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지역내 의료기관과 협력 확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이 지역내 의료기관인 H+양지병원과 광명성애병원, 희명병원, 성애병원 등과 지역내 원활한 거래 경험 협력 확대에 나섰다.
강남성심병원은 협력병원 방문을 통해 지역내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병원과 환자 의뢰 및 회송 시스템 점검, 파트너쉽 강화, 의료기관 경영 방안 토론 등을 진행했다.
이영구 강남성심병원 병원장은 “지역내 의료기관과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학병원의 장점으로 지역 내 병·의원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학병원의 단점을 지역내 병·의원의 장점으로 보완하며 경쟁이 아닌 진정한 파트너쉽을 나누는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은 원활한 환자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 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 등 병원 인근 지역뿐 아니라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등의 의료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병원과의 업무 협약을 맺고 있다.
또, 진료과 핫라인을 통해 협력병원에서의 신속한 환자 의뢰가 원활한 거래 경험 가능하도록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tab area
- 국고처 프라이데이 1-2부 [홈]
- 국고처 프라임 1-2부 [홈]
- 국민주식고충처리반 1~5부 [홈]
- 와우넷 스페셜 [홈, 17人] HOT
- 특별기획 인재전쟁 국가가 나서라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3(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우:0450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서울중구 2022-0572호
Copyright© 한국경제TV. All Rights Reserved.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이 지역내 의료기관인 H+양지병원과 광명성애병원, 희명병원, 성애병원 등과 지역내 협력 확대에 나섰다.
강남성심병원은 협력병원 방문을 통해 지역내 협력 원활한 거래 경험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병원과 환자 의뢰 및 회송 시스템 점검, 파트너쉽 강화, 의료기관 경영 방안 토론 등을 진행했다.
이영구 강남성심병원 병원장은 “지역내 의료기관과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학병원의 장점으로 지역 내 병·의원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학병원의 단점을 지역내 병·의원의 장점으로 보완하며 경쟁이 아닌 진정한 파트너쉽을 나누는 원활한 거래 경험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은 원활한 환자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 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 등 병원 인근 지역뿐 아니라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등의 의료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병원과의 업무 협약을 맺고 있다.
또, 진료과 핫라인을 통해 협력병원에서의 신속한 환자 의뢰가 가능하도록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경남 함안에서 애플망고농장을 운영하는 이종욱 망고데이 대표(오른쪽)가 양동철 농협창업농지원센터 교수에게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관련 컨설팅을 받고 있다.
농민들이 수익을 거두기까지 꼭 거쳐가는 구간이 있다. ‘죽음의 계곡’이다. 이는 질 좋은 상품을 생산했지만 수익을 거두지 못해 파산하는 현상을 뜻하는 경영학 용어다. 원인으로는 마케팅·홍보 부족이 꼽힌다. NH투자증권의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이하 펀딩)’은 농민들이 죽음의 계곡을 지나 원활한 거래 경험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2019년 애플망고농사에 뛰어든 이종욱 망고데이 대표(32)는 펀딩에 참여한 올해 죽음의 계곡을 건너 온라인 판매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봤다.
“열심히 연구해서 상품성을 높이고, 생산량도 늘렸는데 코로나19가 터졌습니다. 판로가 막혀 힘들었는데 펀딩에 참여한 뒤로는 매출과 단골이 모두 늘었습니다.”
경남 함안군 대산면 구혜리에서 애플망고를 재배하는 이 대표는 펀딩에 참여해 목표 판매금액의 2906%를 달성했다. 펀딩에 참여한 올해 매출(2억5000만원)은 지난해(1억2000만원)보다 2배 넘게 늘었다. 올해 매출에 펀딩이 차지하는 비율은 11.6%(2900만원)에 달한다.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고, 타지 생활에 지쳐 우울증을 겪기도 했습니다. 2019년 7월 고향에 돌아와서 망고농사를 시작하니 ‘이게 내 길이다’ 싶었습니다. 35년간 수박농사를 하신 아버지의 기술로 작물을 재배하고,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제가 판로를 개척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첫 수확기인 2020년 여름에는 농사의 쓴맛을 느꼈다. 식재한 망고나무 700그루 가운데 200그루가 죽었다. 생산량도 목표의 40%밖에 되지 않았다.
이 대표는 아버지와 머리를 맞대고 나무가 죽은 원인을 분석했다. 먼저 망고농사에 뛰어든 원활한 거래 경험 선배 농민들로부터 답을 구하기도 했다. 그 결과 지난해 생산량은 2.5t으로 2020년(0.5t)보다 5배나 늘었다. 호텔·백화점에 납품하면서 농장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다.
“지난해 5월쯤 납품하던 곳이 코로나19로 문을 닫거나 주문량을 줄였습니다. 전체 생산량의 80%를 백화점과 호텔에 납품했는데 사실상 판로가 막혔죠. 열심히 연구해서 생산량도 늘고, 품질도 높아졌는데 팔 곳이 없었습니다. 그때 판로를 넓혀야 한다는 걸 절감했어요.”
그는 올 2월 양동철 농협창업농지원센터 교수를 찾아가 조언을 구했다. 양 교수는 원활한 거래 경험 이 대표에게 펀딩 참여를 권유했다. 적은 수익이라도 판매처를 늘리고 원활한 거래 경험 싶던 이 대표는 참여를 결심했다.
그리고 올 5월24일부터 7월2일까지 펀딩에 참여했다. 이 대표는 생산에 집중해 양질의 망고를 수확하고, NH투자증권과 네이버 산하 비영리재단인 해피빈이 온라인 홍보를 담당했다. 이들은 주요 고객층을 명확히 해서 망고데이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다. ‘무농약’ ‘유용미생물(EM) 사용’ 등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하는 망고데이의 장점을 살려 사진과 홍보문구도 만들었다.
이 대표는 펀딩에 참여해 원활한 거래 경험 매출 2900만원을 거뒀다. 그는 “펀딩에 참여하기 전 1년간 혼자 온라인 판매를 했지만 연매출이 100만원에 불과했다”며 “혼자 운영할 때보다 30배는 더 많은 수익을 거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NH투자증권에서 수수료를 지원해줘 판매 수수료를 전혀 내지 않았다”고 했다.
이 대표는 펀딩을 통해 얻은 수익으로 0.33ha 규모의 스마트팜을 짓고 있다. 농장 규모를 0.5ha에서 0.83ha로 넓히는 중이다. 새로 짓는 농장에서는 해거리 현상을 줄일 방법 등 다양한 시도로 상품성을 높일 계획이다.
펀딩이 끝나고 이 대표에게는 온라인 판로 안정화라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펀딩으로 온라인 홍보에 대한 이해가 커졌습니다. 전문가의 손을 빌릴 영역과 스스로 할 수 원활한 거래 경험 원활한 거래 경험 있는 영역을 구분할 수 있게 됐습니다. 펀딩을 계기로 제품 사진 촬영을 전문가에게 맡겨 온라인 판매액이 3배 늘었어요.”
양 교수는 펀딩의 가장 큰 장점으로 농민들이 온라인 판로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접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펀딩을 진행하며 양질의 상품을 생산해도 판로를 찾지 못해 고생하는 농가들을 많이 만났다”며 “펀딩은 농가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제도”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펀딩에 참여한 산란계농가 ‘정훈농장’은 수익 1800만원을 얻었다”며 “펀딩에 참여한 고객이 단골이 되는 등 농가에서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판로를 경험하게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망고데이에도 펀딩이 끝난 지금까지 망고를 추가 구매하고 싶다는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 대표는 “펀딩을 통해 고객과 직접 소통할 기회가 많았다”며 “고객들이 맛있다고 말씀하시는 걸 들으며 제 농산물에 대한 자부심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이어 “펀딩을 토대로 온라인 판로를 개척해 고객들에게 더욱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싶다”며 “지금의 무농약농법에서 더 나아가 언젠가는 유기농 망고재배에 도전하고 싶다”고 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