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방법 알아보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자기 자본금 5억 원 이상 매출액 10억 이상 순이익 3억 이상 ​ 중 한가지만 충족되어도 상장가능

키움증권 신용거래 사용 방법 (이자율 확인, 상환, 반대매매)

증권사에서는 고객들의 대표적인 자산인 주식을 담보로 다양한 대출 투자를 지원해주고 있는데, 이 중에서 신용거래(Margin Trading)이 사용률이 가장 높습니다. 신용거래란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이나 예수금을 담보로 주식매수자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종의 지랫대 투자(레버리지)로 투자성과와 관계없이 빌린 기간에 따른 신용 이자만 납부하면 되기 때문에 순자본만 투자하는 것에 비해서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단 하락시 하방으로도 레버리지가 적용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순자본만으로 감내할 수 없는 손실의 가능성도 생기며 일정담보비율 이상으로 나의 자산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반대매매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대출이 상환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주식이 충분히 저평가되고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면 신용거래를 가끔 이용해서 추가 수익을 챙기곤 하는데 우량주에 낮은 비율의 신용대출로 투자한다면 반대매매 위험성이 거의 제로에 가깝고 기간에 따른 이자는 크게 부담되는 액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신용거래를 사용하는 것은 주식투자를 오랜기간하신 분들 중에서 경제위기도 겪어보시고, 어떻게 주식으로 돈을 벌 수 있는지에 대한 확고한 투자관이 있으신 분들에게만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내 순수 원금만 투자할 경우 왠만해서는 깡통을 찰 일이 없는데, 우리가 가끔 들을 수 있는 주식 깡통 썰은 모두 신용거래로 인한 반대매매로 생기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대출로 투자하는 것은 양날의 검이라는 것을 주의하시면서 본문을 읽고 키움증권 거래 방법 알아보기 신용거래 사용 방법을 익혀보시기 바랍니다.

키움증권 신용거래 알아보기

기본 정보

① 신용거래 서비스 : 주식매수시 필요한 투자자금을 대출받아 거래하는 서비스입니다.

② 신용융자 한도 : 계좌별 총 한도는 15억, 종목군에 따라서 A,B,C군은 15억이고 D군은 3억까지입니다.

④ 신용융자기간 : 90일 단위로 2번 연장이 가능하여 최대 270일까지 투자할 수 있습니다.

ABC군은 90일(270일 연장가능), D군은 30일(90일 연장가능) 만약 만기일까지 연장하지 않은 상태로 상환이 안된 경우 만기일 익영업일 오전 8:30분에 반대매매가 접수되어 동시호가에서 매도 후 상환처리 됩니다.

⑤ 담보비율(반대매매 기준) : 140%

담보비율은 (내순자본+신용대출) ÷ 신용대출 * 100으로 계산됩니다. 신용거래 이 후 주가의 폭락으로 이 비율이 140%에 미달되게 되면 다음 영업일 오전 08:30분에 전량 반대매매 접수 후 시초가에 매도되어 상환됩니다. 그래서 반대매매를 막기위해서라도 예수금(현금)을 더 납입하셔서 비율을 올리거나, 주식을 사전에 매도하여 대출비중을 줄이셔야 합니다.

신용이자 확인

1~7일 8~15일 16~90일 90일 초과 연체 이자
연 7.5% 연 8.5% 연 9.0% 연 9.5% 연 9.7%

키움증권 신용거래 이자 확인시 소급방식으로 적용되어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이자 계산법 = 신용융자금액 X 신용이자율 X 총 경과일수/365일

만약 7일간 100만원을 키움증권에서 신용대출을 빌렸다고 가정하였을 때 하루 이자를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7일은 연 7.5%임으로 1년 이자가 100만원*7.5%=7.5만원이 됩니다. 7.5만원/365일은 약 205원으로 7일을 곱하면 1,435원이 100만원을 7일간 신용대출해서 빌린 이자가 됩니다. 즉, 일주일투자로 빌린 100만원으로 이자인 1,435원 이상을 벌기만하면 신용대출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 상환

키움증권 신용거래 대출을 상환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매도상환과 현금상환이 있습니다.

- 매도상환 : 신용으로 매수한 주식을 매도하면 자동적으로 당일 상환처리 됩니다.

- 현금상환 : 보유한 예수금(현금)을 상환 메뉴에서 신청해서 처리합니다.

영웅문S 앱에서 신용거래 사용 방법

신용대출 가입

1. 키움증권 영웅문S 앱에서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업무 > 신용대출가입을 누릅니다.

3. 신용가입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4.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투자자정보확인서 등록을 진행합니다.

5. 투자자정보 확인서를 작성합니다.

연령대/계약기간/투자경험/금융지식수준(이해도)/기대 이익수준 및 손실감내수준/ 총자산 대비 금융상품 유형별 기준에 거짓없이 솔직하게 해당되는 것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만약 투자성향에 크게 적합하지 못한다면 신용대출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총자산 대비 금융상품 유형별 기준에는 각 항목의 합이 모두 100%가 되게 직접 기입하셔야 합니다.(EX.30%/30%/40%)

거래 방법 알아보기

6. 신용가입 창에서 약관에 모두 동의합니다.

7. 키움형 대용과 키움형 일반을 선택합니다.

8. 신청을 누릅니다.

키움형 일반은 현금으로만 신용주문가능금을 산정하며 대용은 사용불가능합니다. 쉽게 말해 대출비율을 높게 하지 않고 안전하게 거래하고 싶으시다면 일반형을, 적극적으로 대출을 이용해서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대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9. 추가담보요청 통보신청에서 나의 휴대폰번호와 이메일을 확인합니다.

10. 신용공여 고객정보 확인서를 작성합니다.

11. 키움증권 신용거래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용으로 매수하기

키움증권 주문에서 매수 > 종류 > 신용을 체크합니다. (구분: 융자) 이 후 수량과 가격을 입력한 후 신용매수를 누르면 일정담보비율로 책정된 금액만큼 신용대출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융자로 구매시 계좌 잔고에서는 신용(융자) 주식으로 표시됩니다.

거래 방법 알아보기

빗썸 BTC마켓 거래 방법 알아보기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얼마 전 빗썸에서는 BTC마켓이 오픈 되었습니다. 아마 가상자산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빗썸의 BTC 마켓 오픈 소식을 접하셨을 거라 생각은 드는데요.

오늘은 BTC마켓 활용 방법에 관련된 부분을 한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사실 빗썸 BTC마켓은 거래할 때 사용되는 매체가 기존 원화에서 비트코인으로 변경되었다는 거 외에 큰 차이점은 없기에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차트를 보는 방법이라던가 매매를 하는 방법 역시 기존과 거의 동일하기에 이미 빗썸 거래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매매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다만, 신규 상장과 거래될 가상자산의 종류는 차후 업데이트 되면서 BTC 쪽이 좀 더 많아 질 거라고 생각은 하구요. BTC마켓의 장점 중 하나가 다양한 가상자산을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기에, 앞으로 빗썸 BTC마켓에서 더 많은 가상자산의 거래가 가능해질 것이라 봅니다.

마켓을 선택하거나 보는 방법 자체는 상당히 간단합니다.

기존 원화마켓을 사용하던 것처럼 홈페이지 혹은 어플에서 BTC마켓을 클릭해 들어가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를 할 수 있는 거래소 에서도 좌측 상단 BTC마켓을 고르시면 해당하는 BTC마켓에 거래가 가능한 가상자산들과 현재 시세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마 기존에 원화마켓에서 거래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쉽게 거래 방법 알아보기 확인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물론 기본 거래를 하는 단위가 원화가 아닌 비트코인이기에 해당 마켓에서 비트코인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 유의하세요~

BTC마켓을 상단 탭을 통해 선택하신 경우 위와 같이 나올 겁니다. 거래하고자 하는 가상자산을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자산의 정보와 호가창이 뜰 거구요. 말씀드린 것처럼 원화 마켓과 거래 방식이나 나오는 코인에 대한 내용은 비슷하다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더리움을 선택해서 한번 확인을 해봤는데요.

이더리움을 클릭하면 우측에 위와 같은 화면이 뜰 거예요.

가운데에는 현재 BTC로 환산했을 때의 이더리움의 가격이 나오고 아래로는 24시간 동안의 거래량과 거래금액, 당일의 저가와 고가 체결강도와 전일의 종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 팝업 차트를 클릭하실 경우, 팝업을 통해 해당 가상자산의 차트 확인이 가능하며, 아래 체결내역은 최근 체결이 된 내역이 하나씩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우측은 호가창 입니다. 현재 걸려있는 호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바탕화면의 붉은색과 파란색의 경계가 현재 거래 방법 알아보기 거래 방법 알아보기 시장가라고 이해를 하시면 되겠죠!

마지막으로 호가창에 대한 부분인데요. 우측에 뜨는 호가창 역시 원화마켓과 동일하게 지정가와 시장가 그리고 자동주문 모두 활용이 가능합니다.

지정가와 자동주문의 경우에는 0.0002BTC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고, 시장가의 경우는 0.0005BTC 단위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현재 비트코인 시세로 보면, 약 8천원 정도의 단위로 지정가와 자동주문이 가능하며, 시장가는 2만 원 정도의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BTC마켓의 경우 최저주문 금액이 큰 곳들도 있지만, 빗썸 BTC마켓은 업계 최저수준의 주문금액이 지원되기에 누구나 부담 없이 BTC마켓의 활용이 가능한 것 같아요.

본인이 구매를 할 가상자산을 선택하시고 호가창에 수량과 금액을 (시장가의 경우는 주문금액) 넣어 주시면 매매가 이루어집니다.

물론 BTC가 기본 매매수단(기축통화)이기 때문에 본인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거래가 되지 않겠죠. 비트코인을 원화로 구매하시거나 BTC마켓에 있는 가상자산들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가상자산을 BTC마켓을 통해 판매를 하신다면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되기 때문에, 보유BTC(상단 화면에서 주문가능에 나오는 수량)를 확인 후 매매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BTC마켓의 수수료가 상당히 큰 편이긴 하나, 빗썸 거래소의 경우는 원화마켓과 동일하게 BTC마켓에서도 수수료 쿠폰을 사용할 수 있고, 특정 쿠폰을 구매하여 활용할 경우에는 최저 0.04%까지 수수료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수수료 부담도 상대적으로 BTC마켓 중에서는 덜한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거래 방법 알아보기

코넥스 거래방법, 코넥스(KONEX) 모든것 알아보기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거래 방법 알아보기

코넥스 거래방법,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주식 시장 중 제3의 시장이라고 불리는 코넥스 (KONEX) 시장이 있습니다. 코넥스 시장은 일정 요건을 갖춘 비상장 기업의 자금 조달과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를 위해 문호를 개방하여 개설한 시장입니다.

그 코넥스 시장이 외면받고 있습니다. 상장을 추진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이 코넥스 대신 코스닥 시장을 선택하며 상장 기업 수가 매년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의 거래대금 역시 줄어드는 모양새입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코넥스 시장이 더 이상 침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인투자자 확대 방안을 비롯해 코넥스 상장 기업에 대한 거래 방법 알아보기 세제 지원 방안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요.

오늘 베리맘의 포스팅은 바로 이 코넥스 거래방법 및 상장요건 등 코넥스 (KONEX)에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넥스 거래방법, 코넥스(KONEX) 시장 알아보기

여기서 잠깐!

우리나라 주식 시장

제1시장 : 코스피 (KOSPI)

제2시장 : 코스닥 (KOSDAQ)

제 3시장 : 코넥스 (KONEX)

성장 지원 목적 2013년 개장

코스피, 코스닥에 이어서 우리나라의 제3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코넥스 (KONEX : Korea New Exchanger 줄임말)는 자본시장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모험자본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3년 7월 개설된 초기 중소·벤처기업 전용 주식시장입니다.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알려진 제2 시장인 코스닥의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장을 주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할 수 거래 방법 알아보기 있죠.

그러나 성장지원뿐만아니라 모험자본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장으로, 전문투자자 등으로 시장 참여자를 제한하나 벤처캐피털 및 엔젤투자자 등의 시장 참여자를 허용하여 모험자본의 선순환을 지원하고 중소기업 M&A 등 구조조정을 지원합니다.

자기 자본금 5억 원 이상

매출액 10억 이상

순이익 3억 이상

한가지만 충족되어도 상장가능

코넥스 시장은 초기 중소·벤처기업 전용 시장인 만큼 코스닥 시장과 달리 매출과 순이익 등의 재무요건을 상장 요건으로 적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주식의 양도 제한이 없고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이고 지정자문사와 선임계약을 체결하는 등 증권의 자유로운 유통과 재무정보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만 적용했습니다.

코넥스 상장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본금 5억 원 이상, 매출액 10억 이상, 순이익 3억 원 이상의 3가지의 조건 중 단 1가지만 충족되어도 상장이 가능합니다.

특이한 점은 상장사는 지정자문인 자격을 갖춘 증권사 1곳과 반드시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지정자문사는 중소·벤처기업이 코넥스 시장에 용이하게 상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장 기업의 관련 법 준수에 대한 자문 및 공시·신고 대리, 유동성 공급 등을 담당하게 되죠.

여기서 잠깐!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 상장 기준은?

원칙적으로 코넥스상장법인이 코스닥시장에 이전상장을 하기 위해서는 비상장법인과 동일 한 상장요건을 갖추고 상장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거래소는 코넥스시장에서 뛰어난 경영성과를 보이는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코넥스상장법인에 대해 일부 코스닥 상장요건 을 완화함으로써 코스닥시장으로 신속히 이전상장 할 수 있는 특례제도인 「신속이전상장 (Fast Track)」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성장 추세 꺾여

신규 상장 급감에 거래도 줄어

코넥스 시장은 초기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뿐만 아니라 코스닥 시장 상장으로의 '징검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받으면서 개설 초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시장 개설 첫해인 2013년에는 45개 기업이 코넥스 시장에 상장한 데 이어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34개, 49개 중소·벤처기업이 코넥스 시장에 발을 들였죠.

2016년에는 거래 방법 알아보기 상장 기업 수가 50개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 코넥스 시장 시가총액도 2013년 9234억원에서 2016년 4조3078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확대 추세는 2017년부터 꺾이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코넥스 시장 상장 기업 수는 29개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데 이어 2019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17개, 12개로 줄었다. 올해 2021년에 들어서는 현재까지 2개 기업이 거래 방법 알아보기 상장하는 데 그쳤습니다.

스팩(SPAC) 합병을 비롯해 기술특례 등으로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 수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으로 코스닥 시장 이전 상장 기업 수가 12개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8개에 그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코넥스 시장에 상장하는 중소·벤처기업뿐만 아니라 투자자까지 외면하고 있어 하루빨리 개선이 필요하다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높아진 유동성과 낮아진 코스닥 문턱

올해들어 더욱 높아진 유동성으로 기업들은 오히려 코스닥 시장부터 찾는 추세입니다.

한국거래소 유형별상장통계 자료를 보면, 코스닥 상장 기업은 2017년 99곳, 2018년 101곳, 2019년 108곳, 2020년 103곳으로 올해는 현재까지 59개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습니다.

이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 문턱이 낮아진 이유도 한몫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위원회는 2016년 10월 ‘역동적인 자본시장 구축을 위한 상장ㆍ공모제도 개편방안’에서 테슬라 요건을 처음 발표했습니다.

테슬라 요건은 상장 요건에 미달되더라도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게 상장 기회를 주는 제도로써 미국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가 적자였음에도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나스닥에 상장한 사례에서 유래됐습니다.

2017년 1월 1일부터 테슬라 요건이 시행됨에 따라 코스닥 시장으로의 신규 유입은 수월해졌습니다. 이외에도 ‘기술평가특례상장제도’도 중소기업의 코스닥 상장 문턱을 낮추었습니다.

장전시간외거래 시간, 방법 알아보기

국내 증시 정규장은 오전 9시에 개장하는데, 그 이전에도 거래가 가능한 시간대가 있습니다. 이처럼 정규장 개장 전에 거래하는 방식을 장전시간외거래(장개시전 시간외거래)라고 합니다. 장전시간외거래에서는 전일 종가로만 매매할 수 있고 다른 호가로는 주문할 수 없습니다. 또한, 주문 방법도 정규장 주문 방식과 조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장전시간외거래의 거래 가능 시간, 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장전시간외거래 시간

장전시간외거래는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 동안 진행됩니다. 호가 접수 시간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로 동일합니다(증권사에 따라 주문은 8시 20분부터 미리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전시간외거래는 모든 상장 종목에 대해 이루어집니다(예외 존재).

장전시간외거래는 전일 종가로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전일 종가가 1만원이었다면, 장전시간외거래에서는 1만원으로만 거래할 수 있고 다른 가격으로는 주문을 넣을 수 없습니다.

장전시간외거래에서 체결 순서는 시간 우선 원칙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주문 수량과 관계없이 먼저 들어온 주문이 우선적으로 체결됩니다.

장전시간외거래 방법

장전시간외거래는 정규장 주문과 마찬가지로 각 증권사의 HTS(컴퓨터) 혹은 MTS(스마트폰)를 통해 가능합니다. 정규장 주문 시 이용하는 '주식 주문' 창에서 주문 종류만 '장전시간외'로 선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키움증권 HTS의 경우 '키움주문 [4989]' 혹은 주식종합 [2000]' 등에서 장전시간외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주문창에 종목명을 입력하고 매수, 매도 여부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주문 종류를 '장전시간외'로 선택합니다(아래 그림의 붉은 원). 다음에는 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고 매수 혹은 매도 주문을 내면 됩니다.

장전시간외거래

장전시간외거래

장전시간외거래는 전일 종가로만 주문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문 가격 정정은 불가합니다. 다만 아직 체결되지 않은 주문에 대해 취소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키움증권 HTS의 경우 취소는 '정정/취소' 메뉴에서 할 수 있습니다('정정/취소'는 '매도' 메뉴 옆에 있습니다).

* 이 글은 한국거래소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주식 VI 발동 조건 알아보기 [주식 용어]

주식 VI 발동 의미 한국 증시에서 어떤 종목의 주가가 급등 혹은 급락하는 경우 주식 VI가 발동되며 일시적으로 거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주식 VI 발동 조건, 시간

Altcoin 알트코인 이란? 뜻, 종류, 거래방법 알아보기

firenews 2021.04.13 21:43 신고 더보기

제2의 비트코인 꼭보세요!! (이제 올라갈듯 ㅋ)

2008년에 비트코인을 매일 5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치가 없다고 느꼈습니다. 지금 비트코인(Bitcoin)은 1코인당 7000만원 상당의 가치가 있습니다.

2011년에 라이트코인이 선보였고, 매일 10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이 여전히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라이트코인(Lite coin)은 현재 1코인에 20만원입니다.

이더리움이 2015년에 나왔습니다. 매일 3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그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이제 이더이움(Ethereum)은 1코인당 200만원 상당의 가치가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상장을 준비중인 최고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거래 방법 알아보기 코인을 알려드립니다.

파이코인은 2019년에 태어났고 몇 번의 반감기를 거쳐 지금 하루에 6코인정도를 무료로 채굴할 수 있습니다.

다음 반감기 오기전 혹은 무료채굴 종료 전에 서두르셔야 합니다.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여 스마트폰으로 채굴 할수 있는 파이코인.

스마트폰의 성능에 전혀 지장이 없으며, 하루 1번의 스위칭으로 24시간(1세션)동안 무료 채굴 합니다.

이 황금같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파이(PI)는 스탠퍼드 박사들이 개발한 새로운 디지털 화폐이며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합니다.
파이를 받으시려면 앱스토어에 파이네트워크(pi network) 검색 설치 후 가입 시 저의 사용자 이름 firenews 누르시면 가입됩니다.

그리고 파이코인 이외에 관심있는 코인인
Beecoin도 앱스토어에서 bee network 치시고 다운하셔서 추천인 firenews1004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글코인은 앱스토어에서 이글코인 치시고 다운 받으셔서 추천인 firenews 입니다.

firenews 2021.07.19 14:16 신고 더보기

제2의 비트코인 꼭보세요!! (이제 올라갈듯 ㅋ)

2008년에 비트코인을 매일 5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치가 없다고 느꼈습니다. 지금 비트코인(Bitcoin)은 1코인당 6000만원 상당의 가치가 있습니다.

2011년에 라이트코인이 선보였고, 매일 10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이 여전히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라이트코인(Lite coin)은 현재 1코인에 30만원입니다.

이더리움이 2015년에 나왔습니다. 매일 30코인을 무료로 채굴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그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이제 이더이움(Ethereum)은 1코인당 300만원 상당의 가치가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상장을 준비중인 최고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코인을 알려드립니다.

파이코인은 2019년에 태어났고 몇 번의 반감기를 거쳐 지금 하루에 6코인정도를 무료로 채굴할 수 있습니다.

다음 반감기 오기전 혹은 무료채굴 종료 전에 서두르셔야 합니다.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여 스마트폰으로 채굴 할수 있는 파이코인.

스마트폰의 성능에 전혀 지장이 없으며, 하루 1번의 스위칭으로 24시간(1세션)동안 무료 채굴 합니다.

이 황금같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파이(PI)는 스탠퍼드 박사들이 개발한 새로운 디지털 화폐이며 전 세계적으로 18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합니다.
파이를 받으시려면 앱스토어에 파이네트워크(pi network) 검색 설치 후 가입 시 저의 사용자 이름 firenews 누르시면 가입됩니다.

파이코인 이외에 2번째로 관심있는 코인인 비(bee)코인은 현재 1200만명이 넘고 올해 상장합니다.
앱스토어에서 bee network 치고 다운로드받아 추천인 firenews1004 입니다.

영국에서 나온 올해 9월 상장예정인 유망한 이글코인은 앱스토어에서 이글코인 치시고 다운받으셔서 추천인 firenews 입니다.

싱가폴에서 나온 올해 상장예정인 전망 높은 ANT코인은 앱스토어에서 ANT NETWORK 치시고 다운 받아 추천인 firenews1004 입니다.

발키리스왑은 이미 상장된 코인인데 전체 수량이 800만여 주 밖에 안돼 전망이 매우 높은 코인입니다. 아직 채굴 가능합니다. 밑에
http://app.vswap.cc/#register?invitecode=804274 로 채굴 가능합니다.

인도에서 나온 신생코인인 Tri코인은 극초기라 많은 채굴이 가능합니다. 앱스토어에서 Tri coin 치시고 다운받아 추천인 MTau6W40JaN1 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