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자동 거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1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Baby 구매 기록

[블록체인 게임] 재미는 OK, '지못미' 이더리움 가스비 '고크립토봇'

이오스와 트론이 무서운 속도로 디앱(Dapp) 플랫폼으로서의 역량을 확장해 나가고 있지만 1위 플랫폼은 여전히 이더리움이다. 디앱닷컴은 지난 9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은 안정적인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때문에 이더리움 기반 디앱은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오스 디앱보다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의미다. 국내서 개발된 게임 중에서는 지난해 5월 출시된 고크립토봇(GoCryptoBot)이 대표적이다.?

고크립토봇은 게임 전체가 이더리움 기반인 것은 아니다. 유니티(Unity) 엔진 기반을 바탕으로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활용됐다. 쿠키런과 같은 러닝 액션게임에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와 같은 크립토 자동 거래 수집 요소가 결합돼 있다.?

◆일반 게임과 블록체인의 결합

반나절 이상이 걸렸던 이오스 나이츠보다 앱 설치는 한결 쉽다. 안드로이드나 iOS 등 운영체제 종류에 상관없이 앱스토어에서 받을 수 있다. 게임을 시작할 때에는 이더리움 지갑이 없어도 무방하다.

게임을 시작하면 흰 색상의 로봇을 받는다. 설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에 거주하는 크립토 봇이다. 그런데 이 로봇이 자신을 만든 박사님이 납치를 당했다며, 박사님을 구하기 위해 함께 달리자고 권유한다. 게임 플레이 전반에 깔린 스토리 라인이다.

고크립토봇에서 수집 요소는 '파츠', 로봇의 머리와 몸통, 다리, 등 뒤에 달린 부스터에 있다. 각 파츠별로 레벨 5를 만들면 특정 색상(빨강, 노랑, 초록, 파랑)과 종류(악마, 드래곤, 야옹, 자동 거래봇 등)가 랜덤으로 부여되는데 나의 파츠가 대체 불가능한 아이템, ERC721이 되는 순간이다.

색상이나 종류마다 부여되는 스킬이 달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상점에서 구매해 조합할 수 있다.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 각 파츠의 색상을 모두 '깔맞춤'하면 플레이할 때 가산점이 부여되도록 설정했다. 레벨업과 파츠 업그레이드를 통해 능력치를 키워야 더 오래 플레이가 가능해 높은 기록을 달성할 수 있다.

◆파츠 거래시 ERC20 토큰 활용. 이더로 교환도 가능

고크립토봇에서 현금처럼 사용되는 것은 루비와 코인, 가루, GCC다. 루비로는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하트나 코인을 구매할 수 있으며 코인으로는 각 파츠의 레벨업이 가능하다. 가루는 물건 구매나 이벤트 등 보상으로 지급받는 재화다.

레벨업하는 데 코인을 모두 탕진했다. 운 좋게도 다리와 부스터 깔맞춤에 성공했다.[사진=스크린캡처]

GCC가 바로 ERC20 토큰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로 존재하는 파츠를 구매할 때 GCC가 소비된다. 1GCC의 가격은 14일 오후 7시 기준으로 1.319달러다. GCC는 인앱결제를 통해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파츠를 판매해 벌 수 있다. 게임에서 번 GCC토큰은 고크립토 홈페이지에서 이더(ETH)로 환산할 수 있다. 가루를 모아 GCC로 환전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점에서 파츠를 판매할 수 있다. 공짜로 GCC를 얻으려고 시도해봤으나 슬프게도 장착중인 파츠는 판매할 수 없었다. 인앱결제로 하얀색 기본 파츠를 구매한 후 레벨 업 시켜서 파는 방법 밖에.[사진=스크린캡처]

블록체인이 활약하는 부분은 또 있다. 사용자 간 실력을 겨루는 PvP모드다. 게임 시작 전 스마트 컨트랙트가 행운 컬러를 두 가지 선택하는데, 플레이어가 출전 시키는 파츠의 색상과 행운 컬러를 하나 맞추면 추가 득점이 가능하다. 랜덤한 색상을 조작 없이 선택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것이다.
?
하지만 PvP 모드는 현재 고크립토봇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한계점과 관련된 슬픈 사연이 등장하는데, PvP 모드가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한번 리그를 개최할 때마다 가스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던 것이다. 게임 출시 초기에는 몇 시간에 한번 열리던 PvP의 빈도가 하루에 한 번으로 줄고, 결국에는 없어진 이유다.?

더욱이 코드박스는 지난달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더 이상 블록체인 게임 개발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미선?코드박스 이사는 에 "간단히 말하면 이더리움 가스비가 너무 많이 나와서"라고 약설했다.

지난해부터 업계에서는 블록체인 분야의 킬러 앱이 게임 분야에서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어 보인다. 한 게임 업계 관계자는 "(블록체인보다)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우월할 때가 훨씬 많다"며 "일반 게임 엔진에서 한 명의 플레이어에게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가 많게는 200TPS(초당거래속도)까지 올라가지만 이더리움은 전체 플레이어 기준으로 20TPS까지만 감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비트코인 사는 곳 Wealthsimple crypto 장단점 및 거래방법

안녕하세요. 최근에 비트코인 및 여러 코인들에 관심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캐나다 이서 크립토 코인 사는데 조금 꺼려지는 이유가 예전에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Quadriaquadrigacx를 통해서 코인들을 샀다가 다 없어지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찾다가 예전에 Wealthsimple에서 크립토를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열어 두었던 계좌에 돈을 조금 넣어서 한번 사보았습니다. 역시나 싸지는 않습니다.

Wealthsimple crypto에 장점과 단점을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Wealthsimple crypto 장점

Wealthsimple은 다른 크립토 거래소에 비해서는 안전하다.

웰씸은 다른 크립토 거래소와 다르게 이미 많은 사업들을 하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위한 로보 어드바이저, 거래 플랫폼, 데빗까지 많이 있고 투자도 잘 받습니다. 이런 Wealthsimple이 갑자기 쿼드리가 처럼 사 라저 버릴 가능성은 아주 작습니다. 또한 코인도 트러스트를 통해서 관리하고 있고 Ontario securities commission과도 이야기하며 안전하게 보관되어집니다.

I hear a lot about people stealing crypto currency or losing it. How do I know my crypto won’t just disappear from my computer one day?
Our custodian for your cryptocurrency is Gemini Custody — one of the most trusted names in crypto, with the highest U.S. government security rating — who will keep your investment safe. It’s also insured — Gemini also has $200M in cold storage insurance — until you want to sell it.

가입하는데 간단하고 만약 이미 Wealthsimple에 주식 거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면 정말 클릭 몇 번이면 비트코인을 살 수 있습니다.

세금보고가 수월 할 수 있다.

만약 주식 계좌도 여러 군대 있고 크립토도 다른 플랫폼을 이용하고 그러면 세금 보고 할 때 다 일일이 들어가서 세금 관련 서류를 받고 계산을 따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월씸 한군대에서 모든 것을 한다면 좀 더 수월 할 수 있는 것이죠.

Wealthsimple crypto 단점

Crypto 코인을 실제로 소유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코인 거래소에서는 코인을 하게 되면 크립토 디지털 월랫으로 옮겨서 실제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옮겨서 그 코인으로 나중에 테슬라를 구매하던지 피자를 사 먹던지 할 수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웰씸에서는 내가 산 코인이 중간에 안전장치로 만들어 져있는 트러트스에서 보관을 하고 나는 샀다는 보증서를 가지고 있는 것이죠. 그러니 크립토를 사는 목적이 단지 차익을 위함이라면 웰씸 크립토를 사용해도 되지만 아니고 정말 화패로써 생각하고 미래에 사용하고 싶다면 다른 플랫폼을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So once I buy crypto on the app, can I then use it to purchase a pizza or, say, an exotic pet on the dark web?
No, you can’t use the cryptocurrency you buy on Wealthsimple Crypto like money. It’s strictly an investment. You buy it, we hold it for you, and when you’re ready to sell it, we sell it for you.

Crypto 코인에 가격이 비싸다(Spread)

환전을 많이 해보셨으면 Spread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환전도 거래하는 곳마다 다 다른 거 아시나요? 거래소에서는 원래 환율보다 조금 더 싸게 또는 비싸게 거래를 해서 차익으로 돈을 법니다. Wealthsimple도 같은 방법으로 돈을 벌기 때문에 수수료는 없을지 언정 싸지 않습니다.

거의 같은 시간에 캐나다 코인 거래소에 거래 가격을 알아보겠습니다. 거의 동시에 캡처한 것입니다.

Coinbase

Wealthsimple crypto

위에 보이는 것처럼 거래소마다 다 가격이 다르죠?

아직 까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만 거래가 가능하다.

가장 잘 알려진 코인은 아마 Bitcoin과 Ethereum일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말도 안 되게 많은 종류에 코인들이 있습니다. 머스크 형이 자주 언급하는 닷지 코인 같은 코인이나 그냥 개인이 포크 해서 만든 이상한 코인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 코인들을 웰씸에서는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Wealthsimple에서는 안전장치를 만들어 놓기 위해서 트러스트를 만들어서 보관하기 때문에 여러 코인 까지 다 만들어서 하기는 불가능한 것이죠.

이제 까지 Wealthsimple Crypto에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크립토로 자주 거래해서 수익을 남기는 사람보다는 적은 금액으로 크립토에 투자를 해보고 싶거나 자산을 조금 다양화시켜 보고 싶고 이미 계좌도 있다면 확실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간단하게 비트코인 사는 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사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일단 거래 가능 코인이 2가지라 검색을 할 필요도 없이 비트코인을 클릭해주시고 아래와 같이 얼마만큼 사고 싶은지 금액을 적으면 자동으로 몇 개 코인이 사질 것인지 나옵니다.

보시는 것처럼 $50불을 사니 0.000697개가 사진 다고 나옵니다. 코인들은 1개씩 사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다른 데서 거래를 할 때도 똑같습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르면 오더가 확인됐다고 하고 조금 있다 체결이 되면 이메일일 날아옵니다.

거래가 다 끝나면 다음과 같이 계좌에 내가 샀던 비트코인이 보이게 됩니다.

Wealthsimple crypto 계좌 열고 10불 받기

Wealthsimple crypto는 어떤가 하고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서 글을 써봤습니다. 장단점을 살펴 보시고 결정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캐나다에서 가상화패 비트코인 사는 법 - Newton Crypto

예전에는 캐나다에서 가상 화패 비트코인(Bitcoin) 같은 것을 사기가 많이 힘들었습니다. 데빗카드로 보내도 은행에서 막아 버릴 때도 많고 하지만 요즘은 캐나다에서 가상 화패 비트코인, 이더리

[트렌드 키워드] 한 번에 정리하는 NFT 필수 용어

※ 는 최근 ICT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와 용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이번 편은 NFT 개념과 관련 용어, 퀴즈를 준비했습니다. NFT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테크스토리] NFT 예술작품이 그렇게 비싼 이유가 뭘까? [바로가기]에서 확인해 보세요.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가 전 세계를 달구고 있다. 삼성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NFT 거래 규모는 130억 달러(15조 4,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CES를 주최하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올해 CES 2022에서 전시 주제 중 하나로 NFT를 설정하기도 했다. 이제 NFT는 투자 시장뿐만 아니라 ICT, 예술, 게임 업계 등이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트렌드이다. 국내외 기업들은 NFT 도입 및 NFT 발행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NFT를 잘 모르는 사람도 지난해 캐릭터가 수백억 원에 거래됐다는 등의 소식을 들었을 것이다. 오늘 이 시간에는 다소 어려운 NFT의 개념과 관련 용어를 소개한다.

1.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NFT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여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인 것이다. NFT는 영상, 그림, 음악 등의 디지털 파일에 복제 및 위조가 불가능한 암호를 증명서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2. 블록체인(Blockchain)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로, 가상 화폐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아준다. NFT가 블록체인을 활용해 토큰을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NFT의 소유권 기록과 거래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토큰에 저장하면 위·변조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NFT가 대체불가능한 토큰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블록체인 기술의 ‘위·변조방지’ 특성 덕분이다.

3. 민팅(Minting)

민팅(Minting)이란 NFT를 발행하는 것으로 그림, 영상 등의 디지털 자산의 NFT를 생성하는 것이다. ‘화폐를 주조하다’라는 뜻의 영어단어인 mint에서 유래됐다. 디지털 파일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고 해당 파일을 내 소유로 등록하기 위해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해 연결한다. 민팅의 진행 방식은 아래와 같다.

1. NFT 민팅(발행)에 구매자가 비용을 지불하며 참여
2. NFT 민팅(크립토 자동 거래 발행)과 동시에 민팅 참여자에게 NFT 전송

이렇게 민팅이 이루어지면 그림 등 디지털 콘텐츠에 대체불가능한 고유자산 정보가 부여된다.

4. 드롭(Drop)

드롭은 NFT를 타인에게 판매하기 위해서 NFT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업로드하는 것이다.

* 에어드롭(Airdrop): NFT 작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NFT 프로젝트들이 얼리어답터와 참가자들에게 보상 차원에서 크립토 자동 거래 진행하기도 한다.

5. 리스팅(Listing)

NFT 작품을 판매하기 위해 NFT 거래소에 NFT 작품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6. 오픈씨(OpenSea)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오픈씨는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NFT를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NFT 거래소이다.

NFT에 관심이 커지며 국·내외 NFT 거래소 숫자는 점점 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NFT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빗이다. 국외는 오픈씨(OpenSea),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파운데이션(Foundation), 메이커스플레이스(MakersPlace), 슈퍼레어(SuperRare), 라리블(Rarible), NBA 탑 샷(NBA Top Shot), MLB 톱스(MLB Topps), 민터블(Mintable), 바이낸스 NFT(Binance NFT) 등이 있다.

7. NFT의 소유권과 저작권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NFT를 구매하면 소유권과 저작권은 어떻게 될까? 일반적으로 NFT를 구매했다고 해서 저작권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 NFT는 소유권을 갖는 개념이며, 저작권은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림 NFT를 구매했다고 해서 굿즈를 제작하는 등 2차, 3차 판매 목적으로 상품화를 할 수 없다. 단, 판매자가 NFT 발행 조건에 저작권을 포함한다는 내용을 넣었을 경우는 예외이다.

8. Dapper Labs (대퍼랩스)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대퍼랩스는 NFT 분야를 개척하고 산업을 만들어가는 대표적인 개발사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고양이 육성 게임인 크립토키티(CryptoKitties), NBA 탑샷(Top Shot)을 NFT로 개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대퍼랩스는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플로우(FLOW)를 만들었다. 플로우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플로우 토큰은 대퍼랩스의 여러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면서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9. 소더비(Sotheby’s)와 크리스티(Christie’s)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소더비와 크리스티는 미술품 경매 기업이다. 두 회사는 전 세계 경매에서 거래되는 미술품의 70% 이상을 담당한다. 200여 년이 훌쩍 넘는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소더비와 크리스티가 NFT 미술시장에 진출하며 미술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소더비와 NFT: 2021년 4월 디지털 아티스트 팍(Pak)의 NFT 작품 ‘더 펀저블’(The Fungible) 컬렉션을 경매하며 NFT 미술시장에 진출했다. 이 작품은 총 1682만 5999달러(한화 약 188억 원)에 판매됐다.

*크리스티와 NFT: 2020년 10월, 뉴욕에서 진행한 경매에서 영국 예술가 벤저민 젠틸리(Benjamin Gentilli)의 NFT 작품 ‘로버트 앨리스의 블록 21’(Robert Alice’s Block 21’)을 13만 1250달러(약 1억 5000만 원)에 낙찰시켰다.

10. NFT 스마트 컨트랙트(NFT Smart Contract, 조건부 자동계약 체결)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조건이 충족됐을 때 계약이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더리움’으로 대표되는 2세대 블록체인이 론칭되면서 조건이 수반된 자동거래, 즉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가능해졌다.

11. 화이트리스트(Whitelist)

NFT를 초기에 싸게 살 수 있는 권리이다. 특정 이익이나 권리를 보장한다는 의미로, 프로젝트 초기에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들을 선별해 NFT 민팅 권한을 부여하여 자발적인 홍보와 활성화를 유도한다.

12. NFTZ

NFT와 블록체인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디파이언스ETFs가 운용하는 ETF이다. NFT를 테마로 한 최초의 ETF이다.

13. AMA

Ask me anything의 줄임말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의미로 NFT 프로젝트 개발진&운영진들이 NFT 홀더들을 대상으로 질문과 답변을 하는 시간이다.

14. 리빌(reveal)

NFT의 특성이 모두 공개되지 않은 상태를 이르는 용어이다.

15. PFP (profile picture)

NFT, NFT용어, 블록체인, 오픈씨, 크립토펑크, 민팅, 대퍼랩스, 드롭, 리스팅

프로필 사진을 의미하는 ‘profile picture’의 약자에 NFT를 더한 단어다. NFT 커뮤니티 및 SNS 상에서 NFT 기반의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PFP로 본인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크립토 유(Crypto You), NFT 사서 일 시켜두고 자동 돈 벌기 (시뮬레이션 포함)

오늘의 꿀통은 성격이 조금 다르지만, 일단 내가 직접 한번 처음부터 한 싸이클을 돌려보고 인출해보고 남기는 꿀통이긴 하다. 그리고 지금껏 내가 해왔던 것들과는 약간 다르고 생소한 방식일 수도 있으니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사람은 찬찬히 포스팅을 읽고 따라오면 되겠다. 그리고 투자는 손실의 위험도 있으니 각자가 그 점은 인지를 하고 결정을 내리기 바란다. 나는 내가 직접 해본 것이고 그래도 나름 갠춘하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내가 책임져주지는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즉, "시작은 나와 함께, 끝은 각자 알아서~" 라는 모토로 가본다. ㅋㅋㅋ

본 포스팅 또한 앞서의 내 포스팅들과 같이 상당히 고퀄로 뽑을 예정이다. 내 포스팅은 그저 일회성이 아닌 응용력 향상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저 평범한 광고충, 여기저기 흔한 레퍼럴충이 안되는 것 또한 내 목적이다. 포스팅을 퀄리티 있게 뽑고, 도움을 충분히 주고 나는 당당하게 광고와 레퍼럴을 요구한다. 내 포스팅으로 몰랐던 것을 새롭게 배우고 깨우치거나, 혹은 돈을 번다고 해서 다른 것을 요구하는 일은 없다. 그저 광고 한번, 레퍼럴이 있으면 레퍼럴로 가입하는 것 수준으로 돈도 안들고 개인정보 탈취도 안되는 아주 간단한 작업이자 내 포스팅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내려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결론적으로 내 포스팅이 유용하고 도움이 되었다면 광고 한번씩 눌러달라는 이야기를 이렇게 길고 장황하게 해봤다. ㅋㅋ

크립토 유(Crypto You)

크립토 유(Crypto You)라는 플랫폼은 현재 엑시로부터 점화가 된 P2E(Play to Earn), 즉 플레이를 하면서 돈을 버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출시된 지 아직 2일밖에 되지 않아서 그런지 유저가 직접 플레이하는 부분은 아직 없고, NFT를 사서 묶어놓고 일을 시키는(스테이킹해서 이자를 받는) 방식이 진행되고 있다.

일단 들어가기에 앞서 내 스타일대로 큰 그림을 크립토 자동 거래 먼저 그려주겠다. 일반적인 블로그들의 경우 바로 이것 저것하고 저거 누르면 된다 라는 식으로 설명이 되는데, 그러면 당장 해당되는 것은 진행이 가능하지만 나중에 응용이 안된다. 우리가 코인 투자를 하면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가 바로 응용력, 즉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는 것이므로 어찌보면 이 큰그림을 그리는 부분이 가장 중요할 수도 있다. 1+2=3이 왜 나오는지를 알아야 1+3, 10+45 등의 응용문제도 손쉽게 풀 수 있다. 찬찬히 잘 따라오자.

크립토 유에서 돈을 버는 큰 그림

앞서서 대략 설명했듯이, 이번 것은 무료로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돈이 투자된다. 그러니 맛을 보고자 한다면 본문을 정독하기 바란다. 간혹 본문을 안 읽은채 내가 써 놓은 부분을 댓글로 질문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면 내가 왜 본문에 시간과 노력을 쏟아서 작성하겠는가? ㅋㅋ 난 글을 어렵게 쓰는 스타일이 아니니깐, 여러 번 읽어보고 그래도 정 모르겠다 싶으면 질문을 해줬으면 좋겠다. 오케?

크립토 유는 BSC(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서 돌아가는 플랫폼으로,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 자원으로 구성이 된다.

- BNB 코인 : 우리가 잘 알고있는 바이낸스 거래소 코인이다. 이 코인이 시드 및 수수료가 된다.

- Baby 토큰 : BNB를 Baby토큰으로 교환해야 Baby를 살 수 있다.

- Milk 토큰 : Baby가 실시간으로 벌어오는 코인이다. 이걸 나중에 팔거나 Baby 업그레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 Baby :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NFT이며, Baby 토큰 50개로 Baby 1명을 살 수 있다. 여러 종류가 있다.

자.. 앞서 이야기 한대로 BNB를 가지고 Baby토큰을 사서, 그 Baby 토큰 50개로 Baby를 산 다음에, 그 Baby를 일을 시켜서 Milk를 버는 방식이다. 한 마디로 유아 노동 착취 게임이라고나..ㅋㅋㅋ 그 Baby가 벌어온 Milk를 BNB로 다시 되팔아서 현금화를 해도되고, 아니면 Milk를 모아서 Baby를 더욱 강력한 녀석으로 업그레이드 해도 된다.

여기까지 이해된 사람은 아래로 넘어가도 되고, 이해가 안되었으면 다시 읽어보자. 꼭 이해를 해야한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셋팅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포스팅을 하고, 나머지 다른 설명들은 별도로 설명을 하려한다. 같이 넣으면 너무 길어지니깐.

셋팅 순서

큰 그림이 그려졌으면 이제 바로 셋팅이 가능하겠다. 당장 필요한 것은 BSC 기반의 메타마스크와 그 안에 최소 $160 이상의 BNB이다. 현재 기준 1 Baby당 대략 $3정도 하고, 이것을 구매하고 NFT 민팅 등을 하는데 BNB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이 금액은 최소 금액이 된다. 하루에 최대 5개의 NFT 구매가 가능하니, 5개 전부 하려면 대략 $800 어치의 BNB를 준비하면 되겠다.

우리는 이 BNB로 Baby 토큰을 50개 구매하고, 그 50개 Baby토큰을 Baby NFT로 교환할 것이다. 그리고 그 NFT를 작업장에 보내서 일을 시켜서 돈을 벌 것이다. 내용은 길어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굉장히 단순하고 쉽다.

① BabySwap에서 BNB를 BABY로 교환

BabySwap은 BSC기반의 탈중앙 거래소이다. 팬케이크스왑과 비슷하게 BNB로 각종 BSC기반의 토큰들을 구입할 수 있으며, BABY 토큰은 이 거래소가 발행한 자체 코인이다. 팬케이크스왑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아무 어려움 없이 이용 가능할 것이다.

Baby 토큰 페어 페이지 링크이므로 아래와 같이 주소가 맞는지 확인하라는 경고창이 뜨는데, I understand에 체크하고 Continue를 누르면 된다.

확인창

확인 누르고, 메타마스크는 BSC 네트워크 상태로 전환하고 BNB가 들어있는 지갑을 연결하면 된다. 바로 나오는 화면의 우측 상단에 Connect를 누르면 된다.

참고로, 잘 살펴보면 크립토 유(Crtpto You)가 이 BabySwap에서 공식적으로 밀어주는 1호 게임인 것을 알수 있다. 아래와 같이 메뉴에 아예 박아놨다. ㅋㅋㅋ

베이비스왑

교환 방법은 아주 쉽다. 위의 그림에서 우측 중간에 USDT를 눌러서 BNB로 바꿔주고, BABY 의 숫자 넣는란에 원하는 수량을 넣으면 된다. 이 플랫폼에서 처음 거래할 때는 당연히 unlock을 해주면서 수수료는 한번 내야 한다. 모든 플랫폼은 지갑을 등록하고 처음 사용할 때는 이처럼 unlock이나 한도 승인을 해줘야 하는데, 이는 지갑에 있느 코인을 해당 플랫폼에서 교환이나 사용 용도로 인출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작업이다. 처음에 딱 한번 해주면 다음부터는 안해줘도 된다.

스왑 화면

Baby 50개 숫자를 넣으면 BNB가 얼마나 필요한 지 대략 나온다. 여기서 수수료 감안해서 조금 더 넣어두고스왑하면 된다.

그리고 간혹 스왑 트잭을 날렸는데 fail이 뜨는 경우가 있다. 걱정마라. 우리가 잘못해서 그렇기 보다는 지금 BSC네트워크가 살짝 불안정해서 그런거다. 게다가 기본적으로 수수료가 얼마 안하므로 다시 시도하면 되겠다.

② 아래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지갑 연결을 한다.

Baby 토큰을 크립토 자동 거래 스왑을 통해서 구매를 했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들어가보자.

참고로 아래 사이트는 내 레퍼럴이 포함되어 있다. 레퍼럴이 불편한 사람은 알아서 레퍼럴 없는 링크를 찾아서 진행하면 되겠다. 레퍼럴로 가입한다고 본인이 손해보는건 전혀 없으며, 레퍼럴 제공자 혹은 양쪽 다 혜택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The Crypto You - The Best Play-to-Earn Blockchain Game on BSC

접속을 하면 지갑 연결하는 부분이 먼저 나온다.

연결하고 Approve도 눌러주자. 이것도 앞에서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갑에서 교환을 위한 코인을 인출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부분이다.

③ Baby 민팅을 한다.

앞서도 이야기 했지만 1 Baby는 50 Baby 토큰이다. 한번에 하나씩 민팅이 가능하며, 민팅시 당연히 BNB로 수수료가 들어간다. 지갑을 처음 연결하면, 한도 승인을 해줘야하기 때문에 처음에 한번 승인 수수료가 나가고, 민팅시 별도로 또 한번 나간다. 이후에는 민팅할 때만 수수료가 나간다.

민팅하기

상단의 Get Your Baby 탭에 들어와서 Mint with 50 Baby를 누른다. 위 화면에서는 4/5로 나와있는데 이건 내가 하루에 총 5개를 뽑을 수 있으며 그 중에 1개를 뽑아서 4개가 남았다는 의미이다. 저걸 누르면 이제 카드가 돌아가면서 트잭이 진행되고, 랜덤으로 내가 뽑은 베이비가 뜬다. 이 베이비는 총 12종류가 있으며, 레어도와 스탯이 각각 다르다. 레어도와 스탯은 Milk를 채굴하는 효율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도 뽑기운이 작용하니 잘 뽑자 ㅋ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보기로 한다.


④ 뽑은 베이비를 작업장으로 보내서 일을 시키자.

베이비들은 기본적으로 전부 레벨1 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레벨별, 직업별, 스탯별로 들어갈 수 있는 작업장이 다 다르다.

데일리 마이닝

Daily Mining을 누른다. 일단 우리가 들어갈 수 있는 작업장은 가장 왼쪽에 Milk Station밖에 없다. 갓 태어난 아기를 여기로 보내서 일시키는 것이 조금 미안하긴 하지만, 어쩌랴.. ㅋㅋㅋ 돈 들어갔으니 쉬지말고 일해야지!!

Baby가 있다면 저 Milk Station 아래쪽에 노란 불이 들어올 것이다. 지금은 내 베이비들이 다들 열심히 일하고 있는 상태여서 저 메시지가 기억이 잘 안나는데, 처음에는 Approve 였던것 같다. 역시나 승인은 한번만 해주면 되고, 다음부터는 Working 이었던가.. 그 버튼으로 바뀐다. Working을 누르면 하나씩 작업장으로 들어간다. 총 5명이 있다면 5번 눌러줘야 한다는 뜻이다.

⑤ 작업 현황 살펴보기

작업 현황은 바로 아래쪽에 한눈에 보기쉽게 나와있다.

작업 현황

난 이 화면에서는 총 6명이 베이비가 열심히 우유를 짜고있다. ㅋㅋ 크립토 자동 거래 작업장 들어간 시간에 따라 우유를 채굴한 양이 다 다르다. (빨간색 네모) 그리고 적당히 채굴했다 싶으면 노란색 네모의 버튼을 눌러서 채굴된 우유를 지갑에 넣으면 된다. 참 쉽제?

⑥ 채굴된 우유 시세 보기 및 판매

채굴된 우유의 시세는 아래의 차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PooCoin BSC Charts

우유 차트

시간봉으로 본 것이고 처음에 떡상 & 떡락했다가 이제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다. 이 우유는 베이비를 업그레이드하는 용도가 있으므로 시세가 어느정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우유 또한 아까 Baby 토큰을 구입했던 베이비스왑에서 BNB로 교환이 가능하다. 편의상 아래에 링크를 걸어놓았으니 참고하면 되겠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유아 노동력 착취를 통해서 빨아낸 우유를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는 모델이 되겠다. ㅋㅋㅋㅋ 이렇게 수확한 우유를 가지고 난 재투자를 통해서 일정 수준까지는 아이들을 더 혹독하게 작업장에 보낼 생각이다. 계산식은 다음번 포스팅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대략적으로 계산을 해보면, 이렇다.

오전에 테스트 용도로 한번 수확을 한 이후로 11시간이 지났고, 베이비 하나당 150개의 밀크를 채굴했다. 현재 밀크의 시세는 $0.057이므로, $8.55이 된다. 즉, 베이비 한명이 1시간에 $0.77어치의 우유를 채굴한다. 이는 밀크의 시세에 따라 다르게 되겠지만, 이는 알 수 없는 것이니 변수에서 제외를 하고 계산을 해보자.

Baby 구매 기록

이렇게 나는 내가 거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전부 기록을 해둔다. 그래야 나중에 얼마나 수익이 났는지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나는 현재 6명의 베이비를 총 $900을 투입해서, 열심히 채굴작업 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6명이 시간 당 $0.77어치씩 돈을 벌어오므로 6명이서는 시간당 대략 $4.7을 벌어온다. 따라서 간단하게 계산을 하면 194시간(= 8일)이 지나면 원금 회수가 된다.

여기서 몇가지 선택의 기로에 서게된다.

① 그저 우유만 채굴하면서 8일을 존버하고 원금 회수 + 추가 이익을 얻어낸다.

② 우유 채굴분으로 베이비를 더 투입시켜서 노동력을 더 격렬하게 착취한다.

③ 우유를 사서 베이비를 업그레이드 시킨다.

일단 ③을 하기 위해서는 우유를 20,000개 사야한다. 대략 $1,140이 필요한 이슈라서 선뜻 손이 가질 않는다. 따라서 ①과 ②만 시뮬레이션을 해보자.

일단, 나는 현재 6명의 베이비는 내돈을 태워서 구매를 했지만, 앞으로는 얘네들이 벌어오는 돈으로 베이비를 구매하여 투입할 생각이다.

시뮬레이션

※ Baby 토큰과 Milk 토큰의 시세가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

위 시뮬레이션과 같이 현재 6명이고 2일만 기다리면 1명을 크립토 자동 거래 더 업어올 수 있는 채굴금이 생긴다. 따라서 D+2부터는 채굴금으로 1명씩 업어오고, D+7부터는 채굴량이 늘어나면서 위와 같이 베이비 입양 수도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돌리면서 D+15가 되면, 하루에 $600씩 들어오는 그림이 그려진다. 물론 이 이후부터는 우유를 모아서 레벨업을 해도되고, 그저 원금을 찾고 수익금만 받아도 되겠다.

이건 위에서 밝혔든 Baby 토큰과 우유의 시세가 각각 $3, $0.56로 고정이 되어있다는 가정이고, 각 토큰들의 시세가 변함에 따라 그 결과도 당연히 변하게 된다. 하지만, 대략적인 큰 그림 및 전략은 그려볼 수 있겠다.

이 포스팅을 보고 구매를 해서 진행을 하든, 하지않든 전적으로 여러분의 판단과 결정에 의해서 실행하기 바란다. 나는 단순히 내가 구매하고 진행했던 내용을 내 판단하에 정리하고 공유할 뿐이다. 물론, 이를 통해서 수익을 낸다고 해서 얼마 내놔라 라는 짓은 절대 하지 않지만, 반대로 손해를 본다고 해서 내가 A/S를 해주거나 보전을 해주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두어야 하겠다. 시작은 같이 하되, 끝은 각자 알아서.. 오케?? 글 다 읽고 나가기 전에 이 글이 유익했다고 판단되면 광고 한번 눌러주는 것도 잊지 말아주길.. 꼭 마지막에 까먹더라. ㅋㅋㅋㅋ

블록체인의 모든 것, 디센터

최근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 압박이 점차 심해지고 있다. 미국 당국이 스테이블 코인을 규제하려는 이유는 뭘까. 법정화폐인 달러는 미국 연준(Fed)이 발행하지만, 달러와 연동된 가치를 지닌 스테이블 코인은 은행이나 정부가 아니라도 민간 주체가 발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발행사가 준비 자산을 제대로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환 능력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시장에 충격이 발생한다면 뱅크런(대량 인출)이나 펀드 환매로 이어져 미국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자 스테이블 코인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가장 잘 알려진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인 테라(Terra)는 지난 23일 스테이블코인 테라USD(UST)의 준비금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라이빗 세일을 이용해 10억 달러(약 1조 1,9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향후 하락장이 올 경우 담보자산이 없는 UST의 가격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름의 사전 조치를 취한 것이다.

스테이블 코인 개수는 70개가 넘고 시가총액은 1,800억 달러(214조 5,6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그 중에서 살아남는 스테이블 코인은 일부가 될 것이다. 과연 어떤 스테이블 코인이 안정적으로 가격을 잘 유지하면서 제대로 작동할까

현재 시가총액 1위 스테이블 코인인 USDT는 법정화폐인 미국 달러 1USD 가치와 고정(Pegging)되어 있으며, 실제 예치된 달러 액수만큼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한다. 그러나 발행주체가 테더(Tether)라는 회사이므로 중앙화돼 있고, 현재 유통 중인 USDT만큼 예치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기 어려운 불투명한 구조로 운영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작년 10월 테더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로부터 예치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4,100만 달러(488억 7,200만 원)의 벌금을 내고 합의를 했다.

이에 반해 USDC는 USDT와 같이 법정화폐 달러를 담보자산으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이지만, 테더와 크립토 자동 거래 달리 발행주체가 여러 회사들로 구성된 연합체라는 차이점이 있다. USDC는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 등이 참여한 ‘센트레’라는 컨소시엄이 발행하므로 테더보다 덜 중앙화돼 있다. 이런 차이점 덕분에 USDT는 테더의 잡음이 계속되는 것과 대비해 USDC가 주목을 받으면서 올해 1월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 자산’으로 법정화폐 대신 이더리움(ETH) 같은 암호화폐를 예치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예인 다이(DAI)는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을 담보로 탈중앙화조직 DAO가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이며, 1DAI 당 1USD의 가치를 가진다.

다이(DAI)의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은 두 가지다. 초과 담보비율을 설정해서 자산 준비금에 대한 크립토 자동 거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만약 담보 자산인 암호화폐 가격이 크게 떨어져서 담보비율이 최소 담보비율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담보자산은 자동 청산되고 차액은 사용자에게 반환되도록 스마트컨트랙트를 설계해놓았다

하지만 지난 2020년 3월 크립토 하락장 속에서 이더리움이 폭락하자 이더리움 담보가치도 급락해 다이(DAI) 사용자들은 손쓸 겨를도 없이 대량 강제청산이 일어나기도 했다.

담보 자산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를 받쳐주는 담보물이 존재하므로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량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어 자산 운용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담보 자산이 없는 무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했는데, 중앙화된 주체 대신 알고리즘이 스테이블 코인의 수요와 공급을 조정함으로써 목표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성공 사례로는 테라의 스테이블코인 UST가 있다. 테라USD로 불리는 UST는 테라 네트워크에서 발행하는 루나(LUNA)와 1달러의 가치로 교환된다. 이 때 UST가 발행 되면 LUNA가 소각되고, UST를 상환하면 LUNA가 새로 발행되는 구조이다. 암호화폐인 LUNA의 수요와 공급 조절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인 UST의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 자산 없이도 발행을 할 수 있으므로 자산 효율성은 높지만, 알고리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는 기준이 되는 담보 자산이 없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실제로 UST는 대체로 목표 가격이 1달러 가치를 유지하지만, 작년 5월 크립토 폭락장 때는 1달러 페깅이 깨져 0.94달러로 내려간 적도 있었다. 이 때 일부는 알고리즘도 만능일 수는 없다는 인식과 함께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에 대한 신뢰가 흔들렸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알고리즘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는 것이 드러나자 가격 안정화 메커니즘으로 일부는 자산담보, 일부는 알고리즘을 혼합한 ‘부분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모델이 등장했다. 혁신을 외치면서 수많은 모델들이 등장했다가 사라졌지만, 그 중에서 살아남은 것은 프랙스(FRAX)이다.

프랙스(FRAX)는 초기 단계에서는 USDC 같은 여러 스테이블 코인을 담보자산으로 하여 1대 1로 발행을 한 후, 다음 단계에서 담보비율이 100%에서 낮아지면 알고리즘을 작동시켜 거버넌스 토큰인 FXS의 물량을 소각하는 구조이다.

프랙스(FRAX)는 1시간 단위로 담보비율을 조정하여 갑작스런 가격 변동에 대응하고자 한다. 만약 FRAX 가격이 1달러보다 높으면 시장에서 수요가 많다고 보고 담보비율을 낮추고, 1달러 보다 낮으면 시장의 수요가 적다고 보고 담보비율을 높인다.

예를 들어 담보비율을 80%로 가정할 경우 FRAX의 80%는 USDC와 같은 담보자산으로, 20%는 FXS 공급을 관리하는 알고리즘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다.

프랙스는 시장의 상황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의 수요가 증가할 땐 알고리즘을 활용해 자본효율성을 높이고, 수요가 감소할 땐 담보비율을 높게 조절해 가격 안정성을 확보한다. 알고리즘과 담보자산 모델의 장점만 취한 셈이다. 실제로 2021년 10월 이후 프랙스의 시가총액은 500%가까이 성장하여 26억 1185만 달러(3조 1,159억 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최근 스테이블 코인 중 두드러지는 성장률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하락장이 펼쳐졌을 때도 프랙스가 이 수치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스테이블 코인의 목표는 한 가지다. 변동성이 높은 다른 암호화폐들과는 달리 자산 가격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사라저간 스테이블 코인 수십 종의 목록을 보면 이게 상당히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다양한 메카니즘을 시도하는 스테이블 코인들이 혁신을 외치며 등장했지만, ‘가격 안정성’, ‘자본 효율성’, ‘탈중앙화’라는 세 가지 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그나마 어느 정도의 탈중앙화를 달성하면서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USDC가 종합점수 측면에서 앞서있는 상황이다.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주시하며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런 와중에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적으로 침공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크립토 산업은 아직 이렇게 규모가 큰 전쟁에 본격적으로 노출된 적이 없다. 코인 가격이 또 다시 불안해지는 가운데 USDT, USDC, DAI, UST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들은 모두 충분한 안정성을 보여줄 수 있을까.

기고자 소개: 블리츠 랩스(Blitz Labs)는 글로벌 블록체인 팀들의 한국 / 아시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크로스보더 블록체인 어드바이저리 펌입니다.
블리츠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