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캘린더 확인하는 법
미국 주식을 하면서 가장 기대가 되는 것을 꼽으라면 단연 배당입니다. 기대가 되는 배당이니만큼 배당일이 언제인지, 배당락일이 나와있는 배당캘린더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어디인지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미국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배당락일. 여기서 락은 떨어질 락(落)으로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날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배당락은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것을 말합니다. 그러니 배당락일 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기준일이란 배당을 받을 권리를 인정받는 기준이 되는 날입니다. 즉 우리는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가 있습니다.
배당락일은 Ex-dividend Date, 배당기준일은 Record date 로 표시합니다.
증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한국증권사로 미국 주식을 매수하면 결제일은 T+3일입니다. 즉 배당금을 받으려면 배당기준일 3일전에는 주식을 매수해야 3일뒤에 결제가 되어 주주명부에 등록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또 현지 사정 등으로 결제 지연이 있을 수 있으니 더 넉넉하게 기간을 두고 매매해야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워낙 서비스가 좋아져서 배당락일 전날까지 매수하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증권사 확인)
만약 배당락일이 6/18 , 배당기준일이 6/19이라면 배당락일의 전날인 6/17일까지 매수하면 된다는 얘기입니다. 배당락일 전날이 일요일이라면 그 전 주 금요일까지는 구입을 해놔야되겠습니다.
참고로 중국은 T+1일, 홍콩, 베트남은 T+2일, 미국을 포함한 일본, 인도네시아, 독일, 영국, 캐나다는 T+3일입니다.
혹시 모를 변수에 대비하여 정해놓은것이니, 되도록이면 배당락일 전날보다 더 일찍 사두신다면 더 안전하게 배당을 받을 수 있겠죠?
오늘이 배당락일인 기업은 어디가 있을지, 혹은 이번주에 이번달에 배당락일인 기업은 어디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그럴때는 배당캘린더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한글로 나와있어 보기 편한 인베스팅 사이트에서 배당캘린더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오늘, 내일, 이번 주, 다음 주를 선택하여 쉽게 볼 수 있고, 달력모양을 클릭하면 날짜 설정도 가능합니다.
회사명과 배당락일, 배당, 유형, 배당금지불일, 수익률 데이타를 제공하고, 각 메뉴를 클릭하면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정렬이 가능하여 보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배당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배당이 큰 순으로 정렬하여 볼 수 있습니다.
필터메뉴로 들어가면 종목을 검색할 수도 있고 국가선택과 부문선택, 중요성 등을 체크하여 내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티커를 클릭하면 기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당 캘린더 - Investing.com
주식 배당 캘린더에는 배당 지급 주식과 배당 지급일이 표시됩니다. 전세계 회사의 모든 주식과 배당 주식과 배당 최신 시장 발표내용을 파악하세요.
내가 구입하고 싶은 기업의 배당락일을 바로 검색하고 싶다면 구글 검색창에 검색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구글 검색창에 해당기업의 티커 stock dividend 를 검색합니다. 티커는 미국주식 매매시 사용하는 심볼로써 예를 들어 스타벅스는 SBUX, 아마존은 AMZN 등 입니다.
만약 티커를 모른다면 검색창에 기업명 주가(stock)검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애플의 배당락일을 검색하고 싶은데, 애플의 티커를 모른다면 일단 애플 주가로 검색하여 티커(appl)를 확인한 후, aapl stock dividend를 검색하면 배당락일(Ex-div. Date)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 티커 검색
▲애플 배당락일 검색
미국주식을 공부하면서 가장 기본이 될만한 배당락일, 배당기준일, 배당캘린더 정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한 두번만 읽어보고 익히면 어렵지 않으니, 좋은 정보가 되셨길바랍니다.
ˇ 같이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미국주식 달러환전 타이밍, 노하우 (f. 소수몽키)
미국주식은 원화로도 구입할 수 있고, 달러로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원화로 미국주식을 사면 주식을 살 때의 환율이 적용되고 달러로 미국주식을 사면 미리 환전해놓은 달러로 구입하면 됩니��
국내 주식 배당금 높은 주식
주주가 기업에 투자를 할 때 미래가 좋은 기업, 재무제표가 튼튼한 기업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고배당금을 지급받는 것 또한 고려할 사항이다. 배당금이 높은 기업을 찾아보고 배당금과 배당성향이 얼만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배당금과 배당성향
배당이란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해 발생한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 주는 것을 말하고 배당금은 주주에 대한 회사의 이익분배금을 말한다. 배당성향은 각 나라마다 각 기업마다 다 다르다. 쉽게 말하자면 기업이 주주에게 한 해 벌어들인 이익을 얼마만큼 나누어주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배당성향이 높다고 해서 좋은 기업이고 배당성향이 낮다고 해서 나쁜 기업이라 판단할 수는 없다. 만일 배당성향 100%가 넘는 기업이라면서 한 해동안 주식과 배당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많은 배당금을 주는 것이므로 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일 수 있다.
5~10년 동안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서 배당금이 일정하게 유지되었거나 점점 배당금을 늘리는 기업이라면 좋은 기업이라 생각되지만 배당금만으로 좋은 기업인지 나쁜 기업인지 판단하는 것은 좋지 않다. 우량기업을 찾기 위해서는 배당금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배당금 높은 주식과 배당 지급일
효성 티앤씨는 현재가 373,000원으로 배당금 50,000원, 수익률은 13.39%이고 금호석유우는 현재가가 96,600원으로 배당금은 10,050원, 수익률 10,4%이다. 삼성화재 우는 161,500원으로 배당금 12,005원, 수익률 7.43%이고 POSCO홀딩스는 현재가 291,000원으로 배당금 17,000원, 수익률 5.83$이다. 삼성화재는 현재가는 199,500원으로 배당금은 12,000원, 수익률은 6.02%이고 한국쉘석유는 현재가 250,500원으로 배당금 19,000원, 수익률 7.59%이다.
한국금융지주우는 현재가 63,100원으로 배당금 6,212원, 수익률 9.84%이고 효성은 현재가 82,200원으로 배당금 6,500원, 수익률 7.91%이다. HD현대는 현재가 60,000원으로 배당금 5,550원, 수익률 9.25%이고 한국 금융지주는 현재가 69,400원으로 배당금 6,150원, 수익률 8.86%이다.
각 기업에 따라 배당 지급일은 다르지만 대부분 국내 주식 주식과 배당 배당금 지급일은 매년 4월에 있다. 배당금을 받으려면 작년 연말까지(12월 28일) 해당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운영하는 증권정보 포털 SEIBRO사이트에서 배당금 지급일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우편으로 주식 수, 배당금 등이 적힌 서류를 보내주기도 한다.
배당금 지급일은 4월 5일에 LG생활건강, 9일에는 신한지주, 포스코, 우리 금융지주, 12일에 KB금융, 13일에 하나금융지주, 15일에 SK하이닉스, 16일에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물산, 21일에 한국전력공사, SK텔레콤, 22일에 LG화학, 기아, 23일에 현대차, 현대모비스, LG전자, 엔씨소프트, 27일에는 SK이다.
주식 배당금 세금 계산방법 알아보기
오늘은 주식 배당금 세금 계산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하면서 배당금 받는 때만큼 기분 좋은 일이 없죠. 게다가 내가 직접 분석하여 벌어들인 수익이라 더욱 의미가 있고요.
그러나 이러한 배당을 고액으로 받게 된다면 세금을 내야한다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물론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붙게 되지만 양도차익에 의한 세금은 붙지 않아 배당은 신경쓰고 있지 않았죠.
하지만 이 또한 종합과세합산 대상으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물론 적은 배당금 경우 청산하기 편리하지만 크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따라서 미리 세금 방법을 파악하고 준비해야 당황하지 않겠죠?
그렇다면 주식 배당금 세금 계산방법과 함께 다양한 예시 를 통해 완벽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식 배당금 세금 - 계산방법
일단 주식을 통해 벌어들인 배당금이 2,000만원 이하라면 종합소득신고를 따로 하지 않아도 15.4% 원천세를 부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받게 될 배당금을 계산하여 2,000만원보다 아래라면 굳이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배당소득의 경우 금융이자소득에 합산되기 때문에 이자까지 함께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1년에 은행에서 이자를 300만원 받고 있다면 주식 배당금은 1,700만원 아래로 맞추어야 신고할 주식과 배당 필요가 없는 겁니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배당에 대한 원천세는 15.4%라고 합니다. 이는 소득세 14% 및 소득세의 10%인 1.4%가 합산되어 나온 결과값이죠. 이는 지급 전에 사전 징수되기 때문에 따로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참고로 3년이상 장기보유한 주식은 3천만원 이하면 비과세로 분류 되어 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3천만원 초과라면 1억 이하까지 분리과세가 5%가 붙으며 1억원 초과 시 일반과세인 14%가 붙게 됩니다.
본인이 판단할 때 회사에서 꾸준하게 배당금이 나올 것으로 주식과 배당 주식과 배당 예측한다면 3년까지 채워 비과세 혜택 을 채우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2,000만원 이하 배당금 지급받을 시 15.4%가 세금으로 징수 된다는 점입니다.
2. 주식 배당금 세금 - 배당금 2,000만원 초과
직장인이라면 5월에 납부해야 하는 종합소득세 대해서 알고 계실 겁니다. 마찬가지로 종합소득세에는 세율이 존재 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예를 들도록 하겠습니다. 가령 연소득이 5,000만원인 직장인이 주식 배당금으로 2,800만원 받게 될 경우 세금으로 얼마가 징수가 될까요?
일단 종합소득세율은 24%가 적용이 되며 배당금은 2,000만원이 넘었기 때문에 800만원에 대한 초과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배당금은 종합소득세율이 적용되어 24%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미 2,800만원에 대한 세금으로 15.4%를 납부하였기 때문에 800만원은 8.6%만 추가 납부하면 되는 겁니다.
3. 주식 주식과 주식과 배당 배당 배당금 세금 - 종합소득세율 감세
보시면 배당금을 3,500만원 받았을 때, 왼쪽은 종합과세를 적용하고 오른쪽은 원천징수를 적용했습니다. 종합과세를 적용하게 되면 2,000만원 이상이라 저렴하게 형성이되죠. 그러나 비교과세 제도 때문에 세금이 더 큰 원천징수세율로 계산이 이뤄지게 되는 것입니다.
내용이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하게 요약하면 배당금이 2,000만원 보다 아래라면 15.4% 징수 후 지급 이 됩니다. 만일 2,000만원이 초과되면 초과분에 대해 종합소득세율이 적용 됩니다. 만일 타소득이 적어 세율이 마찬가지로 줄어 들어도 결국 15.4%를 납부 해야 합니다.
법인등기 김상균 변호사
상환전환우선주 (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red Stock)에서 우선권은 배당, 청산 잔여재산 분배 시 보통주보다 유리한 권리를 뜻합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란 무엇인가요? 목 차 1. 벤처투자의 대세, 상환전환우선주(RCPS) 투자 2. 상환전환우선주(RCPS)란? 3. 벤처 투자수단으로서 상환전환우선주(RCPS)가 주로 쓰이는 이유 4.
배당우선권과 청산 잔여재산 분배 시 우선권을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배당우선권 조항 예시
① 본건 종류주식은 참가적, 누적적 우선주로서, 본건 종류주식의 주주는 본건 종류주식을 보유하는 동안 1주당 액면가액을 기준으로 연 [1]%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누적적으로 우선하여 배당 받고, 보통주식의 배당률이 본건 종류주식의 배당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로 함께 참가하여 배당 받는다.
② 주식배당의 경우 종류주식과 보통주식을 합한 발행주식총수에 대한 비율에 따라 같은 종류의 종류주식 주식으로 배당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단,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금으로 지급받는다.
③ 배당금의 지급시기를 주주총회에서 따로 정하지 아니한 경우 회사는 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의 승인 및 배당결의가 있은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본건 종류주식의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④ 본건 종류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전환권이 행사된 경우, 전환된 주식에 대하여 전환 전까지의 기간 동안 배당결의 되었으나 그 배당금이 지급되지 아니하였다면 동 미지급 배당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회사가 당해 주식의 주주에게 별도로 지급하기로 한다.
배당우선권도 회사의 배당가능한 이익 범위 내에서만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투자에서는 보통 참가적 누적적 우선주 로 발행합니다.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우선주: 보통주보다 먼저 배당받습니다. 다만, '우선주'란 보통주에 비해 순위가 우선 한다는 의미이지 보통주보다 더 큰 재산적 이익을 보장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회사에 배당가능한 이익이 없다면 우선주주도 보통주주도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2) 누적적: 전(前) 년도에 배당을 받지 못한 경우 다음 년도에 이익배당금이 있는 경우, 전 년도에 못 받은 배당도 누적하여 배당받을 수 있습니다.
3) 참가적: 우선주주가 우선주주로서 배당을 받고 나서도 배당가능한 이익이 남아있는 경우, 우선주주는 보통주주와 동일한 지위에서 추가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청산 잔여재산 분배 시 우선권 조항 예시
① 본건 종류주식은 잔여재산 분배에 있어서 우선적 지위가 부여된 종류주식으로서, 본건 종류주식의 주주는 회사가 청산에 의하여 잔여재산을 분배하는 경우 1주당 발행가액 및 이에 대하여 연 [5]%의 비율로 계산한 금액을 보통주식 주주에 우선하여 분배 받는다. 이 경우 청산 이전까지 미지급 배당금이 있는 경우 동 금원에 대하여도 동일하다.
② 본건 종류주식의 주주에 대하여 잔여재산을 우선 분배한 후 보통주식에 대한 주당 분배금액이 본건 종류주식에 대한 주당 분배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건 종류주식의 주주는 그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보통주식의 주주와 동일한 분배율로 함께 참가하여 잔여재산을 분배 받을 권리가 있다.
회사가 청산을 하는 경우 보통주에 비해 우선권을 가지는 조항입니다. 다만 청산 시 회사의 자산을 분배하는 순서는 1순위 채권자 - 2순위 잔여재산 분배 우선주주 - 3순위 보통주주 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청산 시 채권자들에게 부채를 변제한 뒤 잔여재산이 별로 없다면 우선주주라고 해도 특별히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견적 문의 (전화) 02-596-6720 (이메일) [email protected] 법인 청산 법인 청산은 법인의 사업과 재산을 정리하고 법인을 소멸시키는 절차입니다. 법인 청산을 하는 이유와 법인 청산 절차를 살펴보겠
실무에서는 영업양수도, M&A 등 일정 사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청산으로 간주하여 우선주주에게 회사의 재산을 분배하는 준청산잔여재산분배(Deemed Liquidation Preference) 조항을 두기도 합니다. 그러나 상법 상 이러한 약정은 효력이 인정되기 쉽지 않습니다.
굴리고 굴리는 블로그
미국주식(해외주식) 투자시 유용한 사이트 5개 소개(ETF,배당,미국주식 정보, 무료실시간시세)
국내주식이나 국내 ETF뿐만 아니라 미국주식과 미국 ETF로 눈을 돌리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소위 자산가, 부자라고 불리는 분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아마존, 애플, 구글, 넷플릭스,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FAANG이나 MAGA로 대표되는 미국주식에 투자하고 계신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증시는 최근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우상향 그래프를 보이고 있고, 사상최고가 경신을 계속 시도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 미국증시가 단기적으로 고점인지 아닌지를 섣불리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은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반드시 일정 부분을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세계 증시에서 미 증시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며, 현 4차산업 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들 역시 미국과 중국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미국기업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 참고하실만한 좋은 사이트들을 몇가지 소개해보겠습니다.
1. ETF.com
미국주식에 관심을 가지면서 느낀것 중 하나는 ETF거래가 매우 활발하고 자연스럽다는 것입니다. 개별주식의 거래량보다 ETF의 거래량이 더 많으며, 상장돼있는 ETF 역시 수천가지로 다양합니다. 지수, 국가, 섹터별 ETF 뿐만 아니라 2배, 3배짜리 ETF, 인버스 ETF, 인버스x2배,3배 ETF 등의 거래 또한 가능합니다. 이러한 ETF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싶으시다면 이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주소창에 etf.com/심볼 의 형식으로 입력하시면 해당 ETF에 대한 자세한 정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가령 미국 S&P500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인 IVV ETF를 etf닷컴에서 검색하려 한다면 http://etf.com/ivv 를 주소창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IVV ETF의 Top 10 섹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ETF가 주식과 배당 보유하고 있는 모든 종목과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간별 수익률(최대 상장시점부터 현재까지)을 한 눈에 파악되게 그래프로 보여주며, ETF에 대한 기본 정보들을 서술해주고 있습니다.
2. Dividend.com
미국주식은 국내주식과 분기별 혹은 월별로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이 매우 많습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재투자할 수도 있고 배당으로 주주들에게 줄 수도 있죠. 보통 고속 성장하는 기업들은 배당보다 재투자를 하여 사업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배당소득보다는 시세상승에 따른 자본소득을 기대하게 되고, 어느정도 성숙기에 접어든 회사의 경우 안정적인 현금흐름(cash flow)을 바탕으로 꾸준히 배당을 늘려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1년에 한 번(보통 3월말 4월초 경) 배당을 하기 때문에 배당 직전(배당락일 전일)에 매수를 하는 등 장기로 보유할 유인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글로벌 기업답게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아마 4,5 8,11월 경에 지급할 것입니다.)
dividend닷컴에서는 사이트 이름처럼 배당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 배당자료 등 일부자료는 유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트에 어느정도 익숙해지고 배당주 투자를 제대로 하시려는 분들만 결제하시는게 좋습니다.
Dividend닷컴의 가장 매력적인 페이지는 바로 이 Dividend Assistant 부분입니다. 현재 보유중인 주식과 수량을 입력하면 다음 배당일과 3개월뒤, 6개월뒤, 1년뒤의 예상배당액까지 계산해주고,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주어 배당주 투자에 매우 강력한 툴이라고 생각합니다.
3. Investing.com
인베스팅닷컴(Investing)은 주로 미국주식의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려 할 때 이용합니다. 저는 인베스팅 닷컴을 주로 모바일로 봅니다. 평일에는 무조건 켜는 어플(앱)이지요. 인베스팅닷컴 어플(앱)은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의 경우 각 증권사에서 실시간 시세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유료입니다. 한 달에 몇천원~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무료로 해외주식 실시간 시세를 이용하시려면 인베스팅닷컴에 접속하시거나 인베스팅닷컴 어플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개인포트폴리오도 저장 가능합니다.
4. CNBC
CNBC는 미국의 경제뉴스 전문방송입니다. 각종 속보와 실시간 기사들이 업데이트 되고 있으므로 영어에 무리가 없으신 분들은 주식과 증시와 관련된 경제 전반적인 뉴스를 원하신다면 유용한 사이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영어에 어려움이 있으시더라도 크롬브라우저를 통해 사이트를 한글 번역하면 되기 때문에 투자에 참고하시기 좋을 듯 합니다. 또 CNBC어플을 설치하면 매일 장 개장 전(pre market time)과 장 개장 직후, 장 중간중간에 주요 이슈들을 스마트폰에 빠르게 알려줍니다.
(* 크롬브라우저로 사이트 번역하는 방법 : 웹페이지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 후 "한국어로 번역" 클릭)
5. NASDAQ.com
나스닥 닷컴 역시 미국주식을 투자함에 있어 자연스레 접하게 되는 사이트입니다. 미국 3대지수인 S&P500지수, Dow지수, 나스닥지수 중 가장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된 나스닥 시장이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만큼, 나스닥시장에 대한 많은 유용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주식 투자에 유용한 사이트 5가지를 소개해보았습니다. 미국주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한 번에 위 사이트들을 모두 파악하려 하지 않으셔도 자연스레 거의 매일 방문하시는 모습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위 사이트 이외에도 저는 야후파이낸스(yahoo finance)와 구글파이낸스(google finance) 도 많이 이용합니다.(차트, 배당에 대한 정보가 유용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