의 만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음.

12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일반적으로 국제금융시장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분류함.

13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국제금융시장의 기능별 구분

14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금융중개방식 직접금융시장(direct financial market) :
자금의 거래가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직접 이루어지는 시장으로, 자금수요자가 발행한 증권을 자금공급자가 매입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짐. 예 : 주식시장 및 채권시장 등의 증권시장 간접금융시장(indirect financial market) : 자금의 거래가 금융중개기관(financial intermediaries)을 통해 이루어지는 시장으로, 금융중개기관인 은행 등을 통해 자금공급자로부터 예치(예금)되고 자금수요자에게 대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짐.

15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금융기관의 소재지
역내금융시장(foreign market or onshore market) : 내국인과 외국인간 또는 외국인 상호간의 거래가 금융기관 소재국의 통화로 이루어짐. 즉, 자국의 국내금융시장(domestic finance market)을 말함. 직접금융시장 : 외국증권시장 간접금융시장 : 국제여신시장 역외금융시장(external market or offshore market) : 금융기관 소재국 이외의 통화로 이루어지며, 협의로 유로(금융)시장(Euro market)이라 함. 직접금융시장 : 유로증권시장(또는 유로채시장) 간접금융시장 : 유로커런시시장(Eurocurrency market)

16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분류 금융상품의 만기
국제단기금융시장(국제자금시장 : international money market) : 일반적으로 만기일이 1년 이내의 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 예 : 환매조건부증권(RP or Repo), 양도성예금증서(CD), 단기재정증권(T-bill), 은행인수어음(BA), 기업어음(CP) 등의 단기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 국제자본시장(international capital market) : 일반적으로 만기일이 1년 이상의 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으로 국제주식시장(international equity market)과 국제채권시장(international bond market)이 있음. 예 : 국제주식, 국제채권, 신디케이트대출(syndicated loan) 등이 거래되는 시장

17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현황
오늘날 국제금융시장은 각국 금융시장의 개방 및 규제완화, 정보통신기술 및 금융기법의 발달 등으로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국제금융시장의 전체 규모는 전 세계 GDP의 4배 가까이 됨(2006년 기준). 시장별로는 채권시장 및 은행시장이 상대적으로 크고 주식시장은 이들에 비해 작은 편임(2006년 기준). 지역별로는 EU, 북미, 일본 및 아시아, 기타 지역 순으로 나타남(2006년 기준).

18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현황
1980년대 중반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 가장 놀랄 국제금융시장 만한 발전을 이룬 분야는 파생금융상품시장이라고 할 수 있음. 금융글로벌화와 더불어 각국에서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금융기관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자율과 환율 등 금융시장에서의 가격변동폭이 확대되었음. 이와 같은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고 효율적인 자산부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헤징수단으로 파생금융상품이 등장하게 됨.

19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변화
최근 국제금융시장은 규모가 확대되어 가는 추세와 더불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보이고 있음. 자본이동의 증대와 금융시장의 통합 1980년대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커다란 변화는 자본이동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각국 금융시장의 움직임이 동조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이와 같은 통합현상의 주요 요인으로는 자본거래에 대한 일련의 규제완화와 더불어 정보통신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 등으로 금융거래비용이 대폭 절감됨.

20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변화 금융의 증권화
국제금융거래에서 증권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임. 금융의 증권화란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서 은행 등 금융기관의 매개에 의한 방식이 줄어들고 증권발행을 통한 방식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함. 즉, 간접금융보다 직접금융을 통한 자본조달 규모가 증대되고 있음.

21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변화 금융기관의 대형화 및 종합화
국제금융시장의 환경이 급변하면서 세계금융시장의 주도권 장악을 위한 금융재편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 금융재편의 가장 큰 특징은 금융기관의 대형화 및 종합화라 할 수 있음. 증권화의 확대로 상업은행업무의 한계가 노출되면서 금융기관들이 투자은행업무, 자산운용업무를 강화하고 있고, 겸업화가 가속화되면서 금융기관들이 인수합병을 통해 새로운 업무영역으로 확대하는 종합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22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변화 거래기법의 고도화
국제자본이동이 증대됨에 따라 환율과 금리 등 기초금융변수들이 급격한 변동을 보이면서 시장참가자들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게 됨. 또한 금융기관간 업무영역의 자유화와 국제금융시장의 통합화 추세는 새로운 금융서비스의 끊임없는 창출과 금융상품개발을 도모하게 됨. 그 결과 고객의 다양한 수요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 등이 고도의 금융기법을 발전시킨 주요 요인이 됨.

23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시장의 현황과 주요 변화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변화 금융위기의 증대
국제자본이동의 증대, 금융시장의 통합 등으로 각국은 외부적 충격에 더욱 노출됨. 속성상 가변적인 국제자본이동의 증대는 금융위기 발생가능성을 증대시킴. 또한 금융위기가 주변국으로 확대되는 전염효과도 크게 나타남.

24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국제금융시장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개념
국제금융센터(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는 기관들이 지점 또는 현지법인의 형태로 영업망을 집중시킴으로써 국제금융거래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를 말함. 즉, 국제적으로 널리 인식되어 있고 국내외 기업(다국적기업)들과 국제금융시장 금융기관들 간에 금융중개가 일어나는 금융중심지를 의미함. 국제금융센터에서는 국제외환시장, 국제단기금융시장, 국제자본시장의 역할을 함. 국제금융센터는 국제수지의 융통기반이 되고, 다국적기업의 투자에 대한 자금융통의 거점과 금융혁신의 개발근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25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기능

26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금융서비스의 범위에 따른) 구분
전통적 국제금융센터(traditional financial center) : 상대적으로 우월한 경제규모, 자국통화의 국제신인도 및 고도로 발달된 국내금융시장을 바탕으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국제금융시장 국제금융활동의 중심지 예 : 런던금융센터, 뉴욕금융센터, 도쿄금융센터 등 역외금융센터(offshore financial center) : 비거주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며 소규모경제국가들이 해외금융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루어진 금융센터 예 : 싱가포르, 홍콩, 룩셈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의 금융센터

27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금융서비스의 범위에 따른) 구분
기장역외금융센터(booking offshore financial center) : 금융규제 회피, 거래비밀 보장 등의 목적으로 단순히 거래내역의 기장처리(booking)만을 하는 금융센터 예 : 카리브해(Caribbean Sea) 지역의 금융센터

28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요건 안정적인 경제환경
금융환경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정치적 및 사회적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함. 금융인프라 구축 단기금융시장, 자본시장, 외환시장 등이 발달되어 다양한 금융상품이 폭넓게 거래될 수 있어야 함. 또한 정보처리기술 및 통신시설 등의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유수의 국제금융기관 및 금융전문인력 등의 소프트웨어가 잘 갖추어져 있어야 함.

29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의 요건 제도적 여건
자본거래를 저해하는 각종 규제의 완화 및 철폐, 조세 우대 등의 조치도 필수적임. 그리고 금융자유화 및 금융시장의 개방은 경쟁을 촉진시켜 금융혁신을 유발하여 해당 국가의 금융시장을 발전시킴으로써 국제금융센터로서의 여건을 강화시키는 상승작용을 함. 생활여건 인력수급 및 현지체류 인력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환경도 중요한 여건임. 예 : 노동시장의 유연성, 언어소통 능력, 외국인에 대한 태도, 거주환경, 주요 국가들과의 시차 등

30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주요 국제금융센터 런던금융센터
19세기 이래 세계무역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배경으로 형성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금융센터임. 1950년대 이후 유로자금시장의 생성과 더불어 근대적 의미의 국제금융센터로 발전함. 런던금융시장은 거래량이 많고 정보수집이 쉽기 때문에 런던에 소재하는 은행들 간의 거래에 적용되는 런던은행간 이자율(London Inter-Bank Offer Rate : LIBOR)인 리보는 국제금융시장의 대표적인 금리로 인정받고 있음.

31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주요 국제금융센터 뉴욕금융센터
뉴욕금융센터는 국제금융시장 미국이 세계경제의 중심지로 등장하면서 고도로 발달된 국내금융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함. 달러화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기축통화로서 민간부문뿐만 아니라 각국 중앙은행의 대외준비자산(reserve currency)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미국의 금융시장, 특히 채권시장은 거래규모, 가격결정의 투명성 및 지급결제제도의 발달 정도 등에 있어 가장 우수함. 또한 뉴욕 소재 금융기관들은 국제금융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신종 금융상품과 금융기법의 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32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국제금융센터 주요 국제금융센터 싱가포르금융센터
싱가포르금융센터는 싱가포르가 고용창출을 위해 조세감면 등의 조치를 통해 역외금융산업을 인위적으로 육성하면서 성장함. 싱가포르는 정치적 안정, 통신시설 등 사회간접시설의 발달, 풍부한 전문인력과 지리적으로 근접한 아시아 국가들의 급속한 경제성장 등을 국제금융시장 배경으로 아시아의 대표적인 역외금융센터로 발전하고 있음. 카리브해(Caribbean Sea) 지역의 금융센터 카리브해 지역은 기본적인 여건은 미흡하지만 자금에 대한 세금회피 및 비밀금융거래를 보장해줌으로써 일정한 기반을 가지고 있음(케이만군도, 파나마 등).

33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최근 들어 국제금융시장에서 헤지펀드(hedge funds),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s),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 등이 주요 참가자로서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음. 헤지펀드 헤지펀드의 개요 헤지펀드(hedge funds)는 고수익 확보와 위험회피를 위해 증권, 파생금융상품 및 차입금 등을 활용하는 모든 사적 투자계약 또는 투자조합을 말함. 헤지펀드는 투자자산 1백만 달러 또는 연소득 20만 달러 이상의 부유층 개인고객들을 대상으로 100명 이내의 투자자를 모집해 증권 및 관련 금융상품을 통해 자금을 운용한 후 투자실적에 따라 배당하는 일종의 사모 투자파트너쉽(private investment partnership)이라 할 수 있음.

34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헤지펀드의 발전
헤지펀드는 1949년 월가(Wall Street)의 투자자였던 알프레드 윈슬로우 존스(A.W. Jones)에 의해 처음 설립됨. 헤지펀드란 용어는 1966년 포춘(Fortune)지 기사에 존스가 운용하는 주식투자전략을 국제금융시장 소개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등장함. 헤지펀드가 발전하게 된 계기는 1969년 조지 소로스(G. Soros)가 더블 이글펀드(Double Eagle Fund; 이후 1973년 Quantum Fund로 개명)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하면서부터임. 1990년대 미국의 초저금리정책으로 시중자금이 은행예금에서 뮤추얼펀드(mutual fund) 등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시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옴.

35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헤지펀드의 발전
헤지펀드는 1997년 동아시아 위기 및 1998년 롱텀캐피탈(Long Term Capital Management : LTCM)사의 붕괴 등으로 침체를 보이기도 했지만, 최근 세계적인 저금리와 유럽의 통화통합과 함께 유럽을 중심으로 다시 활기를 찾고 있음. 헤지펀드의 유형 헤지펀드는 투자전략에 따라 거시경제형, 부도기업투자형, 상황투자형, 시장중립형, 공매도형, 펀드조합형 국제금융시장 등으로 분류함. 헤지펀드는 본래 시장위험의 최소화를 통한 안정적 투자를 중시하기 때문에 레버리지(leverage : 타인자본의존도, 즉 차입)가 낮은 펀드가 많음.

36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헤지펀드의 주요 운영사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대표적인 회사로는 JP Morgan, Goldman Sachs 등이 있음. 과거에는 소로스 자산운용사와 같이 개인들이 설립한 회사들이 주요 헤지펀드 운영사를 이루었는데, 최근에는 미국의 대형 은행들이 헤지펀드의 운영을 주도하고 있음.

37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헤지펀드의 주요 운영사

38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사모펀드 사모펀드의 개요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s)는 특정 소수의 고액투자자로부터 장기로 자금을 조달해 전문적으로 기업주식, 경영권 등에 투자하고 경영성과의 개선을 통해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임. 자금의 모집뿐만 아니라 자금의 운용도 사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임. 헤지펀드는 일반적으로 기업경영에는 개입하지 않고 단기간에 매매차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사모펀드는 기업에의 경영권 참여와 구조조정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인 후 되팔아 이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차이가 있음.

39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국제금융시장 및 국부펀드 주요 사모펀드

40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국부펀드 국부펀드의 개요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해 운용하는 국가투자기금을 의미함. 국부펀드는 운용목적이나 투자자산의 선택 등에서 헤지펀드, 사모펀드, 연기금 등과 유사하지만, 소유권이 민간이 아니라 국가에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 국부펀드의 재원조달 국부펀드의 재원조달은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대부분은 외환보유고 등 외화자산에 의존해 이루어짐.

41 제6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헤지펀드, 사모펀드 및 국부펀드 국부펀드 국부펀드의 발전
국부펀드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05년경임. 1953년 쿠웨이트투자청(KIA), 1956년 길버트제도(영국식민정부)의 키리바시(Kiribati) 자산균등화기금 등이 시초이며, 많은 국부펀드는 1970년대에 만들어졌음. 2000년대 이후 국부펀드는 아시아와 중동을 비롯한 신흥시장국가들이 주로 조성해 왔음. 대표적인 국부펀드로는 아부다비투자청, 노르웨이 정부 연기금, 싱가포르투자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투자청, 중국투자공사, 한국투자공사(Korea Investment Corporation : KIC) 등이 있음.

국제금융시장

〈2022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투표 참여 회원 전원 1천원 상품권 증정!

취향으로 채우는 일상 - 디즈니 분리수거함/디즈니 일체형 장바구니/투웨이 보냉백/미니 접이식 테이블

7월 얼리리더 주목신간 : FIND YOUR WAVE 북서핑 배지 증정

YES24 트윈링 분철 : 인서트라벨/스티커 택1 증정

7월 전사

쇼핑혜택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품목정보
출간일 2001년 07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442쪽 | 크기확인중
ISBN13 9788918130057
ISBN10 8918130058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최근 국제금융시장에서 가격예측기법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기술적 분석기법을 지지선, 저항선, 갭 등 기초부터 최신 시장예측이로까지 다루었다.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 서론
2. 기술적 분석의 개념
3. 기줄적 분석의 국제금융시장 기본지식
4. 패턴 분석 기법(1) - 반전형
5. 패턴 분석 기법(2) - 지속형
6. 갭, 반전일, 되돌림
7. 포인트 앤 피겨 차트
8. 추세 분석법
9. 시장특성 분석법
10. 심리적 분석기법
11. 엘리어트 파동이론
12. 결론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기술적 분석기법(cechnical analysis)이란 어떤 상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external factors)을 연구하기보다는 그 외부요인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시장가격 그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가격변화를 알아내고자 하는 가격 예측기법이다. 즉 기술적 분석기법의 기본적인 가정은 현재까지의 가격 움직임을 연구하면 앞으로서의 가격 움직임을 알 수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어제의 가격 움직임을 보면 내일의 가격 움직임을 알수 있다는 것이다.

기술적 분석가(technical analysist, technician)들은 시장가격이 움직임이 무작위적으로 형성된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또한 예측불가능하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은 시장가격으로 표현되는 수요, 공급의결과만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근본적 분석가와는견해를 달리하며 또는 가격의 예측가능성을 믿으므로 랜덤이론가(random walk theorist)와도 입장을 달리한다.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달러·금리·유가' 급등…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면서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 주요국 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달러는 안전자산 선호 강화로 강세를 보였고 유가도 급등했다.

11일 한국은행은 '2022년 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을 통해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가격지표가 높은 변동성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미지. [사진=아이뉴스24 DB]

먼저 주요 선진국 금리(국채 10년물)는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영상에 따라 큰 폭으로 등락하면서 상승했다. 미 국채 10년물은 1월말 1.78%에서 지난 9일 1.95%로 확대됐으며, 독일은 0.01%에서 0.22%로 상승했다. 영국도 1.30%에서 1.53%로 올랐다.

러시아 국채 역시 우크라이나 침공의 직접적 영향으로 큰 폭 상승했다. 같은 기간 러시아의 국채 10년물은 9.42%에서 12.52%까지 뛰었다. 또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2월 28일 정책금리를 9.5%에서 20.0%로 큰 폭으로 인상하기도 했다.

반면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 2월 1일에서 3월 9일 사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는 5.8%가 떨어졌다.

미국 다우 존수 산업평균지수(DJIA)는 5.2%가 하락했으며 일본의 니케이 225 주가지수 선물(Nikkei225)은 8.5%가 하락하고 독일의 종합주가지수(DAX)도 10.5%가 하락했다.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 침공과 함께 30.0%가 급락했으며 거래가 중단된 상태다.

환율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커지면서 달러를 중심으로 변동성이 커졌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2월 1일에서 3월 9일 사이 1.5%가 상승했으며 유로화는 1.5%가 하락하고, 영국 파운드는 2.0%가 하락했다. 러시아 루블화는 43.8%까지 하락했다.

원화 환율은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 영란은행이 매파적 통화정책 결정,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 달러화지수가 하락하며 1천190원대까지 하락했다가 2월 하순 들어 유가 급등 등의 영향으로 1천202.3원으로 큰 폭 반등했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의 전일대비 변동률도 상승했다. '전일대비 원달러 환율 변동성'은 지난 2월 2.6원에서 3.1원으로 확대됐고 변동률도 0.22%에서 2.26%로 늘었다.

2월중 은행 간 외환거래 규모는 270억5천달러로 전월 294억4천달러에 비해 15억9천달러 감소했다. 원달러 현물환과 외환스왑 거래규모가 감소한 까닭이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 주식자금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18억6천달러가 빠지며 순유출으로 전환됐다. 반면 채권자금은 34억9천달러가 유입되며 순유입을 지속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