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준거금리 및 기간물별 관련 금융시장 규모 (출처 : FSB 및 산은조사월보 2018.10)

통화정책은 ‘통화’정책이 아니다 : 11월 FOMC 의사록 살펴보기

중앙은행이 경기안정화 수단으로 구사하는 통화정책(Monetary Policy)은 과거의 사례ㆍ명칭ㆍ경제학원론의 설명 등등 때문에 마치 ‘통화량을 목표하는 정책'(monetary-targeting)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교과서 설명에 따르면, 통화공급을 증가(M↑)시키면 금리가 하락(r↓)하고, 통화공급량을 감소(M↓)시키면 금리가 상승(r↑)합니다. 그리고 금리변동은 소비와 투자를 늘리거나 줄여서 총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통화공급 증가율이 변화하면 물가상승률도 바뀐다는 ‘화폐수량설 Mv=Py'(Quantity theory of Money)를 바탕으로 확장적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율을 초래한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통화유통속도(v)는 고정되어있고 실질생산량(y)은 화폐와 상관없이 결정되기 때문에, 통화공급량 증가(△M↑)는 인플레이션(△P↑)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에서나 화페적인 현상'(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이 됩니다.

하지만 오늘날 통화정책은 통화량을 목표로 삼지 않습니다. 그리고 화폐수량설은 더이상 성립하지 않고 있습니다. 더욱이 Fed의 자산매입 정책은 통화공급량 증가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1993년 Fed 의장 앨런 그린스펀은 통화량 목표제(Monetary Targeting)를 폐기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었습니다. 사실 Fed는 이전부터 통화량 목표치 달성을 크게 신경쓰지 않았었는데, 실제 통화량 목표제가 엄격히 수행된 기간은 1979년 10월~1982년 10월 약 3년의 기간에 불과합니다.

오늘날 Fed가 조정하는 것은 통화량이 아니라 금리(interest rate) 이며, 벤 버냉키는 이를 강조하고자 (통화량을 확대한다는 의미에서)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라고 알려진 정책을 (금융시장 금리 스프레드를 축소한다는 의미의) 신용완화(Credit Easing)으로 부르기를 선호하였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글 [Fed의 공격적인 대응, 인플레이션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에서 길고 자세하게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 특히 언론이나 증권가에서 전문가 라고 불려지는 사람들은 여전히 Fed의 정책을 이야기 하면서 M2ㆍ유동성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비전문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지난주에 공개된 11월 FOMC 의사록 및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 필립 레인의 연설을 살펴봅시다.

이를 통해, 오늘날 현대 통화정책이 ‘금리를 조정'(adjust rate or yield) 하고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reducing credit spread) 를 통해 금융시장 여건을 완화적으로 만드는 것(fostering 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s) 을 목표로 함을 다시 한번 상기합시다.

11월 FOMC 의사록

11월 5일에 열렸던 FOMC는 별다른 특이사항 없이 지나갔습니다. 3일에 열린 미국 대선 결과가 아직 안나온 상태였고, 실물경제ㆍ금융시장도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25일 공개된 의사록을 기다린 이유는 ‘Fed 위원들이 한달 뒤 12월 FOMC에서 금리 및 자산매입 정책 가이던스를 제시하기 위하여 어떤 논의를 하였나’를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금융시장은 12월 16일에 있을 FOMC에서 구체적인 가이던스가 제시될 것이라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기대하고 있으며, Fed 위원들도 이를 인지하고 있습니다.

이제 의사록의 주요 부분을 살펴보면서 현대 통화정책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 하고ㆍ 12월 FOMC에서 어떤 가이던스가 제시될지 예상 해봅시다.

금융시장 및 공개시장운영 전개 (Developments in Financial Markets and Open Market Operations)

(…) 연방기금금리 경로(the path of the federal funds rate)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예상은 9월-11월 FOMC 미팅 사이에 변하지 않았다. 서베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연준 위원회가 2024년 부근에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

응답자들은 연준의 국채 및 모기지기반 연계증권 매입(Federal Reserve’s purchases of Treasury securities and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MBS))이 2021년말까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진행되고 그 이후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

→ 설명 : Fed의 전통적인(conventional) 통화정책 수행방식은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 Rate), 소위 ‘기준금리’ 라고 부르는 1일 만기인 초단기금리를 조정 하는 겁니다.

제가 지난글(3페이지 링크)에서 설명한 내용을 다시 반복하겠습니다.

지난글 재인용 [“오늘날 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놀랍게 들릴 수 있으나, 곰곰히 생각해보면 놀랍지 않습니다. Fed의 통화정책회의인 FOMC나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개최되고 난 후, 사람들의 관심사는 ‘기준금리를 조정했느냐’에 있지 ‘통화량을 늘리기로 했나’에 있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있듯이, 오늘날 Fed를 비롯한 주요국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중앙은행은 ‘통화량’이 아니라 ‘기준금리'(target interest rate)를 공표하는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Fed가 향후 연방기금금리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참가자들은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하고 2024년 부근이 되어서야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거라고 보고 있네요.

그렇다면 ‘연준의 국채 및 모기지기반 연계증권 매입(Federal Reserve’s purchases of Treasury securities and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MBS))’은 또 무엇일까요?

국채 및 MBS 등 자산매입 프로그램은 Fed의 비전통적(unconventional) 통화정책 수행방식 이며, 많은 사람들이 ‘양적완화'(QE)라고 알고 있는 겁니다.

2008 금융위기 당시 Fed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는 금융시장 안정화 및 장기금리 인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미 국채(Treasury) 및 모기지기반 연계증권(MBS) 매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코로나19 경제위기 때, 현 Fed 의장인 제롬 파월은 버냉키의 유산과 조언에 힘입어 다시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개시했습니다.

이러한 Fed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Fed가 돈을 푼다 혹은 통화량을 증가시킨다”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학원론에서 말하는 ‘통화량 증가 → 금리 인하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경로’처럼 보이고, ‘통화’정책 이라는 단어에 부합하는듯 합니다.

하지만 정작 벤 버냉키는 통화량 확대를 내포하는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꺼려하였습니다. Fed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목적이 통화량 확대가 아니었기 때문이죠.

Fed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목적은 장기국채 금리 인하를 유도(reducing longer-term yields) 하며, 국채 이외에 위험자산인 MBS를 매입함으로써 국채 금리 – 크레딧 금리 차이인 ‘크레딧 스프레드 축소'(reducing credit spreads) 를 하는데 있습니다.

왜 Fed는 자산매입 이라는 비전통적 방식을 쓰면서 금리를 조정하려는 것일까요?

첫번째 이유는 Fed가 통제하는 기준금리는 1일 만기의 초단기 금리 이기 때문입니다. Fed는 1일 만기의 연방기금금리를 조정하고 향후 금리경로를 알림으로써 1주일ㆍ1개월ㆍ1년ㆍ2년ㆍ5년ㆍ10년ㆍ30년 국채 금리에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하지만 만기가 긴 장기국채 금리는 Fed의 정책결정 보다는 미래 경제성장률ㆍ인프렐이션율 등 거시경제 전망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통화정책 방식만으로는 장기금리를 낮추는 데 한계 가 있습니다.

투자를 하는 기업과 대출을 받는 가계가 의사결정에 참고하는 건 단기금리가 아니라 중장기 금리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통적 통화정책의 한계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두번째 이유는 국채시장 뿐 아니라 모기지ㆍ회사채 등 크레딧시장의 안정화를 달성 하기 위해서입니다. Fed가 기준금리를 조정한다고 하더라도 금융시장 리스크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시장은 여전히 혼란스러울 겁니다.

Fed는 크레딧시장에 직접 개입하여 리스크를 없애는 방안을 구상했고, 2008 금융위기의 진원이었던 모기지기반 연계증권(MBS)을 직접 매입합니다. Fed의 MBS 매입 → MBS 가격 상승=MBS 금리 하락 → 국채 금리와 크레딧 금리 격차 축소 → 금융시장 안정화 경로로 시장기능을 되살려내었죠.

따라서, Fed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목적은 ① 장기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도 (very low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level of longer-term yields) ② 원활한 금융시장 기능 달성 (smooth market functioning) 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금융시장의 ‘완화적인 금융여건(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 을 만들어 냅니다.

Fed는 통화량이 얼마나 늘어나는지에 대해 큰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Fed 의장을 비롯한 위원들은 통화량, M2, 유동성 등의 언급을 하지 않으며, FOMC 성명문과 의사록에도 이같은 용어가 아예 등장하지 않습니다.

응답자들은 자산매입의 향후 진행에 대해 연준이 어떻게 의사소통을 할 것인지(Committee’s communications on asset purchases might evolve) 점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응답자들은 연준의 의사소통이 완화적인 금융여건 육성(fostering 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s) 을 강하게 강조하기를 기대한다.

많은 응답자들은 미래 자산매입 경로(future path of asset purchases)에 대한 부가적인 가이던스(additional guidance) 를 연준이 어느시점에서는 제시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몇몇 시장참가자들은 연준이 매입하는 국채의 평균 만기를 늘려나갈 것(lengthen the weighted average maturity of the Federal Reserve’s purchases of Treasury securities) 으로 기대한다.

→ 설명 : 위의 문장을 보시면 Fed가 무엇을 목표로 하고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핵심은 ‘완화적인 금융여건’ (accomodative financial conditions) 이며, 시장참가자들은 ‘연준이 매입하는 국채의 평균 만기를 늘림’으로써 Fed가 목표를 달성한다고 기대합니다.

실제로 3월 이후 금융시장이 어떻게 안정화 되었는지 그래프를 봅시다.

올해 1월~현재, 미국 CDX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
국채 금리와 하이일드 크레딧 금리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올해 3월 스프레드는 약 900까지 상승.
이는 국채 대비 크레딧 금리가 9%p 더 높았다는 의미
Fed의 자산매입 덕분에 차츰 안정화

위의 그래프는 올해 1월~현재, 미국 CDX 하이일드 스프레드 지수를 보여줍니다. 이는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국채 금리와 하이일드 크레딧 금리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올해 1월 스프레드 지수는 300 미만이었는데 3월에는 약 900까지 상승하였죠. 이는 국채 대비 크레딧 금리가 평소 3%p만 더 높았다가 금융시장 혼란으로 9%p 가량 더 높아지게 되었다 의미입니다.

Fed는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개시하였고 현재는 300 수준으로 안정화 되고 있죠.

2015년 12월~현재, 골드만삭스 미국 금융여건 지수 (GS US Financial Condition)

미국의 전반적인 금융시장(주식ㆍ채권ㆍ크레딧)이 안정적이라는 것은 골드만삭스가 취합한 금융여건 지수(financial condition index)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여건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지수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ㆍ크레딧 스프레드ㆍ주식 시가총액ㆍ달러지수 등 여러 금융시장 지표를 이용해 만든 통계치 입니다.

금융여건 지수가 낮은 값을 기록할수록 ‘전반적인 금융시장 여건이 완화적'(loose)임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높은 값을 기록하면 ‘전반적인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적'(tight) 입니다.

최근 금융여건 지수는 97.83으로 5년, 아니 역사상 최저치를 기록중입니다. 올해 3월 코로나19로 혼란스러웠던 시기 최고로 긴축됐던 금융여건은 불과 6개월만에 최고로 완화적인 여건으로 변화하였죠.

  • 올해 Fed의 정책
    • Fed, 코로나19에 맞서 ‘모든 것’을 하다 (링크)
    • 전세계적 ‘달러 조달 비용’의 증가와 Fed의 유동성 지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링크)
    • 5월 14일(목) – Fed 의장 파월,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한 이력현상 가능성을 우려하다 (링크)
    • 6월 11일(목) – 6월 FOMC,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2022년말까지 제로금리 유지 시사 (링크)
    • 7월 30일(목) – 7월 FOMC, 모든 것을 다한 Fed는 재정정책과 치료제ㆍ백신을 기다린다 (링크)

    지난 9월, 파월 의장은 완화적인 금융여건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습니다. 당시 발언을 다시 봅시다. (9월 7일 데일리 링크)

    “Fed는 광범위한 금융여건(broader financial conditions)에 집중한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신용의 이용가능성, 금리 수준, 주식시장 가격도 물론. 이러한 모든 것들은 경제에 중요하다. 건강한 금융여건은 기업들과 사람들이 차입을 할 수 있게 해주며, 부채상환을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연장하고, 집이나 차를 살 수 있게 한다. 이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집중하는 것이다.”

    다시 반복하자면, Fed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목적은 ① 장기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도 (very low level of longer-term yields) ② 원활한 금융시장 기능 달성 (smooth market functioning) 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금융시장의 ‘완화적인 금융여건(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 을 만들어냅니다.

    11월 FOMC 의사록의 내용을 좀 더 살펴보면서, 현대 통화정책과 자산매입 프로그램에 대해 더 알아봅시다.

    자산매입에 대한 논의 (Discussion on Asset Purchases)

    FOMC 참가 위원들은 자산매입에 대해 논의했다. Fed의 목표인 완전고용 및 물가안정 달성에 있어 자산매입의 역할도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에서 참가위원들이 집중한 것은, 자산매입의 목표(objectives); 향후 자산매입의 적절한 속도 및 구성 평가(pace and composition); 미래 자산매입 경로에 관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높은 지준금이 상업은행 대차대조표 및 자금시장 금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higher levels of reserve) 등이다. (…)

    (…)FOMC 참가 위원들은 이러한 논의가 미래 자산매입의 적절한 구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에 합의하고 있다. 위원들은 자산매입의 속도와 구성 등을 지금 당장 조정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상황이 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위원들은 계속해서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다.

    FOMC 위원들의 논의에 앞서 Fed 소속 스태프(주 : 주로 Fed 소속 경제학자)들의 프레젠테이션이 있었다. 스태프들은 현재 상황에서 자산매입을 수행할 때 봐야할 주요사항을 리뷰하였다.

    스태프들은 FOMC의 연방기금금리ㆍ자산매입 등의 포워드 가이던스 덕분에 재무부 국채 발행 증가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가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very low level of longer-term yields) 고 판단했다. (…)

    FOMC의 자산매입 역할에 관한 논의에서, 위원들은 자산매입이 원활한 시장기능(smooth market functioning)을 지탱하고 지속 케하며, 완화적인 금융여건(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을 육성하는데 도움 이 되고 있음을 주목했다.

    시장기능이 많이 회복됨에 따라, 다수의 참가위원들은 자산매입의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역할이 (원활한 시장기능 지탱 및 지속에서) 가계와 기업을 위한 완화적인 금융여건 육성으로 점점 더 이동해왔음을 내비쳤다. 완화적인 금융여건은 연준의 고용 및 물가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준다.

    여전히 참가위원들은 자산매입이 원활한 시장기능을 계속 지탱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많은 위원들은 자산매입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융시장 내 갑자기 재발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하여 보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수 명의 위원들은 자산매입이 재무부의 국채 발행 증대가 장기금리에 바람직하지 않은 상방압력을 줄 때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 설명 : Fed 소속 경제학자들은 올해 3월 이후 시행된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면서 역시나 ‘통화량, M2, 유동성’ 등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 염두에 두는 건 ‘장기금리 수준이 낮아졌는지’, ‘시장기능이 원활하게 되었는지’, 이를 통해 ‘금융여건이 완화되었는지’ 입니다.

    앞서 봤듯이, 올해 Fed의 전례없는 대응은 국채시장 안정화ㆍ장기금리 하락 유도ㆍ전체 금융시장 안정화에 기여하였고, Fed 위원들도 그렇게 보고 있네요.

    그렇다면 Fed는 언제까지 현재의 정책을 유지할까요? 현재 금융시장이 안정화된 건 Fed의 정책 덕분이기 때문에,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Fed가 언제까지 현재의 정책을 유지할까? 혹은 언제 정책을 변화시킬까?”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11월 FOMC 의사록에서 위원들의 생각을 살펴봅시다.

    몇몇의 위원은 현재 낮은 수준의 장기금리에 비추어 볼때, 연준 자산보유량 증대를 통한 추가적인 완화정책 여지가 제한적일 수 있음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들은 자산보유량의 상당한 증가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에 우려를 표했다. (…)

    참가위원들은 자산매입의 적절한 속도 및 구성에 대해 발언했다. 참가위원들은 일반적으로 현재의 속도와 구성이 완화적인 금융여건 육성에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 설명 : 일부 위원들은 자산매입 정책이 추가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데 회의적 입니다. 현재의 속도와 구성이 효과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죠.

    그럼에도 코로나19가 재확산되는 현재시점에서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할 수도 있고, 반대로 효능좋은 백신 덕분에 지금의 정책을 멈추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Fed 위원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죠.

    참가위원들은 ① 매입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increasing the pace of purchases) 혹은 ② 규모 변동없이 장기채권 위주로 매입(a longer maturity)을 함으로써 추가적인 완화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연준은 ③ 현재와 동일한 속도와 구성을 유지한 채 더 오랜 기간 자산매입을 실시(same pace and composition over a longer horizon)함으로써 완화를 지원할 수 있다.

    연준의 자산매입 구조 변화는 잘못된 해석을 피하기 위해 대중들과 조심스럽게 커뮤니케이션 해야 한다. 잘못된 해석은 자산매입 속도 감축이 완화정도의 감소로 인식됨을 뜻한다. (…)

    9월 FOMC 성명문은 자산매입이 ‘향후 수개월간'(over coming months) 계속됨을 가리켰다. 대부분 위원들은 FOMC가 어느시점에서는 가이던스를 업데이트 해야하며 질적 결과기반 가이던스(qualitative outcome-based guidance)를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

    많은 참가위원들은 자산매입 가이던스를 상당히 이른시일 내(fairly soon)에 제시할 것이라 판단했다.

    → 설명 : Fed 위원들이 구상중인 추가 정책 방식은 ① 매입 속도 증대 ② 규모 변동 없이 장기채권 위주 매입 ③ 현재와 속도 및 구성은 동일하지만 더 오랜 기간 정책 실시 등 입니다.

    반대로 자산매입 규모를 줄이거나 속도를 늦출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잘못 받아들이게 되면 혼란이 초래 될 겁니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항상 완화적인 정책을 원하며, ‘금리 인하 & 자산 매입 좋은 것’으로 단순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이죠.

    사실 2013년 Fed는 이러한 혼란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당시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는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고 발언했는데, 금융시장은 이를 매우 강력한 긴축신호로 받아들였었죠. 금리가 급격히 상승하고 신흥국에서 자본이 이탈되고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주 : 당시 사건을 긴축발작 Taper Tantrum 이라 합니다.)

    그런 연유로 Fed 위원들은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며 “잘못된 해석을 피하기 위해 대중들과 조심스럽게 커뮤니케이션 해야 한다” 라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많은(Many) 위원들은 ‘상당히 이른시일 내'(fairly soon)에 자산매입 정책 가이던스를 제시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12월 FOMC에서 가이던스가 공표될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질적 결과기반 가이던스(qualitative outcome-based guidance)란 ‘실업률 x%, 인플레이션율 x%’ 등 구체적인 수치를 달성해야 할 결과로 제시하면서, 이를 달성할때까지 정책을 유지 혹은 변경하겠다는 걸 공표하는 방식입니다.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 자회사 Global X(글로벌엑스)가 6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미국 금리 관련 ETF인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와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를 상장했다고 7일 밝혔다.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IRHG)는 장기금리가 상승하거나 금리 변동성이 커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다. 미국채 선물 혹은 미국채에 투자하는 ETF에 대한 지불 스왑션을 매수한다.

    스왑션(swaption)은 파생상품으로 기초 자산이 금리 스왑(swap)인 옵션(option)이다. 금리 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교환하는 파생상품이다. 스왑션 매수자는 고정금리를 지불하고 변동금리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어 금리가 상승하면 수익이 발생한다.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IRVH)는 인플레이션 상승, 장단기 금리차가 벌어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다. 미국 물가연동채권과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미국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은 국채의 한 종류다. 채권 이자율은 고정돼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CPI) 수준에 따라 원금이 조정돼 물가가 상승하면(인플레이션) 수익률도 올라간다.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Yield Curve Spread Options)은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수록 수익이 발생하는 옵션으로,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는 2년과 10년물 국채 금리차를 이용하는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 자회사 ‘Global X(글로벌엑스)’가 6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미국 금리 관련 ETF인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와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를 상장했다고 7일 밝혔다.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IRHG)는 장기금리가 상승하거나 금리 변동성이 커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채 선물 혹은 미국채에 투자하는 ETF에 대한 지불 스왑션을 매수한다.


    스왑션(swaption)은 파생상품으로, 기초 자산이 금리 스왑(swap)인 옵션(option)이다. 금리 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교환하는 파생상품으로, 스왑션 매수자는 고정금리를 지불하고 변동금리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어 금리가 상승하면 수익이 발생한다.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IRVH)는 인플레이션 상승, 장단기 금리차가 벌어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 물가연동채권과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미국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은 국채의 한 종류다. 채권 이자율은 고정돼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CPI) 수준에 따라 원금이 조정돼 물가가 상승하면(인플레이션) 수익률도 올라간다.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Yield Curve Spread Options)은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수록 수익이 발생하는 옵션으로,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는 2년 및 10년물 국채 금리차를 이용하는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엔지니어링데일리
    • 승인 2020.05.22 09:45
    • 댓글 1

    이번 달 통장에 찍힌 숫자, 체중계에서 보여주는 숫자 그리고 나이. 필자의 세상에서 엄청나게 중요한 숫자들이다. 대부분 비슷하지 않을까? 매주 발표되는 로또 번호도 엄청나게 중요한 숫자이다. 이상하다 이번 주는 내 차례인거 같았는데.

    국제적인 Financing 세상에서 보면 대출의 이자율이 준거금리 + Margin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 프로젝트와 관련된 리스크에 따라서 그 Margin은 변동하게 되어있고, 그 결과 값이 변동금리일 수도, 고정금리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준거 금리’는 보통 미국 국채나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금리를 사용하는데, 왜일까?

    LIBOR는 런던 은행 간 금리로서 런던의 대형은행들이 은행 간 조달을 통해 자금을 빌릴 경우 제시하는 단기 이자율의 평균이다. 이는 1969년 영국 Manufacturer’s Hanover 은행의 런던 지점을 중심으로 한 8,000만달러 규모의 신디케이션론에서 최초 사용되었는데 은행의 신용 위험을 포함한 평균적인 은행의 차입비용을 측정하는 개념이었다.

    산출 방식은 매 영업일마다 IBA(ICE Benchmark Administration)가 패널 은행들로부터 금리를 제출 받아 상하위 4개씩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리들의 산술평균 후, 소숫점 여섯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하는데 설문조사 형태로 이뤄지며 익일물부터 1년물까지 총 7개의 만기로 5개의 통화(USD,GBP, EUR, JPY, CHF) 즉 35개로 산출된다.

    그리고 그 구성을 보면 익일물 무위험이자율(Overnight Risk Free Rate over the term),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 은행 신용위험(Bank Term credit risk), 기간 유동성위험(Term liquidity risk)에다 그 요소들이 기대와 다르게 나타날 위험에 대한 보상적 프리미엄인 기간 위험 프리미엄(Term risk premium)으로 분해가 가능하다.

    그럼 왜 LIBOR 금리가 왜 준거 금리인가? 준거 금리는 무엇인가?

    이자율은 돈을 빌려주는 대가로 채무를 가지고 있는 상대방이 돈을 갚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즉 신용 리스크 (Credit Risk)를 산정하여 이자율을 계산한다. 소위 1금융권보다 2금융권의 이자율이 높은 이유는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신용 리스크를 2금융권에서 수용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또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리도 올라간다. 준거 금리라 하면, 기준점이 된다는 의미할 텐데 어떤 의미일까? 이는 무위험이자율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무위험이자율이란 신용 리스크가 ‘0’인, 빌려주면 무조건 되돌려 받을 수 있는 이자율을 의미하는데 USD LIBOR 3개월이 1.96%정도 된다.

    2019년 12월 30일에 조회한 LIBOR금리 (출처 : KEB하나은행)

    2019년 12월 30일에 조회한 LIBOR금리 (출처 : KEB하나은행)

    즉, 아무런 리스크가 없이 받을 수 있는 이자율 1.96%로 이를 기준점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에 관련된 리스크를 계산하여 프리미엄을 얹어서 해당 건을 위한 이자율을 산출한다는 것이다.

    이 LIBOR금리가 현재는 각종 대출. 채권, 파생상품의 준거 금리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2012년 기준으로는 USD LIBOR, GPB LIBOR, JPY LIBOR, CHEF LIBOR를 준거로 사용하는 금융 계약의 규모가 150조, 30조, 30조, 6.5조로 약 200조 이상의 금융 계약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숫자에 관심을 갖을 수 밖에 없는지 알 수 있다.

    참고로 LIBOR와 비슷한 EURIBOR도 약 150조 규모의 금융 계약에 사용되고 있는데 반면 EUR LIBOR는 2조 달러 미만으로, EUR를 기본으로 하는 금융 계약에는 LIBOR보다는 EURIBOR를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의 기간물중에서도 특히 USD LIBOR(1,3개월)과 GBP LIBOR(3개월), CHF LIBOR(3,6개월) EURIBOR(1,3,6개월)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준거금리 및 기간물별 관련 금융시장 규모 (출처 : FSB 및 산은조사월보 2018.10)

    준거금리 및 기간물별 관련 금융시장 규모 (출처 : FSB 및 산은조사월보 2018.10)

    또한 자산별 LIBOR 연동 비중을 봐도 달러화 금융자산의 경우 신디케이션론의 97%, 변동금리부 채권의 84%, 상장 지수금리 옵션 및 선물의 각각 98%, 82%나 쓰이니 왜 LIBOR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라고 불리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세상엔 영원한 것은 없으니, 이런 LIBOR도 퇴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LIBOR가 등장한 때는 은행 간 자금시장을 통해 조달이 활발하였고 유동성도 많았으나 현재는 CD의 발행이나 RPㅇ 등으로 은행 간 자금시장이 유명무실해진 점도 있고 LIBOR가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2개의 주요 패널 은행들이 담합하여 금리를 낮게 조작한 사건도 있어서 그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LIBOR를 대체할 만한 확실한 것은 없으면 모두 논의중에 있고, 일각에서는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대체가 아닌 수정 LIBOR가 등장할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숫자인 미국 국채, 일단 미국은 국채를 발행하면 공개시장에 매각되거나 연방준비제도(FED)로 넘어가서 액면가대로 미국 달러를 발행하게 된다. 이 FED에서는 정기적으로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를 열고 연방기금(Federal fund)의 Target 금리를 지정하는데, 이 금리를 미국 기준금리라고 불리며 익일물에 대해 FED가 상업은행에 빌려주는 이자율(혹은 할인율)을 의미한다. FED가 미국 금리를 조절한다는 것은 연방기금금리을 조절하는 것이고 이는 FOMC가 발표하는 기준금리 및 미국 재무부 채권과도 연동되기 때문에 사실상 미국재무부채권 (미국 국채보다 정확한 표현)이 무위험이자율이자 준거 금리로서 활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US PP (US Private Placement)를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 미국재무부국채가 준거 금리로 활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USD LIBOR 3M과 미국 단기채 (US T-bill 3M)이 비슷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 차이를 TED Spread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LIBOR금리가 연방기금 금리보다 몇십 bp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의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시점에 TED Spread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당시 미국 기준금리와 국채 수익률은 FOMC에 의해 내려갔지만 LIBOR의 경우, 영국 대표 은행 간 돈을 얼마에 빌리겠냐는 설문조사로 산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미국 은행들의 사태를 보고 은행의 신용 리스크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하면서 금리가 올라가게 된 것이니. 같은 준거 금리임에도 불구하고 접근 방식에 따라서 국제적인 불확실성에 반응하는 결과 값이 다른 것이 흥미로운 부분이다.

    Ted Spread (출처 : Wikiwand.com)

    Ted Spread (출처 : Wikiwand.com)

    이것이 바로 사람들이 LIBOR와 FOMC 기준금리에 관심을 갖는 이유이다. 돈은 멈춰있지 않고 필요한 곳으로, 더 쓰임이 많은 곳으로 흘러가게 되어있으며 그 중심에는 준거 금리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고 그 돈이 부동산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한다. 왜? 기관투자자들이 대체투자인 부동산과 인프라에 투자할 돈을 늘린다고 한다. 왜? 사람들이 리츠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왜? 그 근간에는 바로 이러한 요소들이 존재하니 매일은 아니더라도 가끔 관심 가져 주시길.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새로운 소식은 본 게시판을 통해 모두 공지됩니다.

    AVA는 빠른 거래체결 플랫폼과 안정적인 뛰어난 거래시스템은 고정 혹은 변동 스프레드 거래자가 모두가 AVA를 추천하는 이유로 지금 연습계좌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 다.

    또한 AVA의 고객서비스는 매우 빠르고 우수함을 자랑합니다.

    계좌는 급격하게 변하는 시장에도 전혀 변하지 않는 고정 SPREAD 계좌와 좁은 변동 SPREAD 계좌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1 LOT거래에 10불의 혜택으로저희에게 IB를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정 Spread는 가격 변동이 심한 시간에 거래에 최고의 서비스이며 최대 100%의 입금 보너스도 같이 제공합니다.

    저희 one2one고객은 거래마다 지불하는 리베이트도 드리고 있습니다 .

    명성이 있는 거래회사로 안정적 거래시스템으로 적극 추전 합니다.

    Ava 그룹은 온라인 금융거래 브로커로서 등록고객 이 150 여개국에 걸쳐 150,000 명 이상 이며 , 한달 15 백만 계약에 400 억달러를 초과하는 거래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


    2006 년 금융 및 인터넷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에 의해 설립 된 Ava 는 온라인 거래 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


    온라인 거래 시장에서 Ava 의 자랑은 사용자중심 문화라는 것입니다 . Ava FX 는 개인의 니즈 뿐만아니라 기관들의 거래 니즈까지 수용하고 있습니다 . 다국언어로 24 시간 지원되는 서비스로 Ava FX 의 철학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


    Ava 는 고객 서비스 , 거래체결 , 가격 투명성 , 선진 거래시스템 등에서 최고 수준을 유지한데 대한 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 Ava FX 는 뉴욕 , 도쿄 , 호주 , 더블린 , 파리 등 세계 금융중심지에 많은 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Ava 그룹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Ava Capital Markets Ltd 는 EU 에 위치하고 있으며 , 아일랜드 , 호주 , 유럽 금융감독원의 높은 기준을 충족하면서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