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학술정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변동성확대에 따라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에 의한 거래방법을 과거의 환율자료에 적용하여 동 방법이 체계적으로 초과수익을 거두는지 여부를 통하여 외환시장의 효율성을 검증하여 한다. 변동환율제도 도입전후의 환율변동과 간단한 시계열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거래의 수익성 등을 기존의 이동평균법과 비선형 통계방법으로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Neural network 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효율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실증 결과 기존의 random walk모형에서는 변동환율제도 도입 이전인 1996년부터 1997년에는 일별환율이 임의보행을 한다는 귀무가설이 모두 기각되었지만 환율변동폭 철폐후에는 환율움직임이 임의보행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단기적 환율 움직임에 대한 구조적 모형분석등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신경망과 단순이동평균법의 두가지 비선형 예측기법을 사용하여 외환 매매전략의 수익성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인공신경망모형과 이동평균법은 둘 외환 시장에 관하여 외환 시장에 관하여 다 수익률예측에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특히 인공신경망 기법은 변동성이 더 심해지고 변동폭이 철폐된 자유변동환율제도하에서 뛰어난 예측수익률을 보임에 따라 외환 시장에 관하여 외환 시장에 관하여 그 효과를 극명히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외환시장의 효율성 측면은 완전자유변동환율제도 도입이후 환율의 변동폭은 커졌지만 환율움직임은 여전히 추세를 가지고 움직였으며 기술적 분석에 의한 거래의 수익성은 여전이 크게 나타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외환 시장에 관하여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xchange market efficiency by adapting trading strategy of technical analysis to past exchange rate data in the Korea, foreign exchange market, whether it obtains systematically excess profits or not.
Technical analysis is the most widely used trading strategy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Efficient markets hypothesis assumes that excess profits cannot be earned from the knowledge of past and current exchange rates. However, recently the discovery of profitable technical trading rules and other evidence against efficient markets hypothesis make ourselves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technical analysis.
Thus this paper compares the performance of moving average trading rules to neural network model which is the most popular today as a nonlinear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 suggests that random walk model rejects the null hypothesis of random walk from 1996 to 1997 when the perfect floating exchange rate is not adopted. But when exchange rate volatility is abolished, foreign exchange rate movements are close to random walk.
Therefore, this result means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fundamental model of short-horizon exchange rate movements.
Both moving average rules and neural network model used in this paper are at least profitable since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Especially neural network model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technical strategies after abolishing foreign exchange rate volatility. The fact that neural network model produces unusual 외환 시장에 관하여 profits in foreign exchange series presents a serious challenge to the foreign exchange market efficiency.
Thus when it comes to exchange market efficiency, after perfect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even though the market volatility expands, exchange rate movements still have trends, and trading profits of technical analysis are obtained by simple trading strategy.
As a result, foreign market efficiency is not largely improved, and we have some predictive value over the future movement of foreign exchange prices.
[외환시장] 외환시장에 관하여
5. 외환시장 발전의 제약요인
1) 기초적 여건의 미흡
2) 외환관련 각종 규제
3) 선물환거래의 부진
4) 외환중개제도의 취약
5) 단기금융시장의 미발달
6) 국내은행들의 외환부문 역량 미흡
본문내용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이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외환시세, 즉 환율이 형성되고 이 환율에 따라서 외환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말한다. 구체적인 의미의 외환시장은 외환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건물로서 유럽금융시장의 부어스(bourse)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국가간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외환의 거래내용과 규모 등이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장소적 개념은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외환시장은 외환을 매매하는 특정의 장소라기 보다 외환의 매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거래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외환시장은 외환수급의 조정과 가격이 형성되어지는 장소이다. 은행과 고객과의 거래에서 환율은 시장환율을 기초로 하여 표시되는데 고객과의 거래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수급은 시장에 반영되어 시장환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은행간 시장에서는 외환수급의 당사자인 은행이 직접 또는 브로커(broker)를 경유하여 거액의 외환거래를 행하고 환율이 형성된다.
외환시장의 참가자(participants)로는 외국환은행, 고객, 중앙은행, 외환 브로커등을 들 수 있다.
외국환은행(foreign exchange bank)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외국환을 사기도 하고 팔기도 한다. 그 결과로 발생한 외환 포지션(foreign exchange position)을 조정하기 위하여 은행간 외환거래(inter-bank foreign exchange transaction)를 수동적으로 하게 된다. 또 한편으로 외국환은행은 외환 시장에 관하여 외환 시장에 관하여 능동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하여 이자재정거래(interest arbitrage transaction)를 하거나, 환재정거래(foreign exchage arbitrage transaction) 혹은 환투기거래(foreign exchange speculation transaction)를 하기도 하는 외환시장의 제 1 의 참가자이다. 이와 같이 외국환은행이 수동적으로 외환거래를 하는 것을 `시장추종자거래(market follower transaction)'라 하고 후자를 `시장주도자거래(market maker or market leader transaction)'라 한다. 시장추종자거래는 시장주도자거래의 가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여 고객의 요구 또는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외환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시장주도자거래는 국제경제의 동향, 외환수급전망 등의 제요인을 감안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위험과 책
외환 시장에 관하여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출간일 | 2014년 01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08쪽 | 172*245*30mm |
ISBN13 | 9788920012624 |
ISBN10 | 8920012628 |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본 교재에서는 외환시장의 독특한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현실적으로 외환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을 소개한다. 제1부에서는 외환 ? 환율 ? 외환시장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제2부에서는 전통적 외환시장과 파생적 외환시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외환거래의 거래방법과 특성을 알아본다. 제3부에서는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대하여 살펴 본 후에 단기와 장기로 나누어 환율이 결정되는 원리를 알아본다. 제4부는 환위험의 의의와 환위험의 측정방법, 그리고 여러 가지 형태의 환위험 관리전략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5부에서는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를 비교 · 평가해 본 후에 국제환율제도의 변천과정 및 우리나라의 외환관리제도와 환율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부 외환시장의 기초개념 1장 외환 및 환율 2장 외환 시장에 관하여 외환시장 제2부 외환시장의 종류 3장 전통적 외환시장 4장 통화선물시장 5장 통화옵션시장 제3부 환율의 결정 및 변동 6장 외환시장과 균형환율 7장 단기의 환율결정이론 8장 장기의 환율결정이론 제4부 환위험관리 9장 환위험의 의의 및 종류 10장 환위험의 관리 제5부 환율제도 및 외환관리제도 11장 환율제도 12장 우리나라의 외환관리 및 환율 제도 |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외환론]국내 외환시장의 현황과 기능 및 발전방안(A+리포트)
우리 나라는 1948년 정부수립 이후 환율을 일정한 범위 이내로 고정시키는 고정환율제도를 실시하여 오다가 1964년 5월에 단일변동환율제도로 변경하였으나 1970년대 말까지 사실상 미달러화에 고정되었다. 이 때문에 1970년대에 두차례에 걸친 국제석유파동으로 국내물가가 크게 상승함에 따라 원화의 가치가 실질적으로 하락하였음에도 환율은 상당기간 고정되었다. 1973년 초 이후 세계의 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함에 따라서 미달러와 여타국 통화간의 환율변동에 의해서 원화의 여타국 통화와의 환율은 자동적으로 변동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미달러표시의 외환거래에서는 환위험이 거의 문제가 될 수 없었으나 여타국 통화표시의 외환거래에서는 환위험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1980년 1월 12일 대미 달러 환율을 484원에서 580원으로 인상하고 그해 2월 27일부터 SDR 바스켓과 주요 교역상대국 통화 바스켓을 결합한 복수통화 바스켓 방식에 의해 환율의 유동화를 실시하였다. 이 방식은 SDR 바스켓에 의해서 산출된 원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과 우리 나라와 교역량이 많은 몇 개 국가의 통화로 구성되어 있는 독자바스켓을 이용하여 산출된 원화의 대미달러환율을 결합한 후 이 환율을 기준으로 국제수지 상황, 내외 금리차이, 내외 물가상승률 차이, 외환시장의 전망 등 정책 조정 변수를 감안하여 한국은행 총재가 일일 집중기준율을 고시하였다. 복수통화 바스켓제도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환율이 시장가격을 반영하도록 도입한 방식이 시장평균환율제도이다. 시장평균환율은 국내외환시장에서 외국환은행간에 거래된 원화의 대 달러 현물환율을 거래량으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한 환율을 의미한다. 그 지수인 매매기준환율은 외환매매 중개기관인 금융결제원 자금중계실을 통해서 외국환은행간에 거래된 미달러화의 현물환매매 가격을 거래량으로 가중 평균하여 산출된다. 이 환율은 다음 영업일의 미달러화에 대한 매매기준율이 된다. 즉, 시장평균환율은 외국환은행들의 대고객거래 및 은행간 외환거래에서 기준환율의 역할을 수행한다. 시장평균환율제도에서는 제한적이기는 하나 환율이 국내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며 외국환은행의 자율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다. 시장평균환율제도에서는 환율이 은행간 시장의 거래를 통해서만 결정되므로 복수통화바스켓제도와 같이 인위적인 조정은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이 제도에서도 달러를 제외한 여타국 통화에 대해서는 복수통화바스켓제도와 같이 해당통화의 전영업일의 국제외환시장 환율과 달러화의 매매중간율을 재정하여 산출한다. 이러한 제도적 문제점으로 인하여 원화와 여타국 통화와의 환율 왜곡은 그대로 남게 된다.
이 제도는 은행간에 거래되는 환율의 일일변동에 대한 제한폭을 두고 있는데, 1990년 3월 상하 0.4%로 시작하여 이후 단계적으로 상하 0.8%, 1.0%, 1.5%, 2.25%로 증가시켜 오다가 1997년 11월 20일부터는 외환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안정화대책의 일환으로 상하 10%로 확대되었다. 하루변동허용폭이 상하 2.25%에서 10%로 확대된지 불과 한 달도 못되어 시장평균환율제도가 1997년 12월 16일 전면 폐지되고, 자유변동환율제도가 전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렇게 환율제도가 급격히 변동한 이유는 환율변동에 제한 폭을 두는 것이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보다는 환율의 왜곡을 초래하기 때문에 환율결정을 시장기능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국제통화기금(IMF)측의 의견을 우리정부가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정부는 환율안정을 위해서 책정한 하루변동제한폭이 오히려 환투기를 자극하며 외환시장을 불안정하게 하고 거래를 마비시켰던 것으로 판단하여 환율결정을 완전히 시장의 외환수요와 공급기능에 맡기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택했다. 자유변동환율제도에서는 가격제한이 없기 때문에 환율이 무제한으로 변할 수 있다. 이것이 환위험을 증대시켜 대외거래를 위축시키는 부작용도 지적될 수 있으나 그만큼 환투기를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한편, 원/달러 환율 이외에 원/엔, 원/마르크 그리고 원/파운드 등의 환율은 이들 통화에 대한 해당 외환시장이 없기 때문에 여전히 미달러화를 중심으로 국제외환시장에서 형성된 환율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원/엔 환율의 경우 동경시장 오전 8시40분 현재 결정된 엔/달러 환율과 전일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평균환율을 서로 대입하여 결정된다.
하고 싶은 말 본 자료는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외환론]수업 기말과제로 제출하여 A+를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외환시장의 의의와 역할과 함께 우리나라의 외환시장 현황 및 문제점,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하시고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외환 시장에 관하여
eBook
외환시장론 (워크북 포함)
- 550원 (5% 적립)
-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eBook 상품은 배송되지 않으며, 구매 후 지원기기에서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eBook 이용 안내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소개 외환 시장에 관하여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본 교재에서는 외환시장의 독특한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현실적으로 외환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을 소개한다. 제1부에서는 외환/환율/외환시장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제2부에서는 전통적 외환시장과 파생적 외환시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외환거래의 거래방법과 특성을 알아본다. 제3부에서는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대하여 살펴 본 후에 단기와 장기로 나누어 환율이 결정되는 원리를 알아본다. 제4부는 환위험의 의의와 환위험의 측정방법, 그리고 여러 가지 형태의 환위험 관리전략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제5부에서는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를 비교 · 평가해 본 후에 국제환율제도의 변천과정 및 우리나라의 외환관리제도와 환율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2부 외환시장의 종류
3장 전통적 외환시장
4장 통화선물시장
5장 통화옵션시장
제3부 환율의 결정 및 변동
6장 외환시장과 균형환율
7장 단기의 환율결정이론
8장 장기의 환율결정이론
제4부 환위험관리
9장 환위험의 의의 및 종류
10장 환위험의 관리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한복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무역학과 졸업 University of Kansas 졸업 (경제학 석사?박사) 현재: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주요 저서:『외환시장론』(2007), 『국제금융론』(2007), 『국제무역정책』(2008) 외 다수
김진성
고려대학교 농업경제학과 University of Kansas(경제학박사) 현재: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저서:『정보에 따른 인구이동』, 『농업생산의 불확실성과 작물보험』 등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