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프로그램 매매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에코프로비엠 프로그램 매매 동향 예시(MTS)

보고서 상세정보

이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프로그램매매의 특징과 증권시장에 미친 효과 | 1999 년 협동연구지원 | 권택호((구)여수대학교(폐교)) )의 '연구성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공동연구원 박종원(제주대학교)
장욱(서울대학교)
제작기관 미상
발행국가 한국
발행일 2001-04-27
전체페이지수 pp. 1 ~ 41 (41pages)
언어 한국어
색인어 KOSPI200, Program Trading, Sidecar
    주초록(메인언어)

본 논문에서는 1999년 4월부터 6월과 1999년 9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일별 및 일중 주문 및 거래자료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매매의 역기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사이드카가 어떤 .

본 논문에서는 1999년 4월부터 6월과 1999년 9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일별 및 일중 주문 및 거래자료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매매의 역기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사이드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한국 시장에서의 프로그램매매는 시장의 상황과 무관하게 공격적 주문의 비중이 매우 크나 이러한 거래를 발생시킨 거래자들의 정보는 유의적인 정보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차익거래의 경우 일반 대량거래에 비해 정보효과가 없으며 일시적인 유동성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비차익거래의 경우는 일반대량거래에 비해 일부 정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는 없다. 변동성은 프로그램매매 후 증가하나 사건 후 10분 내지 15분이 지나면 사라져 프로그램매매에 다른 시장교란은 일시적임을 보여준다. 또 프로그램매매에 따른 유동성의 불균형은 일시적이고 장기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드카제도는 시장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는 없으며, 사이드카의 발동으로 인해 정상적인 프로그램매매가 크게 위축되고 가격발견이 지연됨을 보여준다. 결국 사이드카가 시장의 정보비대칭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e tested the effects of program trading to the stock market and the role of sidecar which is introduced to mitigate the inverse effect of program trading, using the daily and intraday order and trade data of the stocks listed in the KSE in the period .

We tested the effects of program trading to the stock market and the role of sidecar which is introduced to mitigate the inverse effect of program trading, using the daily and intraday order and trade data of the stocks listed in the KSE in the period of April to June, and September to October in 1999. In Korean stock market, the proportion of aggressive orders of program trading is very large despite the change of market conditions, but the trades induced by these orders do not seem to have information. In case of arbitrage trading, it does not have more information but have more liquidity consumption than the block trades. In case of non-arbitrage trading, it seems to have more information than the block trades in some cases, but it is hard to conclude. Volatility after program trading increases but disappears within 10 or 15 minutes, showing the market disturbance due to program trading is temporary. Liquidity imbalance due to program trading is temporary and does not have long-term effect.
We can not conclude that sidecar stabilize the market and play the role that mitigates the information asymmetry. But it is shown that program trading is decreasing and the price discovery is delayed due to the exercise of sidecar.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Feat. 매매 방법)

안녕하십니까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입니다. 주식을 하다보면 '프로그램 매매'라는 말을 종종 듣고, 주식 HTS 메뉴에도 한 섹터를 차지하며 중요한 정보처럼 표시되어 있습니다.

과연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무엇이고, 매매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는 아니더라도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금융 자격증 중 펀드투자상담사나 증권투자상담사 등을 취득할 때 접할 수 있는 이론인데, 주식을 대량으로 거래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일정한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수십 종목씩 주식을 묶어(바스켓) 거래하는 것 을 말합니다.

간혹 주식 호가창을 살펴보면 1주식, 혹은 10주, 11주, 18주, 20주, 100주 등 일정한 단위로 계속해서 매수나 매도가 주식 프로그램 매매 연달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것들이 바로 프로그램매매로 나타나는 움직임 입니다.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닌, 일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매매되어질 수 있도록 기계가 하는 일 인데, 주식을 관리하는 펀드매니저나 기관투자자들이 일정한 프로그램을 짜놓고, 그 프로그램에 부합하는 조건이 되면 사거나 파는 행위입니다.

매수나 매도에 대한 의사결정은 기관투자자가 하지만, 나머지 모든 과정은 컴퓨터 시스템이 하는데, 현물과 선물 등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매매함으로써 지수차익 거래와 비차익 거래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마 증권투자상담사 공부를 하게 되면 콘탱코, 백워데이션 등의 이론을 배울텐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매매하는 것을 프로그램 매매라고 합니다.

이러한 원리까지 자세히 알면 좋겠지만, 큰 의미는 없으며, 투자자들은 프로그램 매수나 매도가 얼마나 들어왔는지 HTS에서 체크하는 정도로 활용해도 충분 합니다.

종목별로 프로그램매매가 하루 동안 얼마나 들어오는지, 실시간으로 얼마나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미래에셋대우HT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에셋대우 기준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HTS들은 사용 방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하는 HTS에서도 주식 프로그램 매매 주식 프로그램 매매 관련 메뉴를 찾을 수 있을겁니다.

미래에셋대우 HTS 기준으로, 위의 전체메뉴 - 매매동향 - 프로그램매매 - [0278] 종목별 프로그래매매현황으로 진입하면 실시간 프로그램 매매 동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은 호가창이고, 오른쪽은 주식 프로그램매매 실시간 현황창인데, 잘 보이지 않으 니 아래 사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목별 프로그램매매현황을 살펴보면 장중 프로그램 매수는 얼마나 들어왔는지, 매도는 얼마나 들어왔는지 수량과 금액을 보여주고, 아래는 한눈에 보기 쉽게 순매수도 차트로 나타내줍니다.

어제 SK하이닉스의 프로그램매매는 -30,860주 순매도로 장중에는 프로그램매매가 순매수세를 보였지만, 장막판으로 갈 수록 프로그램 매도가 강해져 결국 순매도세로 장을 마감한 주식 프로그램 매매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매매를 주식에 활용하는 방법은, 프로그램 매매로 들어오는 가격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것 입니다.

프로그램이 매번 같지는 않지만, 어느 가격대에서 프로그램 매수가 들어오고, 프로그램 매도가 들어오는지 파악하고 있다면, 모르고 있을 때 보다 주식을 대응하기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프로그램 매매

※ 본 상품의 판매자가 제시하는 투자의견 등은 오직 판매자의 의견이며, 판매자와 크몽은 투자손실 및 손해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판단에 대한 조언일 뿐, 해당 종목의 가치의 상승과 하락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유사투자자문업자 신고 현황 확인하기 : http://www.fcsc.kr/D/fu_d_08_04.jsp※ 다만, 유사투자자문업은 전문성이 없더라도 단순신고만으로 영업을 할 수 있고, 제도권금융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금융당국의 감독을 받을 뿐 정기적인 검사 및 분쟁조정 대상기관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기소개

-직장인.

-주식투자 경력 23년.

-API를 이용한 엑셀 프로그램매매 프로그램 구현 4년.

-실시간 종목검색식 연구 및 검증 4년.

-검색식 실제 투자로 검증 1000개 이상.

저는 아래에서 소개하는이베스트 증권사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단지 이베스트 증권사의API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매매를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입니다. 프로그래밍에대한 전공을 하지 않았고 엑셀에서 간단한 매크로를 작성해 본 경험이 전부입니다. 엑셀 프로그램매매는 이베스트 증권사의 매뉴얼과 예제를 독학으로 공부하여 제공된 샘플에 기록되어 있는 코딩 코드와 포털사이트 등에서 엑셀 코드관련 자료 등을 참조하여그 코드를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작성 중에 오류가 있거나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있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여러분도 열정만 있다면 여러분의 매매프로그램을 충분히 만드실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Microsoft 오피스 중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식을 프로그램매매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Excel)로 프로그램매매를 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1) 직장에서 눈치보지않고 주식매매하기.

2) 외근, 출장, 회의 등 업무로 바쁠 때 프로그램매매 하기.

3) 심리에 흔들리지않고 프로그램 된 대로 기계적으로 매매하기.

4) 나만의 방법으로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5) 컴퓨터로 종목을검색하고 최적의 타이밍에 매수, 매도하기

6) 기타 등등

프로그램매매로 여러가지 전략을구사할 수 있습니다.

1) MTS나 HTS로 수동으로 매수하고 보유종목의매도만 프로그램으로 하기.

2) 조건검색식을활용하여 프로그램으로 매수하고 MTS나 HTS로 수동으로 보유종목관리하기.

3) 매수, 매도 모두 프로그램으로 실행하기.

4) 시장 지수를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5) 매수, 매도는 안하고 계좌 잔고, 주가 시세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6) 기타 등등 프로그램할 수 있는 모든 것 기능추가 가능.

여기서 다루는 프로그램매매구현의 제약 조건

1) 운영체계는 Windows 32 Bit 또는 64 Bit 모두 가능.

2) 엑셀 프로그램은 32 비트(bit) 프로그램만적용 가능.

3) 이베스트 증권사 API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베스트 증권사에서는32비트의 엑셀에서 작동되는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64비트의 엑셀에서는 API를 이용한 프로그램매매가 안 주식 프로그램 매매 됩니다.

이점을 유념하시고 현재사용하시고 있는 엑셀이 32 bit 버전인지 확인하여야 하며 만일 64bit 엑셀이라면 32 bit 엑셀로 다시 설치해야 프로그램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주식 프로그램 매매 이해하기

주식 프로그램 매매는 프로그램으로 매매 조건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매수 / 매도할 수 있는 매매 기법 중 하나입니다 . 프로그램 매매의 장점은 빠르게 매매를 할 수 있다는 점과 한 번에 여러 종목을 매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직접 사람이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매수하기는 어렵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매수 공식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한 후에 자동으로 매매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

2. 주식 프로그램 매매의 주체

프로그램 매매의 주체는 대량 자금력을 확보한 외국인과 금융투자 입니다 . 다른 기관과 개인들도 프로그램 매매를 할 수 있지만 그 비율은 크지 않습니다 .

대한민국 코스피 / 코스닥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외국인과 금융투자의 자금이 증시로 들어오는지 빠지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

그러므로 여러분들도 프로그램 매매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주식 프로그램 매매 계속해서 확인해야 합니다.또한 제가 앞에서 수급은 장 종료 후에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이 프로그램 매매 현황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

주식 프로그램 매매 확인 방법

프로그램 매매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2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 ① 코스피 / 코스닥 / 선물 시장과 ② 개별 종목으로 나눠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1. 코스피 / 코스닥 / 선물 시장에서의 프로그램 매매 확인 방법

코스피 , 코스닥 , 선물 시장의 프로그램 매매 현황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아래의 에서 처럼 네이버 - 증권 페이지 를 접속하게 되면 하단부분에 [ 프로그램 매매동향 - 차익 , 비차익 , 전체 ] 라고 표시된 항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바로 이것이 프로그램 매매동향을 의미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동향 확인 방법(네이버-증권)

코스피, 코스닥 전체 시장을 기준으로 봤을 때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과 비차익 2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

현물 ( 코스피 / 코스닥 ) 과 선물의 가격차이를 통해 차익을 얻는 프로그램 매매 기법을 말합니다 .

다시말해서 현물 가격> 선물 가격이라고 한다면 현물을 팔고 싼 선물을 사서 차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

실제로 이런 차익 프로그램 매매는 훨씬 복잡한 개념과 이론을 갖고 있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 정도 수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비차익-프로그램 매매동향 확인 방법(네이버-증권)

프로그램 매매는 개인이 매매하는 방법과 다르게 여러가지 종목들을 바스켓으로 묶습니다 .

프로그램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카카오, 셀트리온 등 10~15 종목을 바스켓으로 묶은 후에 이 종목들을 개별 종목의 주가 변동에 따라 한 종목,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바스켓 종목을 매수 /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프로그램 매매는 앞서 외국인과 금융투자 등 자금의 규모가 큰 조직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프로그램 비차익으로 매수 / 매도하는 것만으로도 한국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여러분들은 비차익 프로그램 매매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셔야 시장의 변동성에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

비차익 프로그램 매매 동향은 위의 에서처럼 실시간으로 그래프와 수치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 비차익 매도가 증가한다면 왜 대량의 자금이 한국증시를 빠져나가는지 뉴스 혹은 유튜브 검색을 통해 확인해 보시고 향후 투자 전략을 유지할지 바꿀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

2. 개별 종목의 프로그램 매매 동향

본인이 보유한 개별종목의 프로그램 매매동향은 MTS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을 보면 주식현재가 - 프로그램 매매 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시간 / 일자별로 프로그램 매매 동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간은 프로그램 매매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즉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개별종목 프로그램 매매동향 확인 방법(MTS)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한 가지 있습니다 . 저는 MTS- 프로그램 매매 동향을 외국인이라고 가정을 하고 매매를 할 때 참고합니다. 시총이 작은 종목일수록 프로그램 매매 수치와 장 종료 후 외국인 매매 수치가 거의 유사합니다 .

(100% 정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장종료후 본인 종목의 프로그램 매매 동향과 외국인 매매 동향을 비교해서 추정해야 함.)

그러나 시총이 큰 종목들은 프로그램 매매 수치와 외국인 매매 수치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그럼에도 프로그램 매매는 큰 자금이 동원되기 때문에 외국인 , 기관을 포함한 개인창구로 세력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참고하셔야 할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

그러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2차 전지 부품주인 상신이디피입니다. 를 보시면 프로그램 ( 일자 ) 매매와 투자자별 매매 동향이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종목은 프로그램 매매의 주체를 외국인으로 생각하고 매매하실 때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상신이디피 프로그램 매매 동향 예시 (MTS)

두 번째는 2차 전지 소재주인 에코프로 비엠의 프로그램 매매 동향입니다. 위의 상신이디피와는 다르게 프로그램 매매 동향과 실제 외국인의 매매 동향이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수치를 보았을 때는 프로그램 매매를 무조건 외국인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꼭 주의하셔서 매매를 해야 주식 프로그램 매매 합니다.

에코프로비엠 프로그램 매매 동향 예시(MTS)

오늘은 여러분이 이해하기 어려운 주식 프로그램 매매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프로그램 매매는 전체 시장과 개별 종목 두 가지로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두시고, 위에 설명드린 차익, 비차익 개념을 꼭 기억하시고 매매하는데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한국은 프로그램 매매 영향력 약해…"규칙 단순하고, 규제도 강하기 때문"

한국 증시에서도 주식 프로그램 매매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기계적 매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상장지수펀드(ETF)와 현·선물 차익거래 등 프로그램 매매 비중이 전체 시장 거래대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 등 선진 증시에서처럼 알고리즘 매매로 시장이 급등락을 겪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같은 프로그램 매매라도 한국은 규칙이 단순하고, 공매도나 고빈도 매매 등에 관한 규제가 강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프로그램 매매 영향력 약해…

최근 미국과 일본 증시가 컴퓨터를 통한 알고리즘 매매로 요동치면서 국내 증시에서도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 역시 펀드매니저의 판단으로 주식을 사고팔지 않고 정해진 규칙대로 매매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의 60%는 차익·비차익 프로그램 매매에 의한 것”이라며 “그만큼 현물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프로그램 매매 영향력 약해…

이달 들어 미국과 일본 증시가 급락하는 동안 한국 증시가 버틴 이유도 대규모 프로그램 순매수가 들어왔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유가증권시장에 유입된 프로그램 순매수는 2조1954억원어치로 지난 1월(2조3216억원) 이후 가장 많았다. 금융투자사(증권사)들이 이달 1조8511억원어치를 순매수한 것도 이와 관련돼 있다. 김 연구원은 “외국인 수급의 절반 이상, 금융투자(증권) 매매의 대부분이 프로그램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프로그램 매매란 기관 등 전문 투자가들이 15개 종목 이상을 묶어 한꺼번에 거래하는 것으로, 한국에선 크게 선물과 현물의 가격 차이를 노린 ‘차익 거래’와 ETF 등 패시브 펀드에 의한 ‘비차익 거래’로 나뉜다. 둘 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특징이다.

ETF 규모가 커진 데 따른 우려도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ETF로 몰려든 돈이 한 번에 빠져나가면서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 증시에 상장된 ETF 순자산 규모가 40조원에 육박하고, 거래대금 비중이 전체의 30%를 넘으면서 한국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한국 증시에서 알고리즘 매매로 인한 시장 교란 위험은 크지 않다고 말한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에서의 프로그램 매매는 한국에서와 많이 다르다”며 “미국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퀀트 헤지펀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한국은 미국식 퀀트 펀드가 미미한 규모”라고 말했다. 복잡한 알고리즘에 수십조원 규모로 돈을 굴리는 퀀트 펀드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시장에 충격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에선 ETF나 현·선물 차익거래 등 단순한 거래가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고빈도 알고리즘 매매도 한국 증시 여건에선 기승을 부리기 어렵다. 증권거래세(매도 대금의 0.3%) 부담으로 인해 고빈도 매매가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 연구원은 “한국은 공매도 규제 등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매매 전략을 펴기 어렵다”며 “미국처럼 알고리즘 매매에 의해 시장이 하루에 3~5%씩 급변동할 것이란 우려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90분 새 -611P→+260P…프로그램 매매에 롤러코스터 탄 美 다우지수

27일(현지시간) 미국 주식 프로그램 매매 뉴욕증시는 또다시 롤러코스터 같은 흐름을 보였다. 다우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249포인트 하락하면서 출발해 오후 한때 611.03포인트까지 폭락했다. 하지만 장 마감을 1시간30분 앞두고 급반전이 일어났다. 한 시간 만에 하락 폭을 모두 만회하더니 장 마감 땐 전일 대비 260.37포인트 올라 있었다.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높기는 하지만 경제 펀더멘털 요인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증시 급등락이 거듭되고 있다. 시장에선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한 매매가 시장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쏠림 현상이 심해져 금융위기 불씨가 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인간 아닌 컴퓨터 매매가 85%최근 주요국 주식시장은 ‘널뛰기 장세’를 자주 연출하고 있다. 다우지수는 지난 24일 2.91% 급락했다가 26일엔 4.98% 급등했다. 일본 닛케이지수 역시 25일 5.01% 떨어졌다가 27일 3.88% 튀어올랐다.장중 변동 폭도 크다. 다우지수의 26일 장중 최고가와 최저가 차이는 1166.39포인트나 됐다. 닛케이지수도 하루 3~5%씩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컴퓨터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 변동성 확대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매란 미리 설계해 놓은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컴퓨터가 자동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것을 말한다.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은 사람이지만 매매 과정엔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다.시장조사업체 탭그룹에 따르면 이 같은 알고리즘에 기반한 펀드가 미국 펀드의 28.7%를 차지한다. 이 비중은 2015년 19.8%에서 2016년 25.0%, 2017년 27.1% 등으로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마르코 콜라노비치 JP모간 퀀트 애널리스트는 “주가지수를 따라가게 돼 있는 패시브 펀드와 초단타매매(HFT) 투자 등을 포함하면 컴퓨터에 기반한 거래가 전체 거래량의 85%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다.미리 짠 공식 따라 ‘군집행동’알고리즘 매매는 마치 수학 공식에 따르듯 주식을 매매한다. 과거 주가 분석을 바탕으로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매 기법을 찾아내 알고리즘화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주식은 매수하라’는 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해두면 실제로 그런 종목이 나타났을 때 매집하는 식이다.소셜미디어나 뉴스 제목에 반응해 매매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사실과 다른 뉴스나 “미국 주식을 살 기회”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알고리즘 작동을 이끌어내 주가를 움직일 수도 있다.이 같은 매매 방식이 시장 쏠림을 심화한다는 점이 문제다. 비슷한 알고리즘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군집행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일제히 매수해 상승 폭을 키우고, 반대로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땐 모두 매도해 하락 폭을 키우는 것이다.지난 4일 뉴욕증시가 3% 이상 급락했을 때도 배경에 알고리즘 거래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시 미국 2년 만기 국채금리가 5년 만기 국채금리보다 높아지는 ‘장·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하자 주식 매도세가 쏟아져 나왔다.소외되는 주식가치 분석 투자주식시장에서 쏠림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컴퓨터 알고리즘이 인간보다 더 큰 시장 불균형을 낳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부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처럼 과도한 쏠림 현상은 위기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컴퓨터가 거래하는 만큼 속도도 빠르다. 닐 버거 이글스뷰자산운용 매니저는 “모두가 사는 주식을 사고 모두가 파는 주식을 팔도록 설계된 알고리즘이 많다”며 “사람은 컴퓨터처럼 빠르고 격렬하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말했다.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전통적인 주식가치 분석이 무색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주가가 움직이면서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콜라노비치 애널리스트는 “경제성장률, 기업 이익 등이 주가와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고 꼬집었다.유승호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